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21세기 인류 행복을 위한 보편윤리 토대로서의 효제 윤리

        최문기 한국효학회 2014 효학연구 Vol.0 No.20

        20세기는 인류 역사상 학문이나 과학기술이 가장 고도로 발달하여, 인간 삶의 질을 고양함은 물론 생활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 자유민주주의 정치체제에서 개인의 자유와 권리, 자본주의 시장경제 체제에서의 물질적 풍요, 테크놀로지 발달에 의한 육체노동으로부터의 해방, 질병 치료 및 수명 연장, 정보의 축적·교환 등은 인류가 추구해 왔던 행복한 이상사회가 실현된 것으로 착각할 만큼 긍정적인 측면으로 평가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성장과 발전의 이면에는 적지 않은 부작용과 부정적 측면들도 존재한다. 두 차례의 세계대전, 지역 분쟁이나 내전, 기아와 질병, 부의 불평등, 이기주의와 도덕불감증, 가정구조의 해체, 인권 침해, 지구적 환경오염 등은 인류의 생존 자체를 위협하고 있다. 이러한 위기 상황에서 인류의 행복을 증진하기 위해 21세기의 새로운 보편윤리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새로운 보편윤리가 인류의 행복과 번영에 필요한 보편적 가치와 이념을 담고 있지만, 개별적이고 추상적일 뿐만 아니라, 서양 중심의 논의에 집중되어 있다는 지적도 받고 있다. 본 논문은 동양 유교문화권에서 가정윤리의 핵심이었던 ‘효제’(孝悌)가 21세기의 새로운 보편윤리의 한계를 보완해 줄 수 있는 근본 토대가 될 수 있음을 밝히고, 그리고 가정윤리인 효제의 사회적 확장이 21세기에 대두된 윤리적 문제 상황들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주고, 궁극적으로 인류의 행복과 번영을 증진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1) 21세기에 들어와 인류의 행복을 증진하기 위해 대두된 보편윤리에 관한 논의들을 살펴보고, 2) 동양 유교문화권에서 강조되어 온 효제 윤리가 가정의 범주를 벗어나 사회-국가-세계-사물로 확장됨으로써, 보편윤리의 틀을 더 튼튼하게 다질 토대를 제공할 수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3) 효제 윤리를 더욱 심층적으로 재정립하기 위해 필요한 과제로서 효제 윤리에 대한 다양한 비판적 입장들을 진지하게 성찰하여 수용함은 물론, 4) 현대사회의 요구와 조화를 이루어야 할 뿐만 아니라, 효제 윤리의 본질적 의미를 새롭게 재해석하여 알릴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Many studies and sciences have been highly developed in the 20th century. They promoted the quality of human life, and changed the human life style fundamentally. Individual freedom and right in Political system, material abundance in capitalist economic system, liberation from the physical labor, treatment of disease, life prolongation, accumulation and exchange of information might be evaluated like as positive sides, as if ideal utopia should be realized. But there are lots of negative effect behind these growth and development at the same time. We experienced twice World war, and yet face with lots of local dispute and civil war, hunger and disease, economic and social inequality, egoism and moral frigidity, dismantlement of family, infringement of human right, global environmental pollution etc. In these crises situation, the 21st century universal ethics is presented in order to promote mankind happiness and prosperity. But there are some critics that new universal ethics has limits of being individual, abstract, and western-centric. My paper aims are as follows : to emphasize that Hyoje as the core of family ethics in oriental confucian culture can be a base that makes up for the weak points of the new universal ethics, ; the social expansion of Hyoje can be helpful to overcome the various ethical crises situations lately, ; and ultimately it can improve mankind happiness and prosperity. To put it concretely, 1) to survey the arguments about the 21st new universal ethics for mankind happiness and prosperity, 2) by the expansion oriental confucian cultural Hyoje ethics from family to society-state-world-things, it can be a consistently penetrated base of universal ethics, 3) in order to reestablish Hyoje ethics more adamantly, we need seriously reflect and accept the critics, 4) and we must harmonize Hyoje ethics with modern demands, and re-explain the essential meaning of Hyoje.

      • KCI등재후보

        ‘효행 장려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 성과 및 후속 과제

        최문기 한국효학회 2012 효학연구 Vol.0 No.16

        본 연구의 목적은 2007년 8월 3일 국회에서 공포되고, 2008년 8월 4일부터 발효된 ‘효행장려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의 시행 성과를 점검해본 후, 추후 수행해야 할 중점 과제들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효행 장려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행·재정적 지원체제 수준, 그리고 시민사회에서의 ‘효행 장려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대한 인지도나 실천 수준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의 행・재정적 지원 수준은 아직까지는 미흡한 단계에 머물러 있고, 그래서 시민사회에서의 ‘효행 장려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대한 인지도가 낮고, 초・중・고 학교교육에서다루는 ‘효’ 관련 내용도 이전의 교육과정에 비해 별다른 진전을 보이고 있지 않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한편 대전시와 영주시가 서로 연합하여 현재 추진 중인 ‘효문화진흥원’의설치가 마무리되어 주요 업무들을 제대로 수행하기 시작한다면, 이러한 미흡한 부분들은 많이 해결되리라고 본다. 현재 다소 지지부진한 ‘효행 장려 및 지원’ 사업을 더욱 촉진하기 위해 앞으로 추진해야할 중점 과제를 본 연구에서는 우선 내적으로 학문적 및 사회문화적 차원에서의 ‘효의식’이나 ‘효문화’를 증진하기 위한 ‘효’관련 연구 단체들의 유기적 연대와 공동 연구를 들었다. 그리고 외적으로 정부나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의 법제적 및 행·재정적 지원체제 구축의제도화를 들었다. 이에 ‘효’관련 연구 단체들이 사계의 저명한 전문가들을 영입하고, 상호간에 유기적으로 연대하여 ‘효’와 관련된 전문 주제들을 공동 연구하고 해법을 찾아내어, 이를 학교나 시민사회에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일부터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안에서의 내실을 굳건히 다진 후에야, 외부로부터의 다양한 지원이나 협조를 요청하고 제대로 수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들을 종합해서 ‘역동적인효행 복합체계 모델’을 구성하였고, 이 모델 속에 들어있는 요소 하나하나가 앞으로 수행해야 할 중점 과제라고 해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the enforcement of ‘Law of Hyo encouragement and Aid’(‘the law of Hyo’, in short)’ that was passed through the National Assembly in August 2007 and became effective in August 2008, and to present the following tasks. In order to check the enforcement by the law, I examine the administrative & financial support of government or municipal governments, and the recognition or practice level on ‘the law of Hyo’ in civil society. The positive enforcement cases are for example Daejeon and Youngju city that are establishing ‘the Institute of Hyo Cultural Promotion’, and Seoul, Incheon, Pusan, Daegu that legislate the regulation related Hyo. But many municipal governments don’t make the regulation yet. So I can say the level of the administrative & financial support is low in general. And the level of recognition or practice on the law in civil society is also low, the education about Hyo in elementary and junior schools is not activated yet. The first following inner task to advance and support the Hyo consciousness or Hyo culture is that the groups related Hyo must strengthen cooperation and study jointly about Hyo. The another outer task i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administrative & financial aid systems. When we accomplish both the inner and outer tasks, we can realize the final goals, ‘Hyo encouragement’ and ‘Hyo aid’ by Hyo Law. In systems perspective, I make a ‘dynamic Hyo complex systems model’ to summary this following tasks.

      • 환경윤리의 접근 유형과 전개

        최문기 서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8 인문과학연구 Vol.7 No.-

        <ABSTRACT>Environmental ethics is not specific issue of ethics only, but general issue which other disciplines can deal with, In foreign countries, various scholors and decision-makers have participated in environmental problems-solving communally. But our country's circumstances are relatively in inactivity. So we mus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attempt to solve it. The purpose of my article is to study types and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ethics approaches. Up to now, anthropocentric approach has been dominant. We need to turn from anthropocentric approach to non-anthropocentric approach. My paper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 easily arguments in enviromental ethics and search toward direction of environmental ethics approach.

      • KCI등재

        휴먼 네트워크와 윤리적 리더십-팔로워십

        최문기 한국윤리학회 2019 倫理硏究 Vol.126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ethics and moral education in networks age. In general, networks can be defined as means of connecting ‘human to object’ and ‘human to human’ through certain medias, technologies, etc. Especially around the tim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level and scope of the networks are developing rapidly. In this article, however, I would like to use the scope of ‘network’ mainly by limiting it to connections between ‘human to human’. The 21st century has become a more networked, interdependent world. Recently, however, ‘gapjil’ or ‘molestation’ phenomena have been constantly occurring in large organizations such as public institutions, companies, military, hospitals and schools as well as small organizations such as franchise stores, apartment security rooms and supermarkets. Why do these phenomena continue to occur and is there no good way to mitigate or overcome them? The intent of this paper is to find some answers to these questions. The causes of these phenomena may vary, but I consider the most fundamental of them to be the lack of education which culture the ‘character’ and ‘professional quality’. So as one of the measures to address this problem, I propose the development of ‘ethical leadership-followership’ as the main content that can be addressed in the education as well as promoting ‘character and professional ethics education.’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란 특정 매체, 테크놀로지 등을 통해 ‘인간 대 사물’(인터넷 뱅킹, e-mail, SNS, 파일 공유 등), ‘인간 대 인간’을 연결하는 망으로 정의할 수 있다. 특히 제4차 산업혁명에 즈음하여 네트워크의 수준과 범위는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초연결 세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논자는 이 글에서 ‘네트워크’의 범위를 ‘사람대 사람’ 간의 연결로 국한시켜 사용하였다. 최근 공공 기관, 기업이나 회사, 군대, 병원, 학교 같은 큰 조직뿐만 아니라 프랜차이즈 가맹점, 아파트 경비실, 슈퍼마켓 같은 작은 조직에서도 ‘갑질’이나 ‘괴롭힘’ 현상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왜’ 이러한 현상들이 계속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완화 내지 극복할 수 있는 좋은 방안은 무엇일까? 본 논문은 바로 이러한 물음에 대한 나름대로의 해답을 찾아보려는 의도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현상들의 발생 원인은 다양할 수 있지만, 논자는 그 중에서도 가장 근본적인 원인으로 ‘인성’ 및 ‘직업적 자질과 소양’을 길러주는 ‘인성교육’ 또는 ‘직업윤리교육’의 부족으로 보았다. ‘인성’이나 ‘직업윤리의식’의 부족은 곧 ‘독성 리더십’이나 ‘독성 팔로워십’을 낳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 중의 하나로 ‘인성 및 직업윤리 교육을 활성화함은 물론 그 교육에서 다룰 수 있는 주요 콘텐츠로 ‘윤리적 리더십-팔로워십’의 발달을 다룰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