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온택트 시대 사이버대학교 실시간 비대면 음악수업 정교화를 위한 학습자의 수업흥미와 학습경험에 대한 분석

        최동연(Choi Dong Yeon),김지운(Kim Ji Un)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1 음악교육공학 Vol.- No.49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의 실시간 비대면 음악수업에서 학습자의 수업흥미와 학습경험을 분석하여 온택트 시대에 적용할 수업방식의 정교화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구글 워크스페스를 활용한 실시간 비대면 수업환경을 구성하여 84명의 학습자에게 음악교육을 실시하였다. 실시간 비대면 음악교육 실시 전과 후에 학습자의 수업흥미도를 확인하였고, 한국어 텍스트 분석 소프트웨어인 KrKwic(Korea Key Words in Context)과 사회연결망 분석 소프트웨어인 Ucinet의 넷드로(Netdraw)를 활용하여 학습경험에 등장하는 주제어들의 중심성(centrality)을 의미연결망으로 시각화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비대면 음악수업에서 학습자의 수업흥미 중 주목성, 관련성, 만족감은 높은 수준을 보였고, 학습경험에서는 실제상황과 학습동기를 제공하는 비대면 교육에 대한 만족감이 높았으며, 다양한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혼합 형태의 블랜디드러닝에 대한 요구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비대면 음악수업에서 수업흥미와 다양한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보다 정교한 학습환경의 설계를 위한 교육적 함의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elaboration of the teaching method to be applied in the ontact-era by analyzing the learning interests and learning experiences of learners in non face-to-face music classes at cyber university. For this purpose, a non face-to-face music class environment using Google Workspace was constructed, which was provided to 84 learners. Before and after non face-to-face music education, learners interest in class was examined, and by using both KrKwic (Korea Key Words in Context), a Korean text analysis software, and Ucinet a social network analysis software, the key-words of the learning experience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non-face-to-face music classes showed high levels of attention, relevance, and satisfaction among learners class interests. The need for blended learning in a mixed form was identified. These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hav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design of a more sophisticated learning environment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situations and learning interests in non face-to-face music classes.

      • KCI등재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격차와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분석 : 활동이론을 바탕으로

        김용덕(Kim Yong Deok),최동연(Choi Dong 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이 연구는 사이버대학 성인 학습자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수준을 확인해 보고, 성공적인 학습과 학교생활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 지원체계에 대한 요구를 도출하여 이를 통해 사이버대학교 성인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지원활동에서의 시사점을 논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구체적으로 대전 소재 K사이버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수준을 연령과 입학 전 학력별로 살펴보고, 학습자들의 요구사항을 활동이론을 분석을 틀로 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은 2020년 3월 30일부터 4월 11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하였으며,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을 5개 역량군으로 확인하고 추가로 디지털 관련 문제 해결방법과 자유로운 요구사항에 대한 의견을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정보와 자료검색 역량, 콘텐츠 개발역량은 연령대가 낮고 학력이 높을수록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의사소통 역량은 연령에 의한 효과가 컸으며, 안전과 보안 역량과 문제해결 역량은 연령과 입학 전 학력에 관계 없이 모두 낮은 수준을 보였다.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사항은 구체적인 학습 목표의 제시, 프로그램의 시기와 학습규칙, 커뮤니티 차원의 활동, 학습시스템에서의 상호작용에 대한 요구사항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y level of cyber university adult learners and to derive the demand for a digital literacy competency supporting program for successful learning and school life. Through these derived demands, the implications for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y supporting program of adult learners at Cyber University were derived. Specifically, an onlin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575 students from K Cyber University in Daejeon to examine the level of digital literacy competency by age and pre-admission. And the requirements of learners were analyzed by applying activity theory as a framework.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30 to April 11, 2020, and the level differences of the five competency groups of digital literacy and the requirements for the competency supporting program were collected.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rom March 30 to April 11, 2020, and the gaps in the five competency groups were collected on for digital literacy, solutions to digital problems, and free requirem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ower the age group and the higher the educational background are, the higher the ability both to search for information and data and to develop content are. However, communication competence is influenced by age, and safety and security competency, and problem-solving competency are all low, regardless of age and education. The requirements for the Digital Literacy Enhancement Program were to provide specific learning goals, timing and learning rules, community-level activities, and interactions in the learning system. At the end of the study, a follow-up study was proposed based 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 KCI등재

        수행공학접근을 활용한 요양보호사 실습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도출

        김용덕(Yong-Deok Kim),최동연(Dong-Yeon Choi),황혜정(Hye-Jeong Hw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7

        본 연구는 수행공학(HPT:Human Performance Technology) 접근을 통해 요양보호사 실습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방안을 정보, 도구, 동기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연구는 2020년 11월 1일부터 12월 15일까지 서울시 사회서비스원 7개 센터의 센터장과 소속 요양보호사 111명을 대상으로 설문, 개인면담 및 교육내용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측면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은 돌봄대상자의 질병과 장애의 특성에 따라 케어 스킬을 세분화하여 실습교육 콘텐츠를 구성하는 전략이 요구된다. 특히 노인성 질환에 대한 상식, 치매와 장애유형별 지식, 응급상황별 대처 방법에 대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도구측면에서 발생된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은 현장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 질환에 대한 케어방법과 매뉴얼에 대한 표준화가 필요하고 현장 실무경험자를 통한 현장감 있는 실천기술의 내용을 온라인 영상콘텐츠로 제작하여 공유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동기측면의 해결방안은 선배들의 경험담과 실천기술을 담은 짧은 영상과 비디오 클립을 제공하여 동기부여용으로 활용하며, 실무역량을 증진과 자부심을 제공하는 장기적인 교육프로그램의 설계가 필요하다. This study identifies problems associated with practice education for caregivers by applying a human performance technology approach, and suggests solutions concerning information, tools, and motivation. The study was undertaken between November 1 to December 15, 2020; questionnaires, personal interviews, and educational content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center heads and 111 caregivers belonging to 7 centers of the Social Service Center in Seoul. Following results were determined from the collected data. First, a solution is needed in the information category, wherein a strategy is required to segment care skills according to the disease and disa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afflicted recipient receiving care, and to compose practical educational content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formation on common sense related to geriatric diseases, knowledge by type of dementia and disability, and how to deal with emergency situations. Secon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concerning tools,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the care methods and manuals for diseases frequently encountered in the field. Third, a solution for motivation is to provide and use short video clips containing the experiences and practical skills of seniors, and also design a long-term educational program that enhances the practical skills and augments self-esteem.

      • KCI등재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모델링

        김용덕(Kim Yong Deok),최동연(Choi Dong 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3

        최근 정보와 지식기반 사회로의 전환과 함께 새로운 평생교육기관 및 고등교육환경으로 사이버대학교의 위상이 강화되고 있다. 사이버대학교의 주요 재학생은 성인학습자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이 성공적으로 학교생활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이 필요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교 성인학습자에게 적합한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필수 역량을 도출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우선 디지털 역량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과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통해 성인학습자에게 요구되는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세분화하여 잠정적인 역량을 도출하였다. 그런 다음 22명의 사이버대학교 현직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2019년 9월 23일부터 10월 19일까지 2차에 걸친 델파이기법을 실시하여 잠정적인 역량을 수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역량에 대해 전문가를 대상으로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5개의 역량군, 16개의 역량, 26개의 역량 정의를 최종적으로 확정하였다. 연구결과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들에게 필요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은 ‘정보와 자료이용 역량군’, ‘의사소통과 협업 역량군’, ‘디지털 콘텐츠 개발 역량군’, ‘안전과 보안 역량군’, 그리고 ‘문제해결 역량군’으로 구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이버대학교에 근무하는 교수의 관점뿐만 아니라 행정을 담당하는 직원의 관점에서 성인학습자에게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추출한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이러닝을 수강하는 학습환경뿐만 아니라 학교시스템을 이용할 때 요구되는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까지 종합적으로 포함하였기 때문에 향후 성인학습자의 성공적인 학업을 지원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with the transition to an information and knowledge-based society, the status of cyber universities has been strengthened as means of new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higher education systems. The major students at cyber university are composed of adult learners, who need digital literacy competency to succeed in school life.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the essential competency for digital literacy suitable for cyber university adult-learners. For this purpose, analyzing previous studies on digital competencie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were conducted to derive the potential digital literacy competency required by adult learners. Then, the Delphi survey of 22 in-service cyber university experts was implemented to revise potentially designed digital literacy competency for adult learners. Lastly, the validity of the revised digital literacy competence was conducted by experts and finally five unites of competency, 16 detailed competencies, and 26 competencies definitions were finaliz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has it that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e required for cyber university adult learners are information and data use competency ,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competency , digital content development competency , safety and security competency and problem solution competence .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y necessary for adult learners is to extracted not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in-service professors at cyber university but also from that of administrative staff. These results, which include comprehensive digital literacy competency not only for the e-learning environment but also for using school system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support the successful learning of cyber university adult learners in the future.

      • KCI등재

        수행공학(HPT) 모형을 적용한 보험설계사의 정착률 향상방안 탐색

        김영주(Kim Young Ju),최동연(Choi Dong Yeon),한상길(Han Sang Ki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5

        본 연구는 수행공학(HPT) 모형을 기본절차로 보험설계사의 정착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교육의 수요자인 보험설계사 중심의 교육적 관점으로 도출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2016년 4월 6일부터 15일까지 H생명보험 회사의 보험설계사 52명, 그들을 관리하는 코칭매니저 6명, 그리고 연수원의 교육담당자 6명을 대상으로 설문, 참여관찰, 그리고 인터뷰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채용 후 13차월 및 25차월로 진행되면서 정착률 하락이 문제점으로 제기되었고, 이에 대한 원인으로 신입 보험설계사의 채용 기준의 모호성, 실질적인 판매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교육체계, 안정적이지 못한 급여와 직업의식의 부족으로 분석되었다. 해결책으로 보험설계사 중심으로 교육 기획과 개발의 일원화, 합숙교육을 통한 채용, 직업의식과 동기향상을 위한 태도교육 등이 도출되었다. 이 결과는 직원들의 특성에 맞는 학습자중심의 기업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구현과 자리매김을 위한 기초자료가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life insurance company financial consultants’ settlement rate based on human performance technology process model. To achieve this purpose, collecting and analyzing related from 52 financial consultants, 6 couching managers, and 6 educational staffs at the training center of H life insurance company were applied by way of survey,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interview. Specifically, performance problem was that both settlement rate and contract retention rate decreased from 13th month to 25th month after employment. For the analyzing ground caused of this problem, Gilbert’s Behavior Engineering Model(BEM) was applied. Result indicated that main causes included the ambiguity of the insurance planner s hiring standards, the education system unable to provide practical sales information, and the lack of stable salary and job consciousness. After that, possible solutions were devised based on the Priority factors. The suggested solutions were to establish employment standards, to unify education planning and development, to formulate basic salaries, and to strengthen employee welfare policy. Findings from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stable insurance financial consultant s settlement rate.

      • KCI등재

        장기요양서비스 종사자 교육과정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 활동이론(Activity Theory)을 중심으로

        서용완(Yong-Wan Suh),최동연(Dong-Yeon, Choi)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4

        본 연구는 장기요양서비스 종사자 전문성 강화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을 통해 온라인 학습으로 성인학습자 직무역량 교육과정의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구체적으로, 장기요양서비스 관련 선행 연구와 정부정책 자료를 분석하고, 유관근무기관의 전문가 14명을 대상으로 2019년 3월에 초점집단 인터뷰 (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여 활동이론(Activity Theory)을 분석의 틀로 활용하여 정리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요양시설 종사자 25명을 대상으로 필요 교과목의 중요성과 난이도에 대한 설문인 양적자료를 기술통계 분석을 통해서 질적자료 분석의 결과를 타당화 하고자 하였다. 활동시스템의 주체-목표-도구의 윗부분을 주된 행위의 영역으로 보고, 아래의 규칙-공동체-분업을 행동을 위한 맥락적 부분으로 구분하여 요구분석과 추후 온라인 교육과정의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연구결과, 기초 과목으로 ‘노인상담기술과 의사소통’, 기본과목으로 ‘요양케어지도론’, ‘현장에 필요한 치매케어기술’, ‘케이기술과 식이요법’, ‘근로기준법과 인사관리’, 그리고 심화과정으로 ‘장기요양사례 관리의 활용’이라는 6개의 과목이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한편 이러한 과목은 다양한 형태의 집체교육과 보수교육에 활용되어 다양한 장기요양서비스 봉사자를 위한 학습자 중심의 플립러닝으로 활용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연구의 말미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과목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교육현장에서 적용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eds for developing a curriculum for strengthening the long-term care service expertise and job competency. Specifically, the researchers analyzed previous studies on national long-term care services and national policy data, and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14 experts from related agencies. Activity theory was applied as a framework for analysis and a questionnaire about the importance and difficulty of subjects from 25 long-term service employees was administered for validating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The upper part of the subject-goal-tool of the activity system was considered the main area of action, and the following rule-community-division was divided into contextual parts for action, and the implications for demand analysis and future operation of the online curriculum are summarized. In total, six courses were required for development. These courses could be applied to as a learner-centered flip learning for long-term care service workers and various educational methods of collective education and supplementary education have been proposed. Based on the study results, implications in the educational field for effective management of courses were suggested at the end of th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