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의 대미 데탕트 시도와 북ㆍ중 동맹 관계의 재조명

        최명해(Choi Myeong-hae)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08 亞細亞硏究 Vol.51 No.3

        Extensive studies have been made as to examine how the Sino-U.S. rapprochement during the early 1970s affected South Korea’s relations with the U.S., Japan and North Korea. Regrettably, however, relatively a few researches on the Sino-DPRK security relationship have been attempted and left much to be desired. Previous works on this particular topic, generally focusing on the ‘mutual assista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appeared on the surface but failed to recognize their alliance’s growing laxity as well as its internal dynamics generated by different threat perceptions. This paper argues that the difference in their ‘comprehensive threat assessments’ has precisely shaped and managed the Sino-DPRK alliance diplomacy thus far. Strictly speaking, the seemingly close tie between Beijing and Pyongyang, especially in the era of Sino-U.S. reconciliation, was not exactly based on mutual consultation but dictated by China’s ‘preemptive diplomacy.’ In order to prove this point, this paper illustrates how China’s strategic concerns were changed in the early 1970s and describes why Beijing has been so obsessed to keep a close tie with Pyongyang. It also uncovers the hidden picture of “same bed, different dreams” in the Sino-DPRK relations by way of observing the changes of China’s external threat perception. In a word, the gap between their external threat perceptions produced considerably different expectations of the alliance. Lastly, this paper explains why and how Pyongyang moved away from Beijing and ‘tilted’ instead toward Washington in anticipation of a ‘direct bilateral talks’.

      • KCI우수등재

        북ㆍ중 동맹조약 체결에 관한 소고

        최명해(Choi Myeong-hae) 한국정치학회 2008 한국정치학회보 Vol.42 No.4

        본 논문은「조ㆍ중 조약」이 61년이라는 시점에 성립될 수 있었던 것은 3가지 상황적 맥락(contexts)이 상호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라 주장한다. 즉「조ㆍ중 조약」은 북한 내부 정치역학 구도의 변화라는‘대내적’요인과 중ㆍ소 분쟁이라는‘체계적’요인, 김일성의 외교적 능력이라는‘개인적’요인이 상호 복합된 결과였다. 그리고 그러한 복합적 맥락들은 조약의 내용(contents) 속에 구체적으로 투영되어 나타났다. 「조ㆍ중 조약」은 동맹의 ‘이중 기능’을 조약의 형태로 명문화한 것이다. 이 조약은‘대적 균형’이라는 동맹의 외적 기능뿐만 아니라, 상호 이해갈등의 관리를 목적으로 한‘내적결박’의 기능도 동시에 포함하고 있다. 북한은 주로 전자의 관점에서, 중국은 후자의 관점에서 조약을 성립시킨 면이 강하다. 이런 점에서 볼 때, 북ㆍ중 동맹조약은“동상이몽의 메타포”일 수도 있는 것이다. This paper argues that the interplay of three factors - domestic, systemic, individual - gave birth to the Sino-North Korean Alliance Treaty. The changes of North Korea’s domestic political structure, Sino-Soviet split, and Kim Il-sung’s diplomatic maneuvers had complex effects on the formation of the Treaty. Alliances are formed not only in terms of “external balancing,” but also from the perspective of “mutual tethering” which minimizes uncertainties in each other’s future strategic positioning. Such dual function of an alliance were reflected in the Sino-North Korean Treaty as well. Yet, North Korea, as a relatively weak party, gave its priority to “external balancing,” while China regarded “mutual tethering” more important. As such, the Treaty can be described as a metaphor for “sleeping in the same bed with different dreams.” This paper gives an explanation of the argument by way of answering to “why China and North Korea signed the Alliance Treaty in July 1961, long after the end of Korean War.”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양빈(楊斌) 사건과 북한ㆍ중국 관계

        김흥규(Heungkyu Kim),최명해(Myeong-hae Choi) 한국정치학회 2005 한국정치학회보 Vol.39 No.1

        본 연구는 1999년 이후 북ㆍ중간 관계가 복원되는 과정에서 2002년 10월 발생한 양빈 사건의 전말을 분석함으로써 그 간 ‘특수관계’로 설정되었던 북ㆍ중 관계의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인가를 검토하려 하였다. 양빈 사건은 북한이 중국의 조언을 받아들여 중국식 경제 발전모델을 모방한 신의주 특구지정 및 경제를 개방하려는 정책이 중국의 개입으로 좌절된 아이러니한 사건이었다. 본 연구는 관련사안에 대해 양국이 사전협의할 수 있는 채널이 대칭적으로 갖추어져 있지 않았고, 북한 내부에서도 관료 조직간 협의의 채널이 제도화되어 있지 않아, 위기 시 북한 내부 및 양국간에 이를 타개할 의사소통이 원활히 진행되지 못했다고 주장한다. 북ㆍ중 양 국간에는 양빈 문제를 둘러싸고 직접적인 협의 채널 없이, 각자의 의향에 따라 각기 다른 방식으로 양빈문제에 접근하였던 것이다. 그 결과 중국의 조언과 북한의 경제 개혁의지가 일치하여 야심 차게 시행된 신의주 특구지정이 양국간의 불협화음을 야기하면서 양빈사건으로 좌초되었다. Scrutinizing the details of the Yangbin incident of October 2002, during which Sino-North Korea relations were being restored,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substance of Sino-North Korea relations, often characterized as the 'special relationship.' Following the example of Chinese 'reform-and-open' model, North Korea opted to experiment on open-market economy and established Shinuiju Special Administration District (SAD) accordingly. Ironically, however, such policy initiative was in effect frustrated by China's arresting of Yangbin. This paper claims, against a widely shared conventional wisdom on Sino-North Korea relations, that no symmetric prior-consultation channel existed between Pyongyang and Beijing. Worse yet, coordination mechanism among various bureaucratic organizations was not institutionalized within North Korea. The result was a series of communication failures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also within North Korea. That was why smooth problem-solving effort was missing in this particular case. Thus, it is not completely surprising that both North Korea and China showed quite different intentions and approaches to Yangbin. As a result, Shinuiju SAD, though ambitiously executed in an accord between China's advice and North Korea's will to reform, was stranded, only leaving unpleasant discord behind.

      • '쫄' 교복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심성실,김진희,김누리,서영선,최명,김지영,김명현,최정화,이관,정해관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3 東國醫學 Vol.10 No.1

        목적 : 최근 학생들 사이에서 교복을 줄여서 꽉 끼게 입는 현상을 흔히 관찰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쫄’ 교복 착용이 건강재해를 유발할 것이라는 생각은 많지만 관련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는 ‘쫄’ 교복 착용이 소화기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시행하게 되었다. 대상 및 방법: ‘쫄’ 교복 착용에 의한 행동의 부자유도와 옆터짐 정도를 본 연구진이 개발한 INDEX 조사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00여고 2학년 198명에 대해 ‘쫄 교복 착용군 89명, 미착용군 109명을 설문조사하였다. 결과 : 일개 여고생들에게 ‘쫄’ 교복 착용률은 44.9%이었으며 조기 포만감과 상복부 이물감 호소율이 ‘쫄’ 교보 착용군에서 미착용군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소화기계 증상 발생의 위험 요인에 대한 다중 로지스틱회귀분석에서 줄여 입은 군의 줄여 이비 않은 군에 대한 교차비는 2.01(95% CI 1.05-3.83), 아침을 먹은 군이 먹지 않은 군에 대한 교차비는 0.32(95% CI 0.10-0.99), 스트레스가 있는 군이 없는 군에 대한 교차비는 2.65(95% CI 1.31-5.38)로 조사되었다. 결론 : 여고생에서 ‘쫄’ 착용은 소화기계의 건강장해를 유발한다고 조사되었다. 단순한 유행의 하나로 '쫄‘ 교복을 착용할 수는 있지만 이로 인한 건강장해가 발생한다면 이는 청소년들에서 중요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쫄‘ 교복착용의 부작용에 대한 다양하고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하며 일선 학교에서도 홍보와 계도가 필요하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health effects of a tight school uniform in high school girls. Of the health effects, we focused gastrointestinal disorders. Methods :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198 students at a girls' high school in Gyeongju. One hundred ninety eight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wearing on a tight school uniform(TSU) and a loose school uniform(LSU). We have measured the extent of discomfort related to motion and a garment rips through tightness INDEX developed by the authors. Results : The proportion of students wearing TSU was 44.9%. TSU group complained significantly more early gastric satiety and epigastric foreign body sensation than LSU group (P<0.05).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TSU(OR=2.01, 95% CI:1.05-3.83), regular breakfast(OR=0.32, 95% CI:0.10-0.99), and stress (OR=2.65, 95% CI:1.31-5.38)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astrointestinal symptoms.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clothing pressure from a tight school uniform has some effects on the gastrointestinal disorder. More extensive epidemiological studies and public activities for adverse effects of a TSU is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