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국어학사의 서술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근대국어학사의 서술 문제를 중심으로

        최경봉 국어학회 2010 국어학 Vol.0 No.59

        본고는 근대국어학사를 서술하기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국어학사와 관련한 선행 연구의 서술방법상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면서 근대국어학사의 서술방법론을 체계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장에서는 학설사에 입각한 연구태도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그리고 국어학 이론으로서의 ‘학설’과 國語思想을 바탕으로 형성된 국어학의 ‘논리’를 종합한 국어학사를 서술할 것을 제안하였다. 3장과 4장에서는 서술방법론과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을 다루었다. 3장에서는 시대구분의 문제를 다루었는데, 국어학의 연구 동향과 관련지어 時代區分의 구체적인 근거를 논의하였다. 이 과정에서 근대국어학의 기점 문제, 근대와 현대의 구분 문제, 일제강점기의 성격 규정 문제 등이 주요하게 논의되었다. 4장에서는 서술대상과 관련하여 두 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는 ‘국어학에 끼친 영향’을 기준으로 연구자와 연구물의 범위를 한정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둘째는 국어학계에서 활동한 인물들의 국어학사적 위상을 밝히고 그 계보를 정리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우수등재

        박정희 시대의 국어정책과 어문민족주의 -한글전용과 국어순화 정책을 중심으로-

        최경봉 국어학회 2023 국어학 Vol.- No.105

        본고에서는 1967∼1968년 그리고 1971∼1972년을 박정희 시대 국어정책 및 문화정책의 전환기로 주목하면서, 국어정책의 전개 및 전환 논리가 구축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 어문민족주의의 작용에 대해 논의하였다. 2장에서는 한글전용 정책, 한자 정책, 국어순화 정책 등의 국어정책 과제가 설정된 맥락과 논리를 밝힌다는 목표로, 한글 관련 기념식의 대통령 담화문과 문화 정책 관련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3장에서는 한글전용과 국어순화 정책의 전개 과정을 살펴보면서, 2장에서 확인한 문화정책의 논리가 개별 어문 정책의 전개와 전환 과정에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설명하였다. 3.1에서는 1960년대 한글전용 정책이 문맹퇴치를 통한 ‘국가 경제 개발 계획’과 행정 효율화를 통한 ‘국가체계 정비 계획’의 차원에서 전개되었음을 밝혔다. 3.2에서는 한글전용을 통해 민족 정체성을 확립한다는 관점이 한자를 포용하는 민족 정체성 확립의 관점으로 전환되는 맥락을 밝혔다. 3.3에서는 한글전용 정책이 배제된 상태에서 국어순화 운동이 본격화한 맥락을 밝혔다.

      • KCI등재

        언어정화(말다듬기) 정책의 논리 구축 과정에서 북한 지도이념과 어문민족주의의 상호작용 양상

        최경봉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4 民族文化硏究 Vol.103 No.-

        본고에서는 북한 지도이념과 어문민족주의의 상호작용이라는 차원에서 북한의 언어정책을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언어정화 정책의 논리가 구축되고 변화하게 된 맥락을 구체화하였다. 이 논의는 다음 두 방향으로 이루어졌다. 첫째, 북한에서 이루어진 관련 논의를 분석하여 국제적 공통성과 민족적 특수성의 융합 논리가 변동하는 양상을 포착하고, 이를 근거로 북한 지도이념(마르크스-레닌주의 및 주체사상)과 어문민족주의의 상호작용 양상을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 마르크스-레닌주의가 북한의 지도이념으로 확고하던 시기에는 국제적 공통성을 중시하는 융합 논리가, 주체사상을 북한의 지도이념으로 정립해나가는 시기에는 민족적 특수성을 중시하는 융합 논리가 부각되었음을 밝혔다. 둘째, 주체사상화 과정에서 제기된 혁명적 문풍 확립의 논리가 변화하는 양상을 포착하고, 이를 근거로 주체사상과 어문민족주의의 상호작용 양상을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 196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문화어 수립 정책이 민족어 정체성 수호를 위한 말다듬기 정책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고, 1970년대 후반부터 본격화한 전 사회의 주체사상화를 위한 혁명 전통 교육 강화가 말다듬기를 반성적으로 재검토하게 된 계기가 되었음을 밝혔다. In this paper, North Korea's language policy was analyzed in terms of the interaction between North Korea's leadership ideology and linguistic nationalism, and based on this, the context in which the logic of the language purification policy was established and changed was embodied. The discussion took place in the following two directions. Firs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North Korean leadership ideology (Marx-Leninism and Juche ideology) and the language nationalism was explained based on the analysis of relevant discussions in North Korea. Through this, it was revealed that the convergence logic emphasizing international commonality emerged during the period when Marx-Leninism was firmly established as North Korea's leadership ideology, and the convergence logic emphasizing national specificity emerged during the period when the Juche ideology was established as North Korea's leadership ideology. Second, the changing patterns of the logic of establishing a revolutionary literary style raised in the process of Juche ideology were captured, and based on this, the interaction patterns between Juche ideology and linguistic nationalism were explained. Through this, it was revealed that the policy of establishing cultural language, which began in the mid-1960s, served as an opportunity to strengthen the policy of language purification to protect the identity of the national language, and that the reinforcement of traditional revolutionary education for juche ideology in the whole society, which began in earnest in the late 1970s, led to a reflective review of language purification.

      • KCI등재
      • KCI등재

        국어사전과 어문민족주의

        최경봉 한국사전학회 2017 한국사전학 Vol.- No.30

        In this paper, we discussed how the logic of Korean dictionary compilation is reflected in the system and contents of the Korean dictionary. In Chapter 2, we analyzed the discussion of the modern Korean dictionary compilation, and explained that the purpose awareness of compiling the Korean dictionary was deepened with Korean establishment activities. In chapter 3, we examined how the compilation logic of the Korean dictionary compilation was changed after Korea-Japan Annexation. In 3.1, the Korean dictionary compilation project was evaluated as the response of the national language movement camp to the Korean management policy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3.2 we explained that the logic of the Korean dictionary compilation is based on the pride of Korean and the self-reflection on standardization of Korean. In chapter 4, we explained that 『Keun Sajeon』 was compiled in parallel with the activity of rebuilding Korean language after liberation, and after the 『Keun Sajeon』the logic of Korean dictionary compilation, was changed in the direction of emphasizing practicality.

      • KCI등재
      • KCI등재

        국어사전의 개념과 구조의 형성 맥락

        최경봉 한국사전학회 2022 한국사전학 Vol.- No.40

        In this paper, the context of the formation of Korean dictionary was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inheriting and overcoming tradition. First, we discussed how preᐨmodern language dictionaries such as ‘dictionary of Chinese characters (字典)’ and ‘Yuseo(類書)’ were reformed in modern times, and how these attempts at modifications worked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structure of Korean dictionary. Secon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structure of Korean dictionary and the factors that contributed to the change in the structure of the dictionary were discussed. In Chapter 2 it revealed that ‘dictionary of Chinese characters’ and ‘Yuseo’ coexist in different roles as language dictionaries, and on the premise of such coexistence, ‘dictionary of Chinese characters’ was established as text searching language information and ‘Yuseo’ was established as text showing the system of world recognition. In Chapter 3 it revealed that the reform of the ‘dictionary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 forming the structure of Korean dictionary were carried out together in the modern literary environment where mixed text of Korean and Chinese character was dominant, and accordingly, the concept and structure of the Korean dictionary were formed in the Chinese dictionary’s influence. In this context, it was revealed that the concept and structure of Korean dictionary were formed in the magnetic field of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In Chapter 4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structure of the Korean dictionary was explained by showing the flow of dictionary compilation leading to “Eonmun(言文)”, “Gukhan hoeeo(國漢會語)”, “Joseoneo sajeon”, “Malmoi” and “Keun sajeon”

      • KCI등재후보
      • KCI우수등재

        1960년대 북한 ‘문풍 운동’의 언어정책적 함의-문화어 정책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최경봉 국어학회 2022 국어학 Vol.- No.102

        본고에서는 1960년대 북한에서 진행된 문풍 운동의 언어정책적 함의를 밝힌다는 목표로 다음 논의를 전개하였다. 첫째, 문풍 운동의 출현 맥락을 살펴보면서, 언어정책으로서 문풍 운동의 의미를 설명하였다. 둘째, 문화어 제정의 맥락을 살펴보면서, 이와 관련지어 문풍 운동의 방향 전환이 갖는 의미를 설명하였다. 이상의 논의 과정에서 본고는 ‘주체사상의 확립’과 같은 정치적 맥락에 가려져 부각되지 않았던 북한 언어정책의 내적 동기에 주목하였다. 이에 따라 어문규범이 확정되고 사전이 간행된 시기를 언어정책이 새로운 단계에 진입할 수 있는 분기점으로 설정하면서, 문풍 운동의 출현 맥락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표기와 어휘 단위의 규범화에 국한되었던 언어정책의 영역이 문장과 텍스트 단위의 규범화로 확장된 데에서 문풍 운동의 의의를 찾았다. 이는 문화어 정책을 회귀적인 언어정책으로 판단하는 근거가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