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삼척시의 역사문화예술 자원 활용 방안

        최도식 강원사학회 2024 江原史學 Vol.0 No.42

        전국 각 지자체는 지역의 역사문화 사업을 활발히 펼치고 있다. 그 가운데 지역역사 인물, 건축물 등을 통한 콘텐츠가 역사문화 사업에 활용되고 있다. 이에 본고는삼척시의 문화도시 이미지를 개선하고 관광 자원으로써 활용 가능한 역사문화예술자원 콘텐츠의 활용 방안을 제안했다. 삼척시의 문화자원 활용은 주로 지리적인 환경적 요소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역사문화자원 활용은 죽서루, 이사부사자공원, 수로부인헌화공원, 해신당공원 등몇몇 자원에 국한되어 있다. 삼척시의 역사문화자원 콘텐츠 활용은 미미하기에 두가지 측면에서 활용 방안을 제시했다. 첫 번째 역사문화자원 활용 방안은 목조각 거리 조성이다. 관광 유형에는 지역분산형 관광과 도심 밀집형 관광이 있다. 지금까지 삼척시의 관광 개발은 분산형관광이었다. 그런데 필자는 도심 밀집형 관광 개발을 제안했다. 도심 밀집형 관광을구현하려면 대학로 일대에 관광 요소를 개발하고 콘텐츠를 재창조해야 한다. 실례로이사부가 우산국 정벌에 활용한 목조각 사자상과 해신당 설화를 배경으로 한 목조각남근상은 삼척만의 특색 있는 역사문화 콘텐츠다. 목조각 거리는 이사부의 사자상, 해신당의 남근상 등과 세계 목조각(나무깎기) 대회를 개최해 동물상, 인물상, 생활상등 다양한 소재의 생활 밀착형 테마 목조각을 거리로 조성해야 한다. 더 나아가목조각은 목공예품으로 상품화될 수 있고, 생활 밀착형 목공예 체험 프로그램 등 도심 체험형 관광으로 이어질 수 있다. 두 번째 제안은 ‘삼척 근대산업역사・문학관’ 건립과 죽서루 뱃놀이 체험 프로그램 개발이다. 죽서루에서 대학로로 이어지는 도심 투어는 중간 정류의 기능을 담당할 기념비적 장소가 필요하다. 삼척시의 경우 그 대표적 플랫폼 중 하나가 역사 인물 이승휴 콘텐츠다. 삼척은 이승휴가 『제왕운기』를 찬술한 도시이니 만큼 ‘이승휴 제왕운기 상설관’을 통해 이승휴의 사상과 얼을 기리고, 삼척시를 우리 민족의 자주적 역사 산실로 이미지화 할 수 있다. 또한, 삼척이 근대산업의 중시 도시였던 만큼 근대산업 역사관을 건립하여 근대산업 중심도시의 명성과 역사를 널리 알려야 한다. 또 ‘삼척문학관’ 건립은 문향(文香)의 도시라는 이미지로 도시 마케팅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죽서루가 역사적·문화적·건축적·경관적 측면에서 그 가치성을 인정받아 국가지정문화재 국보로 지정된 만큼 보는 관광을 넘어 체험형 관광을 가미해야 한다. 가령, 오십천 뱃놀이를 통해 죽서루의 관광 요소를 가미하여 삼척 도심 투어 관광을 활성화해 나갈 때 삼척은 역사문화의 도시로 다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local governments utilize various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for tourism. Local governments are actively carrying out local historical and cultural projects. Representative historical figures and buildings of the region are created as content and frequently used in local historical and cultural projects. Therefore, this study studied the use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 contents in Samcheok City. In particular, measures were presented to improve Samcheok City’s image as a cultural city and to improve the content of historical, artistic and cultural resources that can be utilized as tourism resources. Samcheok City only develops tourism resources based on Samcheok’s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e use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s limited to a few resources, such as Jukseoru Pavilion(죽서루), Iabusa Park(이사부공원), Surobuin Lady Suro Flower Tribute Park(수로부인헌화공원) and Haesindang Park(해신당공원). The content of Samcheok City’s historical, artistic and cultural resources is wea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ransform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with cultural value into content. Accordingly, this study presented a plan to utilize Samcheok City’s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from two aspects. The first is to create a wood sculpture street as a way to utiliz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Types of tourism include regionally dispersed tourism and urban concentrated tourism. Until now, Samcheok City’s tourism development has been a distributed tourism development. However, this study proposed urban dense tourism development. For Samcheok City’s urban dense tourism, the university street should be developed into a sculpture street. A wooden lion statue was used by the Shilla general Isabu(이사부) when he conquered other countries. And Penis wood sculpture with the phallic folklore as the background is a special feature of Samcheok City’s historical culture. Wood carving involves making things like the lion statue of Isabu and Korean phallic folklore. And through the World Wood Sculpture Contest, various objects and materials such as lion statues, human figures, and life scenes should be displayed as wooden sculptures with theme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daily life. This is because wood carvings can be commercialized as wooden crafts and lead to lifestyle-oriented, urban experiential tourism. The second proposal is to create a ‘Samcheok City Modern Industrial History Museum and Literature Museum.’ In addition, we are developing a yachting experience program in Jukseoru. Jukseoru Pavilion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city. City tours require a monumental location that functions as an intermediate platform. In particular, dense urban tourism requires a monumental platform in the city center. In the case of Samcheok City, one of its representative platforms is a historical figure called Lee Seung-Hyu(이승휴). Lee Seunghyu described Jewangungi(제왕운기: Songs of Emperors and Kings) in Samcheok City. We must create a ‘Lee Seung-Hyu’s Permanent Museum of Jewangungi(제왕운기)’ to publicize Lee Seung-Hyu’s ideas and promote the nation’s independent historical spirit. In addition, Samcheok City was an important city for modern industry. A modern industrial history museum should be created to display the reputation and history of the modern industrial city. In addition, a Samcheok city literary museum should be created to commemorate literary figures from Samcheok city. Lastly, Jukseoru was recognized for its value in historical, cultural, architectural, and natural aspects. Jukseoru is a nationally designated cultural property. Therefore, we need to add more experiential tourism such as what tourists see and yachting. Then, Samcheok City will be able to reestablish itself as a city of history and culture.

      • KCI등재
      • KCI등재

        1930년대 연작 형식의 유형에 관한 고찰 -「烏瞰圖」와 「氣象圖」를 대상으로

        최도식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09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43 No.-

        This study is an object text with Ogamdo(오감도) and A weather chart(기상도) of 1930's modern series poem. This study sorts series poem with two types of Ogamdo(오감도) and A weather chart(기상도). As a result, series poem has an infinite series form and finite series form. Ogamdo(오감도) of Lee sang is a text without an external limit and a internal border. Like an Ogamdo(오감도), the infinite series-poem is not development of the teleology. This does not have the beginning, too and there is not the end too. The texts is connected with accidental combination and random combination and arbitrary combination. An infinite series-poem forms relations of a irregular and the discontinuity in the mutual relations of the texts. In addition, this forms an infinite mutual relations of texts. Hereby, significance of text emits centrifugal force in the mutual relations of the texts. A weather chart(기상도) of kim Gi-rim arranges an individual text in prior to incursion of a typhoon and incursion of a typhoon and afterward to incursion of a typhoon by a procedure in time. A weather chart(기상도) does not disturb the continuous chain of the individual text. A weather chart(기상도) is the finite series of limited structure from prior to incursion of the typhoon to typhoon afterward. The text combines individual texts continually. The combination of the text suppresses the left significance of the individual text and tuning to significance of the individual text. The combination of the text is made from a significance by centripetal force.

      • KCI등재

        신동엽의 『금강』에 나타난 공동체 연구 - 동학농민운동을 중심으로

        최도식 동학학회 2016 동학학보 Vol.0 No.41

        이 연구의 목적은『 금강』에 나타난 동학농민운동 공동체의 특성과 동학농민운동의 성격을 규명함으로써 신동엽이 서사시『 금강』에서 추구하고자 한 공동체의 지향점을 고찰하는 것이다. 신동엽은『 금강』에 동학농민운동과 그 공동체를 시로 형상화한다. 이에 본고는 동학공동체, 농민공동체, 민족공동체, 인류공동체로 그 각각을 살폈다. 이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동엽은 서사시『 금강』에서 동학이념을 사상적 기초로 하여 동학공동체를 시로 형상화하고 농민공동체를 통해 새로운 이상사회를 제시했다. 안으로는 동학의 사인여천(事人女天)을 근간으로 봉건적 질서를 타파하고 새로운 사회체제를 통해 민족공동체를 회복하고자 하였으며, 밖으로는 척양척왜(외부적 저항)의 동학 강령을 통해 외세를 몰아냄으로써 민족의 자주성과 주체성을 회복하고자 했다. 둘째, 그는 인류 공동체를 추구하고 특권층이 없는 평등한 사회, 무정부 마을과 같은 사회, 반생명적·반인격적 물질주의를 배격할 때 이룩될 수 있는 원시 공동체사회, 동학의 이상사회를 구체화해 보여주었다. 셋째, 그는 우리가 이러한 생명공동체의 세계를 지향할 때 이룩될 수 있는 귀수성의 세계인 인류 공동체를 우리 스스로가 추구하기를 바랬다. 연구에서 제시한『 금강』의 공동체적 속성은 동학에 내재된 공동체의 속성과도 부합했다. 따라서 본고는 동학이 지향한 이상적 공동체의 모습을 규명하고, 더 나아가 근대사회의 공동체적 이상과 동학의 공동체적 이상이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가를 밝히는 추가적인 논의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This study aims to shed light on the nature and goal of the community pursued by Shin Dongyup, by figuring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shown in Donghak(東學) peasant revolution and the feature of the movement itself which are shown in his epic Geumkang (river). Shin Dongyup provides imagery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its communities through Geumgang . Based on this, this study classified them into the Donghak community, peasant community, ethnic community, and human community. The followings are the contents of the study. First, Shin Dongyup provides imagery of Donghak community based on the idea of Donghak and suggested new ideal society through the peasant communities in his epic Geumgang . Internally he tried to restore the ethnic communities through a new social system by breaking down the feudal order based on Donghak’s ‘Sainyeocheon’(事人如天, humanitarianism in Donghak, meaning ‘respect humans like heaven’), and externally he tried to restore national independence and autonomy by driving out the foreign power based on Donghak doctrine ’Cheokyangcheokwae(external resistance, meaning ‘to resist Western countries and Japan’). Second, he pursued the human community and he crystallized the shape of an equal society without any privileged class, a society like a anarchic village, a primitive community that can be achieved by rejecting anti-life, anti-human materialism, and an ideal society of Donghak. Third, he wanted us to pursue the human community by ourselves, which is a world of recurrence(歸數性, the heart of a seed returning to the earth after the fruit ripens) that can be achieved by moving toward the world of life community. The properties of community in Geumgang suggested in this study was consistent with the properties of inherent community of Donghak. Therefore, this study is examining the forms of ideal communities which Donghak aimed at, and furthermore this study looks forward to elicit an additional discussion clarifying how the ideal of Donghak community is related to the ideal of modern society’s community.

      • 계열별 글쓰기의 특성과 교육방법적 모형 개발- 통섭형 글쓰기로의 지향 -

        최도식 시학과언어학회 2015 시학과 언어학 Vol.0 No.29

        The writing class in the university mainly requires three kinds of purpose; for liberal artistic, practical, and academic purposes. Considering those kinds of purposes at the same time, Curricular Writing was invented to meet multi-purpose. Curricular Writing is one of the most efficient way for education with the least credit in the different curriculum. The purposes of Curricular Writing course are to connect, approach, procedure, speculation, expression for pursuing the academic research between major subject and liberal art integrally and comprehensively. To make these kind of integral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 we should recognize the difference and heterogeneous quality by each curricula. We should also understand the difference quality of each curricula and develop writing patterns for their purposes. Specially, logical sequence, inference, rhetoric and persuasion, and reaction should be considered. If we recognize the multi-purpose of writing in each curricular, each writing has their own identity. So the Curricular Writing class need to help their own academical identity. It will be the Curricular Writing class, integral writing), to teach how to connect student's passion, perspectives, experience, identity of emotion for their own subject with content, analysis procedure for their study. This study suggests teaching model of integral writing as educational approach for Curricular Writing class. Integral writing should arrange parallel based on logical sequence, inference for each curricula. When students arrange their support in parallel formation, they have to connect human, social, and natural science with new ones such as existing background knowledge and expriences. These kinds of integral connection need insight. Therefore, through close observation and analysis for each curricular, we can develop integral writing to unsettle boundary and communicate each curricular.

      • 윤리적 경험으로서의 자서전적 글쓰기 교육-‘연대기’와 ‘자기소개서’를 중심으로-

        최도식,국원호,김장원 시학과언어학회 2015 시학과 언어학 Vol.0 No.31

        본 연구는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논리적 글쓰기, 학술적 글쓰기로부터 소외되고 있는 윤리적 경험의 중요성을 자서전적인 글쓰기를 통해 그 실천적 의미를 재고해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논리적, 학술적 글쓰기는 대학의 학적 전통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형이상학적 사고의 과정이며 실천이다. 그런데 이에 대한 편향적인 글쓰기 교육이 문제시되고 있다. 대학생들의 글쓰기 교육에서 자서전적 글쓰기 교육은 논리중심적인 글쓰기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자아에 대한 글쓰기 유형이다. 특히, 학생들은 자서전적인 글쓰기의 수행적(performative) 과정을 통해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며, 자기의 삶을 다시 기억하고 되새겨볼 수 있으며,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존재와 위상을 객관화의 시각에서 재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자서전적인 글쓰기 교육은 자기동일성의 글쓰기에 국한되어서는 안 되며, 삶의 성찰과 기억의 서사를 통해 정체성을 형성해 나가는 데에만 국한되어서도 안 된다. 오히려 자신의 정체성을 탈중심화하면서, 타자와의 관계를 재인식해야 한다. 자아와 타자의 연관성에 대한 인식은 윤리적 경험의 순간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렇기에 자서전적 글쓰기는 자아의 구성에 국한된 글쓰기가 아니라 타자성의 경험을 수용하고 받아들이게 되는 윤리적인 행위가 되어야 한다. 이런 글쓰기의 실천은 자서전적 작가로서 주체가 나와 가족, 나와 집단, 나와 사회, 그리고 자신의 운명 등을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자기기억의 서사로 기술하는 수행적 과정이다. 그 수행적 글쓰기 활동은 윤리적 관점으로 자아 정체성을 재형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므로 자서전적 글쓰기 교육은 학생들의 정체성 변화와 성장뿐만 아니라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새롭게 사회를 들여다볼 수 있는 인식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윤리적 글쓰기라 할 수 있다. 또한, 자서전적 글쓰기 교육에서 학생은 자서전의 작가로서 자기 동일성의 해체와 탈구축을 통해 윤리적 주체가 되어가는 과정 중의 주체를 경험하며, ‘현재’와 의사소통할 수 있는 수행적 글쓰기를 경험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자서전적 글쓰기의 이런 측면이 논리 중심적인 현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보완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 KCI등재후보

        이성교 시의 이미지 연구

        최도식 인문예술학회 2018 인문과 예술 Vol.- No.5

        This paper diachronologically studied the image of Lee Sung-gyo’s poetry. He is called a poet of Gangwon-do. Lee is from Samcheok City, Gangwon Province. And he is a poet of Gangwon-do who lyrically sing Gangwon-do’s emotion with Gangwon-do as a poetic object. Lee Sung-gyo creates the world of Gangwon people's life affection and regret (情恨) with traditional emotion. Gangwon-do and Yeongdong area are used as poetic material to symbolize Korean lyricism. Therefore, this paper looked at the aspect of the transitional change in the image of Gangwon-do in his poem. The early poems of Lee Sung-gyo sing images of mountains, images of rain, and images of the sea. Middle-term poem sings images of birds, images of wind, images of water, images of children. This image is an image of home and a community utopia. Late poetry portrays objects of memory as sensory images. It is a return to home and an image of salvation. The image of a mountain is an image of closure, opening, clogging, and openness. This is the coexistence of subordinate and maternal images. And in the image of rain, Rain in the night is an image of scars and scars, and spring rain is an image of longing and peace. In the ocean image, the blue image is the image of affluence and life, and the black sea is the image of life dangers, the image of suffering. The mid-term poetry of Lee Sung-gyo is an image of his hometown. The image of birds is an image of flying love. This describes the life of the community. The image of wind is pure and richness. The image of water is community consciousness and the image of children is community utopia. The late poetry of Lee Sung-gyo is the object of longing. The objects are nature, hometown, Gangwon-do, Yeongdong region, mother, nostalgia, Jesus Christ. He portrays images of memories and faces. So I go back to my hometown. Love is abundant in the homecoming. And changes the image of the mother into the image of God. It is the noble life of the sacrifice and devotion of Jesus Christ toward the salvation of mankind. Christ is described as a mother. Lee Sung-gyo described the image of God in the image of the mother. So the world of salvation sings there. The object that appears in the poem of Lee Sung-gyo is a metaphor. Lee Sung-gyo designates unending design of Gangwon-do and hometown. The unending design is the most Gangwon-do and the most Korean image. 본 논문은 강원도의 시인으로 불리는 이성교 시의 이미지를 통시적으로 고찰했다. 이성교는 강원도 삼척 출신으로 강원도를 시적 대상으로 삼아 강원도의 정서를 서정적으로 노래한 강원도의 시인이다. 이성교는 강원도 사람들의 삶의 애환과 정한(情恨)의 세계를 전통적 정서로 시화하였으며, 강원도와 영동지역을 시적 소재로 한국적 서정성을 이미지로 형상화했다. 따라서 본고는 그의 시에 나타난 강원도의 이미지를 초기시, 중기시, 후기시로 나누어 통시적 변화의 양상을 살폈다. 이성교가 초기시에서 주로 다룬 시적 대상은 산, 비, 바다 등의 이미지이며, 이 객관적 상관물을 통해 그는 자기동일성의 세계를 보여준다. 중기시는 새, 바람, 물소리, 아이들 등의 이미지가 주가 된다. 이 이미지는 고향을 이미지화하여 공동체의 이상을 보여준다. 후기시는 미망(未忘)의 대상(임)을 감각적 이미지로 그려내어 본향회귀와 구원의 세계상으로 형상화한다. 초기시의 주요 배경인 산의 이미지는 닫힘과 열림, 막힘과 트임의 이미지로 부성적 이미지와 모성적 이미지가 공존한다. 그리고 비의 이미지는 밤비의 경우 상처와 상흔의 이미지로 나타나며 봄비, 햇비의 경우 그리움(동경)과 온유(평온)의 이미지로 나타난다. 바다 이미지는 푸른 색채 이미지의 경우 풍요·보호·생명창조의 이미지이지만 거무스름한 바다는 생명을 위협하는 이미지이자 고달픔과 고된 삶의 이미지로 나타난다. 이성교는 중기시에서 고향의 이미지를 본격적으로 드러낸다. 새의 이미지는 날아오고 환해지고 불거지고 피어오르는 인정의 이미지로 마을공동체의 삶을 형상화하며, 바람 이미지는 순박함과 훈훈한 삶, 인정과 풍요가 서로 어우러진 마을공동체의 이상으로 형상화된다. 물의 이미지와 핏줄의 이미지를 통해 공동체 의식을 표출하며, 아이들의 웃음소리와 아이들의 이미지를 통해 공동체의 이상을 형상화 한다. 이성교의 후기시는 그리움의 대상이 임으로 함축되며 그 임은 자연, 고향, 강원도, 영동지역, 어머니, 정을 나누던 그리운 사람, 예수 그리스도로 치환된다. 그는 추억의 얼굴과 추억의 사건을 이미지화하여 고향으로 회귀하며, 고향회귀는 훈훈한 삶과 풋풋한 정이 공유되는 본향회귀이다. 그리고 어머니의 형상을 하나님의 형상으로 치환하여 인류의 구원(救援)을 향한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과 헌신의 고귀한 삶을 어머니의 희생과 헌신의 고귀한 삶으로 형상화한다. 이처럼 이성교는 신(神)의 형상을 어머니의 형상으로 형상화하여 인류의 구원을 본향회귀의 혜안(慧眼)으로 노래한다. 이성교의 시에 나타난 시적 대상에 대한 병치 은유는 이성교가 펼치는 강원도와 고향을 이미지화하려는 그의 끝없는 시적 도안(unending design)이다. 그 시적 도안(圖案)을 통해 그는 가장 강원도적인 시적 대상이 가장 한국적인 시상(詩想)임을 강원도의 이미지를 통해 보여주었다.

      • KCI등재후보

        빅데이터를 통해 본 한국 현대 시인 인지도 및 평판분석

        최도식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2018 탈경계인문학 Vol.11 No.2

        Which of the modern poets of Korea will be frequently found in the public? Which poems will be found in the public? To answer this question, they used Big Data, which has recently been in the spotlight. The study's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used Google Trends, thumb trends, and social metrics. The analysis procedure searched for 100 poets with Google Trends. 27 people with high frequency of search were compared. The study had a reputation analysis of 13 of the 27 poets. The first analysis of the study showed that Kim So-wol, Han Yong-woon, Seo Jung-joo, Kim Chun-soo and Jung Ji-yong had a high number of searches. The relevant search result for the study was Kim So-wol's "Azaleas", "Invocation of the spirits of the dead", "Some distant day", "A mountain flower", "My house" and Han Yong-woon's "Your silence", "I don't know", "Obedience", Seo Jeong-joo's "By Chrysanthemum", "Self-portrait", Kim Chun-Soo is "Flower", Jung Ji-young is "Fragrance", "Lake", "Springtime". Yoon Dong-joo is "Prologue poem", "Starry Night", "Self-portrait", "Cross", "Confession", "Hometown", "Written easily", "Shoot the Moon". The Poet Kim Soo-young had many searches for the comedian Kim Soo-young. The living poets are the order of An Do-hyeun, Do Jong-hwan, Jung Ho-seung, Kim Ji-ha, and Kim Yong-taek. The search word of An Do-hyeon discovered as "Ask you", "Permeating there", "A piece of briquette" and 'a used briquet', 'briquette' of poetic diction. Do Jong-hwan discovered as "You, the Hollyhock", "An ivy" and 'senator', 'minister', poet Jung Ho-seung discovered as "Spring road", "To Daffodil", "Unbearable letter". And Kim Ji-ha searched out "Burning thirst", Kim Yong-taek searched out "Seomjin River", "You are so good", "Spring day" and "A wild chrysanthemum". However, the poet Ko eun was more searched by Ko eun, the leader of the girl group. In the analysis of Opinion Mining, affirmative responses of related words are in order of Do Jong-hwan, Kim Yong-taek, Kim Chun-Soo, Han Yong-woon, Jung Ho-seung, An Do-hyeon, Jung Ji-young, Kim So-wol, Seo Jeong-joo, Yoon Dong-joo, Kim Ji-ha. Yoon Dong-joo's neutral reaction was interpreted as disturbance factor related to internet shopping mall. Yoon Dong-joo's search volume in Google Trent was excessive due to sales of Internet shopping malls. In the analysis of Opinion Mining, the highest order of positive response was analyzed by Kim So-wol, Han Yong-woon, Yoon Dong-joo, Jung Ji-young, Do Jong-hwan, Kim Yong-taek, Jung Ho-seung, An Do-hyeon. Ko eun poet and Kim Ji-ha poet have received increasingly negative reputation from the public. An Do-hyeon, Jung Ho-seung, Do Jong-hwan and Kim Yong-taek are expected to increase their positive reputation gradually. Therefore, the translation work for the globalization of modern Korean poetry should be focused on the poems of An Do-hyeon, Jung Ho-seung, Do Jong-hwan and Kim Yong-taek.

      • KCI등재

        이성교의 중기시 연구 - 시상 확장과 이미지의 변모를 중심으로

        최도식 어문연구학회 2023 어문연구 Vol.118 No.-

        한 시인의 시 세계에서 초기시는 그 시인의 시 세계를 규명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그런데도 본고가 이성교의 중기시에 주목한 이유는 첫째 시적 형식의 변화 때문이며, 둘째 기독교적 신앙 시의 시집 구성 방식 때문이며, 셋째 시적 소재가 전국적・국외적으로 확장되기 때문이며, 넷째 시상 확대에 따른 이미지의 다양성 때문이며, 다섯째, 심상지리적 속성과 기독교적 이미지를 토대로 시적 의미망을 확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는 이성교의 중기시에 나타난 주된 변모로 시 형식의 변화와 시의 소재 확장, 다채로운 이미지의 확대와 기독교적 이미지의 변모 양상을 고찰했다. 먼저, 중기시로 접어들면 단시 형식에서 연작 형식의 시가 대거 늘어난다. 초기시에서는 14편에 불과했던 연작시가 중기시에서는 32편으로 두 배 이상 증가한다. 그 주된 이유는 첫째 고향과 강원도라는 한정된 시의 배경과 소재를 재생산하고 폭넓게 노래하기 위함이며, 둘째 단조로운 시적 분위기를 벗어나 주정적인 세계에 지적인 것을 가미하여 이야기적인 요소를 더하고자 한 결과다. 그 결과의 적절한 형식으로 이성교는 연작시를 많이 쓰게 된다. 이성교는 연작 형식을 통해 지역 사람들의 삶의 애환을 보편적인 인간 삶의 애환으로 의미화하며, 지역 공간과 민족적 정서에 내재한 고통과 슬픔을 극복할 수 있는 희망과 의지로 시의 의미를 확장한다. 두 번째, 초기시의 소재들이 영동지역에 한정되었다면 중기시에서는 시적 소재와 배경이 전국적으로 확대되며, 중국・일본 등 해외까지로도 확장된다. 그런데 이런 확장은 경험에 내재한 체험의 소산이다. 각 지역의 지리・지명적 특색을 통해 마을 공동체의 애환과 민족의 애환을 시에 담았으며, 우리 민족의 현실적 상황과 기독교적 이미지 등을 통해 민족이 겪는 아픔과 좌절, 민족적 염원과 희망을 시로 승화시킨다. 이성교의 초기시는 산과 바다가 주요 이미지이며, 푸른색과 흰색의 색채 이미지가 주요 이미지로 나타났다. 하지만 중기시에 들어서면 다양한 이미지가 나타나며, 기독교적 이미지도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다양한 이미지 중 바람, 바람소리, 풀짐, 재(고개마루) 등의 이미지가 주요한 이미지를 이룬다. 바람 이미지는 사랑의 기억과 감정, 온정과 온화함의 의미로 나타나며, 바람소리 이미지는 무서움, 공포, 두려움의 이미지이지만 새로운 자연의 도래와 어우러지면 삶의 풍요를 의미하게 된다. 풀짐 이미지는 마을(농촌) 공동체의 화합과 협력, 노동공동체의 단합과 안녕의 의미를 생산하며, 재(지명) 이미지는 소통과 연결이라는 긍정적 삶의 역동성을 통해 인간의 애환과 삶의 희망이 공존하는 공간의 의미를 지닌다. 이성교 시인이 독실한 기독교인이었던 만큼 그의 시에서 기독교적 이미지는 빼놓을 수 없는 이미지다. 초기시에서는 눈(snow) 덮인 세상을 흰색 이미지로 형상화하면서 흰색 이미지를 통해 거듭난 세상, 복음이 전파된 세상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반면에 중기시에서는 기독교 신앙의 핵심인 부활의 의미를 봄의 이미지로 형상화한다. 특히 봄에 만물이 소생하는 재생의 이미지를 부활의 증거로 유추하여 기독교적 세계관을 보여준다. 또 ‘임’의 이미지는 구원과 영생이라는 기독교적 사후관을, ‘그 사람’ 이미지는 ‘항상 사랑하라’라는 기독교의 세계인식과 구원의식을 나란히 병치하여 폭넓은 기독교적 이미지로 형상화한... In the world of one poet's poetry, early poetry take upon an important function in revealing the poet's poetic world. However, the reason why this study focused on Lee Seong-gyo's mid-period poetry is, firstly, because of the change in poetic form, secondly, because of the method of composing a collection of Christian religious poetry, thirdly, because the poetic subject matter was expanded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and fourthly, the image due to the expansion of poetry. Fifth, because it expands poetic meaning based on the properties of geographical images and Christian images. Therefore, this paper studies the changes in poetic form, expansion of poetic materials, variety of images, and Christian images in Lee Seong-gyo's mid-period poetry. First, in medium-term poetry, series poetry increases. Initially, there were 14 series-poems. In the middle period, the number of series-poems increases to 32. The reason is, first, to reproduce my hometown and Gangwon-do and sing widely. Second, The reason creates of poetry emotionally, intellectually, and narratively take out the monotonous atmosphere. As a result, he created many series-poems. Lee Seong-gyo created the pleasures and sorrows of local people and universal human beings through series poetry. And the series of poems overcame the sorrow of local space and national sentiment with hope. Second, mid-term poetry expanded the subject matter and background of poetry nationwide. And it is expanding to overseas countries such as China and Japan. This is the result of experience. The geographical and toponymic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signify the pleasures and sorrows of the village community and the people. And the poem overcomes pain and frustration with hope through the division of Korea and Christian imagery. Lee Seong-gyo's mid-period poetry has diverse images. It appears in images such as wind, howling wind(바람소리), a plant food(풀짐), and hill(재). The image of wind symbolizes love and warmth. The image of howling wind is fear, terror, and fear. However, it has a rich meaning when it meets nature. The image of a plant food(풀짐) symbolizes the harmony and cooperation of the village(rural) community. It means unity and stability of the labor community. Hill(재)'s image symbolizes communication and connection. And Hill(재) is dynamism, meaning a space where human pleasure, sadness, and hope coexist. Poet Lee Seong-gyo is a Christian. So there are Christian images in his poetry. In early poetry, the snow-covered world and white images symbolize the meaning of baptism and the spread of the gospel. However, in the middle period poetry, the image of spring symbolizes the resurrection of Jesus. Spring is an image of rebirth. This is evidence of resurrection. This shows the Christian worldview. Also, the image of ‘You(임)’ symbolizes Jesus. This means salvation and eternal life. The image of ‘The Man(그 사람)’ symbolizes Jesus. This means the Christian world awareness and salvation consciousness, ‘Always love.’ Lee Seong-gyo created a poem based on Gangwon-do. And his poetry represents the sentiment of Gangwon-do. However, in fact, he created poetry expressing Korea's traditional and national sentiments. And his poetry refers to the joys and sorrows of human life in general. ​poetic mater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