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Evaluation of efficient solar cells using the synthesis of CH<sub>3</sub>NH<sub>3</sub>PbI<sub>3</sub> perovskite

        최남길,홍창국 한국공업화학회 2015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5 No.1

        Inorganic-organic hybrid perovskite solar cells have recently emerged due to its low cost and efficient photovoltaic properties. The CH<sub>3</sub>NH<sub>3</sub>PbI<sub>3</sub> perovskite used in study was synthesized through simple solution process. All the prepared samples were characterized by SEM and XRD. The synthesized sample was applied to solid state solar cells as a light absorber. The solar cells were fabricated by blocking TiO<sub>2</sub>, mesoporous TiO<sub>2</sub>, perovskite, spiro-OMeTAD as hole transport material and Au as counter elecrode material. Inorganic-orgainc hybrid solar cell using CH<sub>3</sub>NH<sub>3</sub>PbI<sub>3</sub> perovskite presents efficient photovoltaic properties.

      • KCI등재
      • KCI등재

        관상동맥 전산화단층촬영에서 64 channel MDCT와 128 channel DSCT의 임상 유용성 평가

        최남길(Choi, Nam-Gil),최재성(Choi, Jae-Seong),한재복(Han, Jae-Bo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11

        64채널 MDCT(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와 128채널 DSCT(dual source computed tomography)를 이 용한 관상동맥 전산화단층촬영 시 유효선량과 획득한 영상의 질을 평가함으로서 임상에서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 였다. 피폭선량은 선량길이곱(dose length product: DLP)에 흉부 조직의 가중치(0.017)을 곱하여 유효선량(mSv)으로 계 산하였으며, 영상 평가는 심장촬영검사 후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5점 Likert 척도(5점 최상)로 평가하였다. DLP 값은 64 채널 MDCT에서는 851∼1277 mGy․cm (평균 유효선량: 17.23mSv), 128 채널 DSCT에서는 82∼110 mGy․cm (평균 유효선량: 1.58mSv)로 각각 분포하였다. 영상 평가점수는 64 채널 MDCT에서 3.31±0.62(4점 이상 34명), 128channel DSCT에서 4.05±0.46(4점 이상 96명)으로 각각 나타났다. 유효선량은 64채널 MDCT에 비해 128채널 DSCT가 1/10 이 상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영상 평가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4점 이상 점수의 빈도는 128채널 DSCT에서 2.8배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관상동맥 전산화단층촬영검사에서는 128채널 DSCT가 64채널 MDCT에 비해 환자가 받는 유효선량은 감소하고 영상 평가점수는 높게 나타나 임상에서 보다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retrospectively to compare the exposure dose and the imaging quality in coronary CT angiography by using the 64 channel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and the 128 channel DSCT. Effective dose was calculated dose length product (DLP) by multiplied the convention factor of chest (0.017). Imaging quality was assessed by radiologists using the 5-point Likert scale. The DLP was ranged from 851 to 1277mGy․ cm (mean: 17.23 mSv) in the 64 channel MDCT and from 82 to 110mGy․cm (mean: 1.58 mSv) in the of 128 channel DSCT, respectively. The score of imaging quality was respectively 3.31±0.62 in 64 channel MDCT and 4.05±0.46 in the 128 channel DSCT. The exposure dose of 128 channel DSCT has decreased 1ess 1/10. The score of imaging quality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modalities and the frequency (>4 good) in the 128 channel DSCT is about three times than that of the 64 channel MDCT. Therefore, the 128 channel DSCT in coronary CT angiography is clinically more effective modality for both investigators and patients.

      • KCI등재후보

        시각자극과 삼음교 자침으로 유발된 성적 흥분의 대뇌 활성화 영상의 비교

        최남길(Nam-Gil Choi),한재복(Jae-Bok Han),장성주(Seong-Joo Jang)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9 방사선기술과학 Vol.32 No.2

        목 적 : 정상인 여성을 대상으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법(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 fMRI)을 이용하여 성적 흥분반응과 관련되는 시각자극과 삼음교(SP6, 三陰交) 경혈자극 의한 대뇌 활성화 영역의 차이점을 밝히고, 나아가서는 성적흥분의 기전을 신경해부학적인 측면에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성기능이 정상적인 오른손잡이 여자 21명(19~32세 : 평균 22세)을 대상으로 3.0 Tesla MR scanner를 이용하여 fMRI 영상을 얻었다. 성적 흥분을 유도하기 위한 패러다임은 3분간의 에로틱 비디오 시청과 삼음교(SP6)자침에 의한 자극을 주었으며, 자극 전·후에는 각각 1분간의 휴지기를 두었다. 또한 광명혈(GB37) 후방으로 3 cm 위치에 있는 비경혈점에 자극을 주어 경혈(acupoint)과 비경혈(shampoint) 자침에 의한 대뇌의 활성화 양상을 비교하였다.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의 획득은 AC-PC line을 기준으로 20개의 횡단면으로부터 총 2,000개의 기초영상을 얻었으며, SPM99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활성화 영상을 얻었다. 결 과 : 삼음교 경혈과 비경혈의 침자극에 의한 비교실험에서 경혈은 비경혈에 비하여 대뇌 신피질에서 평균 5배, 변연계에서 2배 높은 활성화도를 보였다. 비경혈 자극시에 간뇌의 HTHL, 기저핵의 GLO, AMYG, 그리고 두정엽의 SMG 등에서는 활성화 신호가 관찰되지 않았다. 성적흥분과 관련된 대뇌의 해부학적인 영역을 시각자극과 삼음교 경혈자극 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두 자극간의 평균 활성화율(activation ratio)은 신피질과 변연계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05). 반면 평균 활성화도(activity)는 신피질의 경우에는 두 자극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변연계의 경우에는 경혈 자극시에 유의하게 더 높은 활성화도를 보였다(p < 0.05). 결 론 : 기능적 자기공명영상법을 이용하여 성적흥분과 관련된 시각자극과 경혈 침술자극에 의하여 유발된 대뇌 활성화 양상의 차이점과 신경해부학적 기전의 차이점을 규명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한방의 경혈, 경락 이론을 과학적인 측면에서 입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not only to compare the brain activation regions associated with sexual arousal induced by visual stimulation and SP6 acupuncture, but also to evaluate its differential neuro-anatomical mechanism in healthy women using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at 3 Tesla (T). Subjects and methods : A total of 21 healthy right-handed female volunteers (mean age 22 years, range 19 to 32) underwent fMRI on a 3T MR scanner. The stimulation paradigm for sexual arousal consisted of two alternating periods of rest and activation. It began with a 1-minute rest period, 3 minutes of stimulation with either of an erotic video film or SP6 acupuncture, followed by 1-minute rest. In addition, a comparative study on the brain activation patterns between an acupoint and a shampoint nearby GB37 was performed. The fMRI data were obtained from 20 slices parallel to the AC-PC line on an axial plane, giving a total of 2,000 images. The mean activation maps were constructed and analyzed by using the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SPM99) software. Results : As comparison with the shampoint, the acupoint showed 5 times and 2 times higher activities in the neocortex and limbic system, respectively. Note that brain activation in response to stimulation with the shampoint was not observed in the regions including the HTHL in the diencephalon, GLO and AMYG in the basal ganglia, and SMG in the parietal lobe. In the comparative study of visual stimulation vs. SP6 acupuncture, the mean activation ratio of stimulu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o each other in both the neocortex and the limbic system (p < 0.05). The mean activities induced by both stimuli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neocortex, whereas the acupunctural stimulation showed higher activity in the limbic system (p < 0.05). Conclusions : This study compared the differential brain activation patterns and the neural mechanisms for sexual arousal, which were induced by visual stimulation and SP6 acupuncture by using 3T fMRI. These findings will be useful to understand the theory of traditional acupuncture and acupoint channel in scientific point of view.

      • KCI등재

        재활치료환자의 비위관(nasogastric tube)제거에 따른 비디오투시연하검사(VFSS)의 중요성 평가

        정묘영,최남길,한재복,송종남,김원진 한국방사선학회 2015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9 No.1

        뇌경색, 뇌 신경장애 및 뇌졸중환자 중 급성기 환자는 의식이 없어 연하기능장애로 인한 흡인성 폐렴을 유발하기 때문에 비위관(nasogastric tube)을 삽입하고 영양공급을 한다. 재활훈련 후 회복기에 침상선별검사를 시행하지만 임상적 검사를 통해서는 무증상흡인은 발견할 수 없다. 그래서 연하장애로 비위관을 삽입한 연하재활치료 중인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VFSS를 시행하여 식이재료에 따른 삼킴 정도, 자세에 따른 삼킴을 재활의학과전문의가 평가 후, 흡인이 있거나 삼킴 곤란 등이 있으면 연하재활치료를 시행하여 환자의 상태에 따라 약 30일∼50일후에 재평가를 시행한 후 흡인이 없을 시 비위관을 제거 하였다. 이때 VFSS 영상을 기능적 연하곤란척도를 이용, 분석하여 부여된 점수를 통계 산출 하였는데 비위관 유지군은 49.79±9.431을 보여 흡인의 위험을 나타내며, 비위관 제거군은 11.20±1.932로 흡인의 위험성이 낮아 비위관 제거관련 의미 있게 낮은 점수를 보였다. 두 군의 유의성을 평가하기 위해 Mann-Whitney test를 시행한 결과 p<0.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평가하였다. 결론적으로 VFSS는 구강, 인두, 식도의 구조적 이상과 움직임을 가장 효과적으로 평가, 기도흡인여부를 즉시 확인 및 환자에게 적합한 식이나 연하자세를 결정할 수 있어 비위관 제거를 위한 연하평가에 가장 확실한 표준검사로 제안할 수 있다. Acute phase patients who are unconscious and are suffering from cerebral infarction, cranial nerve disorders, or cerebral apoplexy are susceptible to aspiration pneumonia due to dysphagia. In these cases, a nasogastric tube is inserted to supply nutrients. Although bedside screening tests are administered during recovery after rehabilitation, clinical examinations may not be able to ascertain asymptomatic aspiration. Therefore, a video fluoroscopy swallowing study (VFSS) was performed in 10 patients with dysphagia after rehabilitation therapy; these patients had nasogastric tubes inserted, and a rehabilitation specialist assessed the degree of swallowing based on the patients’ diet and posture. If aspiration or swallowing difficulties were observed, dysphagia rehabilitation therapy was administered. The patients were reassessed approximately 30–50 days after administration of therapy, based on the patients’ condition. If aspiration is not observed, the nasogastric tube was removed. A functional dysphagia scale was used to analyze the VFSS images, and the scores were statistically calculated. The mean score of patients with nasogastric tubes was 49.79 ± 9.431, thereby indicating aspiration risk, whereas the group without nasogastric tubes showed a mean score of 11.20 ± 1.932, which indicated low risk of aspira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a significantly low score was associated with nasogastric tube removal. Mann-Whitney’s test was performed to assess the significance of both the groups, and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a P value <0.001. In conclusion, VFSS can effectively assess the movements and structural abnormalities in the oral cavity, pharynx, and esophagus. It can also be used to determine the aspiration status and ascertain the appropriate diet or swallowing posture for the patient. Therefore, VFSS can potentially be used as a reliable standard test to assess swallowing in order to determine nasogastric tube removal.

      • KCI등재

        복부 CT 검사 시 이중에너지 기법을 통한 적정한 조영제 양에 관한 연구

        강민,최남길,한재복,김욱,장영일,송종남 한국방사선학회 2015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9 No.1

        이중에너지 기법을 이용한 복부 CT 검사에서 적정한 조영제 양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일반적인 단일에너지 복부 CT 검사를 시행했던 환자들 중 이중에너지 기법을 이용하여 추적검사를 시행한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단일에너지 복부 검사에서 사용했던 조영제 양 대비 30%, 40%, 50%, 60%, 70%로 각각 설정하여 영상을 획득한 후 대동맥, 하대정맥, 간문맥, 간실질에 관심영역을 설정하여 조영증강정도(hounsfield unit; HU)를 구하여 단일에너지에서 측정된 부위와의 값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존대비 60%로 조영제를 설정한 군에서는 대동맥 HU : 210.80±13.609, 하대정맥 HU : 190.40±25.215, 간문맥 198.40±21.232, 간실질 HU : 119.20±7.98로 각각 측정되었으며. 단일에너지 복부 CT 검사는 대동맥 HU : 205.40±16.426, 하대정맥 HU : 188.20±21.476, 간문맥 HU : 195.40±22.744, 간실질 HU : 121.00±6.595 이었다. 따라서 이중에너지를 이용하여 복부 조영 CT검사를 시행할 때 조영제의 양을 60%로 설정한 후 검사하는 것이 각 장기에서의 단일에너지 조영검사시와 비슷한 조영증강정도를 획득할 수 있어 기존 조영제 양의 감소와 동시에 조영제를 낮은 속도로 주입할 수 있어 신장기능 저하환자, 정맥혈관이 약한 환자, 과거 조영제 부작용이 있었던 환자에게 유용한 검사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ing optimum contrast medium quantity during abdominal CT using dual energy technique. The study subjects are 30 patients who had received general single energy abdominal CT and received double energy technique follow-up abdominal CT. dual energy technique abdominal CT images were obtained after setting contrast medium quantities at 30%, 40%, 50%, 60% and 70% of contrast medium quantity at the time of single energy technique. Then the contrast enhancement (Hounsfield Unit; HU) was estimated by setting-up the regions of interest at aorta, inferior vena cava, hepatic portal vein and hepatic parenchymal. The obtained values were compared to the values of the same parts measured during single energy technique abdominal C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ing. The 60% set up group had HU in aorta : 210.80±13.609, IVC : 190.40±25.215, hepatic portal vein : 198.40±21.232 and hepatic parenchymal : 119.20±7.98, The single energy abdomianl CT images had HU in aorta : 205.40±16.426, IVC : 188.20±21.476, hepatic portal vein : 195.40±22.744 and hepatic parenchymal : 121.00±6.595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btain contrast enhancement by dual energy technique abdominal CT similar to the same by single energy technique abdominal CT by setting-up the quantity of contrast medium at 60% of contrast medium at the time of single energy technique abdominal CT.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decrease existing quantity of contrast medium by __% and the injection velocity can be also decreased. Accordingly,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 of study would be quite useful for patients who have renal function disorder, weak vein or side effect of contrast medium in the past.

      • KCI등재

        하지전신계측검사에서 자세의 변화에 따른 방사선량 및 영상평가

        김영천,송종남,최남길,정연,한재복 한국방사선학회 2014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8 No.7

        하지전신계측검사(low extremity teleography)에서 자세 변화에 따른 중요장기의 방사선량을 측정하고 영상을 비교 분석하여 검사방법에 따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은 하지전신계측검사를 시행한 성인남자 10명을 대상하였고 촬영조건은 관전압 73 kVp, 관전류량 32 mAs, SID 180 cm로 설정하였다. 방사선량 측정은 란도 팬텀을 이용하여 수정체, 갑상선, 생식선 부위에 유리선량계(glass dosimeter)를 부착한 후 전후방향자세와 후전방향자세를 각각 5번씩 시행하여 부위별로 방사선량을 측정한 후 Paired T-test로 비교 분석 하였다. 영상평가는 전후방향자세와 후전방향자세를 시행한 영상을 blind test를 실시하여 5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전후방향자세검사에 비해 후전방향자세검사가 수정체 약 6%, 갑상선 약 6%, 생식선에 미치는 방사선량을 약 27% 감소시킬 수 있으며 영상평가에서도 두 그룹 간에 큰 차이가 없어, 하지전신계측검사에서 전후방향자세검사보다 후전방향자세검사가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radiation doses of major organs in various postures in lower extremity teleography were measured and compared to investigate the utility of the test methods. Ten adult males who underwent lower extremity teleography at a tube voltage of 73 kVp, tube current of 32 mAs, and SID of 180 cm. Using rando phantom, glass dosimeter was attached to the eye lens, thyroid gland, and genital gland to measure the radiation dose in each area 5 times in each anteroposterior posture and posteroanterior posture. The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Paired T-test. The images from the anteroposterior posture and posteroanterior posture were evaluated through the blind test on a scale of 5. As a result, the posteroanterior method could reduce the dose than the anteroposterior posture method: less dose for the eye lens by 6%, thyroid gland by 6%, and genital gland by 26%. Si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mage evaluation, the posteroanterior posture is considered better than the anteroposterior posture in lower extremity teleography.

      • KCI등재

        FLASH를 이용한 3T 복부검사에 있어서 최적의 T1효과를 위한 적정 Flip Angle

        한재복(Jae-Bok Han) · 최남길(Nam-Gil Choi)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9 방사선기술과학 Vol.32 No.1

        본 연구는 FLASH 펄스파형을 이용하여 숙임각(flip angle ; FA)변화에 따른 T1 조영상의 신호강도(signal intensity ; SI)와 대조도 대 잡음비(contrast to noise ratio ; CNR)를 비교함으로써 복부검사에서의 최적의 T1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FA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8년 9월부터 12월까지 본원을 내원하여 복부 MRI 검사를 시행한 환자 20명(남 : 12명, 여 : 8명, 연령 범위 : 28~63세, 평균 : 51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영상 장비는 3Tesla MR scanner(Magnetom Tim Trio, SIEMENS, Germany)였으며, 8 channel body array coil을 사용하였다. 사용된 영상변수는 FLASH 펄스파형과 TR : 120 ms, TE : minimum, FOV : 360×300 mm, Matrix : 256×224, Slice : 6 mm, scan time : 15초로 Breath-hold 기법을 이용하였다. 복부 영상은 물 신호를 동시에 측정하기 위해 관심영역(FOV) 안에 물을 채운 50 ㎖ syringe를 놓고 10°부터 90°까지 10° 간격으로 FA에 변화를 주면서 얻었다. 획득한 영상은 간(liver), syringe내부의 물(water), 비장(spleen), background의 신호강도(SI)와 대조도 대 잡음비(CNR)를 각각 측정하였으며 신호강도는 관심영역을 설정한 다음 각 부위에서 3번씩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구하였다. 영상 전체의 평가에서는 변이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를 적용하여 전체영상의 신호강도 균일도를 알아보았고 통계 분석은 SPSS for window version 17.0을 이용하였다. 간(liver)의 신호강도는 475.54±81.76으로 FA 40°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syringe내부의 물의 신호는 475.97±68.98로 FA 20°에서 가장 높았으며 FA가 높아짐에 따라 다른 조직의 신호보다 많은 감소를 보였다. 비장의 신호는 443.02±55.77로 FA 30°에서 가장 높은 신호강도를 보였으며 FA가 높아짐에 따라 신호가 감소하였다. 조직의 신호강도에서 Liver vs Water와 Liver vs Spleen은 FA30°를 제외한 전 구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Water vs Spleen은 FA60°, FA70°, FA80°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1). 전체영상의 신호강도는 175.42±57.93으로 FA 10°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FA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다가 떨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변이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는 FA 10°와 FA 20°에서 33.02와 31.4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FA 10°와 FA 20°는 전체영상의 신호강도 균일도가 다소 떨어지는 영상으로 왜곡이 심하게 나타났다. CNR은 liver-water에서 FA 30°에서 12.73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FA 10°에서 -46.97, FA 80°에서 29.3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liver-spleen의 CNR에서는 FA 10°에서 -3.18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FA 80°에서 9.6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FLASH 펄스 파형을 사용한 복부 영상에서 최적의 T1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FA 80°를 사용하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ignal intensity (SI) and CNR with T1 weighted image using FLASH at 3T abdominal MRI by varying flip angle (FA). Totally 20 patients (male : 12, female : 8, Age : 28~63 years with mean : 51) were examined by 3Tesla MR scanner (Magnetom Tim Trio, SIEMENS, Germany) with 8 channel body array coil between september and October 2008. Imaging parameters were as follows : FLASH sequence, TR : 120 ms, TE : minimum, FOV (field of view) : 360×300 mm, Matrix : 256×224, slice : 6 mm, scan time : 15 sec and Breath-hold technique. Abdominal image, with a 50 ㎖ syringe filled with water placed in the FOV measuring the water signal, were acquired with varying FA through 10° to 90° with 10° interval. SI's were measured three times at liver parenchyme, water, spleen and background and averaged. The CNR's were measured between the ROIs (region of interest). Statistic analysis was performed with ANOVA test using SPSS software (version 17.0). Less than FA 30°, abdominal images were severely inhomogeneity. Especially, T1 effect of water signal was weak. As the flip angle increased, the signal intensity decreased at all the regions. Especially, flip angle of the highest signal intensity was observed with 40° at the liver parenchyme, 20° at water, 30° at the spleen, respectively. The CNR between liver and water was -60.92 at FA 10° and 15.16 at FA 80°. The CNR between liver and spleen was -3.18 at FA 10° and 9.65 at 80°. In conclusion, FA 80° is optimal for T1 weighted effect using FLASH pulse sequence at 3.0 Tabdominal MRI.

      • KCI등재

        고등학생의 방사선조사식품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행위

        최윤석,송종남,정문택,최남길,한재복 한국방사선학회 2014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8 No.6

        방사선조사식품에 대한 광범위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국민이해를 제고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일환으로 교육적인 개입전략을 계획하는데 필요한 기초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일반인 중 교육의 파급효과가 높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방사선조사식품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행위 수준을 조사한 결과 방사선조사식품에 대해 정보를 습득한 경험이 없는 학생이 82.9%(627명), 교육 경험이 없는 학생이 89.3%(675명)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교육을 받지 못한 이유로는 교육의 기회가 없어서(88.2%)가 대부분이었다. 방사선조사식품에 대한 지식수준은 1.71점(10점 만점)으로 매우 낮은 수준을 나타냈고, 방사선조사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태도수준도 2.76점(5점 만점)으로 비교적 낮은 태도수준을 나타냈다. 이는 방사선조사식품에 대한 매우 낮은 지식과 부정적 태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방사선조사식품을 구입 및 섭취로 이어지는 행위수준은 낮을 수밖에 없다고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방사선조사식품에 대한 교육경험이 있는 학생이 교육 경험이 없는 학생보다 방사선조사식품에 대한 긍정적 태도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p<0.001). 이러한 결과는 방사선조사식품에 대한 지식제공 뿐만 아니라 올바른 태도형성을 위한 교육을 함께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presents basic supporting data necessary for planning an educational intervention strategy as part of a communication strategy that would form an extensive national consensus on and enhance national understanding of irradiated foods. A survey was conducted to collect data on the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with regard to irradiated foods among high school students, on whom education has a great ripple effect compared with the general public. The results show that 82.9% (627 students) have acquired no information, whereas 89.3% (675 students) have received no education on irradiated foods. The reason for these overwhelmingly large percentages is the lack of available opportunity for education(88.2%). Their level of knowledge on irradiated foods scores 1.71 points (out of 10 points), which is very low, whereas their attitude toward the safety of irradiated foods scores 2.76 points (out of 5 points), which is relatively low as well. As such, we predict that their tendency to purchase and consume irradiated foods is low, given their very low level of knowledge of and negative attitude toward irradiated foods. The students who have been educated on irradiated foods show a higher level of positive attitude (p<0.001) toward irradiated foods compared with those who have had no education. This result suggests the need to provide high school students with knowledge on irradiated foods as well as education in the same to help them form a proper attitude toward these food i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