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남에의 몰두와 충돌의 형식 -이상 시에 나타난 ‘안해’ 표상 방식 연구

        최가은 구보학회 2019 구보학보 Vol.0 No.22

        This paper is one of the studies on “self-exploration” in Yi Sang literature, looking into the meaning of “self” in relationship with “An-Hae,” which is the centerpiece of his literary “design.” Many studies on Yi Sang have been focusing on identifying the meaning of the subject. However, this paper mainly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approach to the symbol “An-Hae” has long been utilized as a tool in traditionally objectifying female symbols in line directly with real female characters. Mystification or objectification of the symbol, “An-Hae”, also determines the meaning of the subject, which is meaningful through the way it is represented. The meaning of the poetic subject is to gain the position of the “objective subject” and “reflective subject” by objectifying the Other in imagining the “An-Hae” as the ultimate truth that the poetic subject must reach and interpreting it as a symbol that secures the “truth”. However, works of Yi Yi Sang, which have regarded the issue of gap and meeting with the Other as the most important topic of language experimentation, open up the possibility of “gap” by leaving the meaning of “An-Hae” as a form of language. 이 글은 이상 문학의 ‘나’를 탐구하는 연구 중 하나로서, 그의 문학 ‘설계’의 중축이 되는 ‘안해’와의 관계 속에서 ‘나’의 의미를 살핀다. 주체가 타자를 인식하는 방식을 통해 주체의 의미를 규명하는 작업은 이상 연구사에서 주요하게 형성되어 왔다. 그러나 ‘안해’라는 기호에 대한 접근은 실존 여성인물들과의 직접적 일치 속에서, 아울러 오랜 기간 문학사가 여성 기호를 타자화하는 전통적 방식 속에서 도구화되어 왔다는 것이 이 글의 주된 문제의식이다. ‘안해’ 기호의 신비화 혹은 타자화는 그것을 표상하는 방식을 통해 의미화되는 주체의 의미 또한 고정시킨다. ‘안해’를 시적 주체가 도달해야 하는 궁극의 진리로 상상하며, ‘진실’을 담보한 기호로 해석할 때, 시적 주체의 의미는 대상화된 타자를 통해 ‘객관적 주체’, ‘반성적 주체’의 위치를 얻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타자와의 간극, 만남의 문제를 언어 실험의 가장 중요한 테제로 삼았던 이상의 연구는 ‘안해’의 의미를 언어의 형식으로 남김으로써 ‘간극’의 가능성을 열어둔다.

      • KCI등재후보

        고객불평행동이 문화기관 서비스 인력의 감정노동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을 중심으로

        최가은,강신겸 한국지역문화학회 2023 지역과 문화 Vol.10 No.2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customer complaint behavior on the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of service employees at cultural institutions,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on service employees at the Asian Cultural Center. Customer complaint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direct and indirect complaints, emotional labor into three factors: surface acting, deep acting, and emotional dissonance, and job satisfaction into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compensatory satisfaction variable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complaints and emotional labor, it was confirmed that indirect complaints affect surface behavior, and direct complaints and indirect complaints affect emotional dissonance. These results can be seen as employees' efforts to lower customer complaints through emotions demanded by the organization ostensibly to customers who expressed indirect complaint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surface and deep acting reduced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emotional dissonance reduced compensatory satisfact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managers of cultural institutions should provide an environment to motivate employees by providing emotional labor management and compensatory means in order to increase their job satisfaction in response to customer complaints. 고객불평행동이 문화기관 서비스 인력의 감정노동이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서비스 직원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고객불평행동은 직접불평행동과 간접불평행동으로, 감정노동은 표면행동과 내면행동으로, 직무만족은 심리적 만족과 보상적 만족 변수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고객불평행동과 감정노동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고객불평행동은 감정노동의 표면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내면행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문화기관의 경우 직접불평행동보다는 간접불평행동 경험이 상대적으로 많고, 서비스 인력들이 표면행동 즉, 표면적으로는 조직이 요구하는 감정을 통해 고객의 불평을 낮추기 위해 노력한다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감정노동과 직무만족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감정노동의 표면행동과 내면행동 요인이 심리적 만족을 감소시키지만 보상적 만족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감정노동이 심리적 만족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보상적 만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서비스 인력의 직무환경 특성상 감정노동을 경험하면 심리적 만족은 감소하지만 안정적인 근무 여건이 보장된다는 점에서 보상적 만족은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문화기관 서비스 인력이 경험하는 불평행동과 감정노동의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문화기관 경영자들이 고객불평행동에 대응할 수 있도록 매뉴얼을 개발하고 동기를 부여하는 등 감정노동 관리와 심리적 만족을 높일 수 있도록 직무환경을 마련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90년대 여성문학의 곤란한 ‘대중성’ – 공지영 담론을 중심으로

        최가은 한국여성문학학회 2022 여성문학연구 Vol.56 No.-

        To properly understand the popularization of Korean feminism that began in the 2010s, this paper explores the decade of the 1990s, which shortly preceded this popularization. At the center of the meeting between the two eras, there is a history in which “popular feminism” competed with feminist knowledge in the area of “female narrative” or “female literature” in relation to the problem of “visibility.” The feminist identity of the female public is achieved by asking questions about the meaning of the “feminist subject” and the meaning of “feminist reproduction.” This feminist identity is further manifested through competition between declarations and practices that reconstruct it. This knowledge struggle goes beyond the initial task of the rise of feminism, which was the collective visualization of “women” in general, and it leads to competition over which women should enter the field of representation. From this perspective, there is room for Korean feminism and women’s literary discourse from the 1990s to be reconceptualized not as a simple period of success and failure but as a problem of “visibility.” In particular, the 1990s was not only a time when the backlash of anti-feminism was rampant alongside the visualization of feminism; it was also a time during which knowledge/power struggles among feminists were actively fought in the realm of visibility. At this tim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at changes in the 1990s—especially the superficial achievements of political democratization and economic growth—simultaneously caused “personalization” and “visualization” of the female public. This has caused the rapid growth of the majority of the women’s public, not just a few female intellectuals. The area of meaning struggle between knowledge classes also occurred over the problems imagined by the public’s demands, and the representative place is “female literature.” This paper argues that Gong Ji-young’s “popularity” was placed and understood within the discourse of women’s literature, and that it dictates the contradiction between “women’s literature” and popular feminism in the 1990s. This is because Gong Ji-young’s narrative, which was understood as a demand for popular feminism via the criticism of women’s literature, conflicts with the epic request of popular feminism. 이 논문은 2010년대 이후 다시 한 번 펼쳐진 페미니즘 대중화를 이해하기 위해, 한국 페미니즘 대중화의 가까운 역사인 1990년대를 탐색한다. 두 시대 간 만남의 중심에는 ‘대중 페미니즘’이 ‘가시성’의 문제와 관련하여 ‘여성 서사’ 또는 ‘여성 문학’의 영역에서 페미니즘 지식을 경합했던 역사가 있다. 여성 대중의 페미니스트 정체화는 ‘페미니즘적 주체’의 의미, ‘페미니즘적 재현’의 의미를 질문하는것으로, 나아가 이를 재구성하는 선언과 실천의 경합을 통해 이루어진다. 관련 영역에서 페미니스트들의 의미 투쟁이 끝없이 발생하는 이유도 그 때문이며, 이들 경쟁의 결과는 역으로 ‘페미니즘 지식’이라는 지평 자체의 변형과 재형성에도 영향을 준다. 페미니즘 지식 투쟁은 ‘여성’ 일반의 집단적 가시화라는 페미니즘 부상의 초기 과제를 넘어, ‘어떤’ 여성을 재현의 장에 입장시킬 것인가를 둘러싼 경쟁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돌이켜보면, 1990년대 한국 페미니즘/여성 문학 담론 역시 단순한 성공과 실패의 자리로서가 아니라 ‘가시성’의 문제로 재배치될여지가 있다. 특히 90년대는 페미니즘의 가시화와 동시에 안티 페미니즘의 반동적 대응이 횡행했던 시기일 뿐만 아니라, 가시성의 영역에서 페미니스트들 간의 지식/권력 투쟁 또한 활발히 이루어졌던 시기이다. 이때 90년대의 변화, 특히 정치적 민주화와 경제력의 성장이라는 표면적 성취가 여성 대중의 ‘개인화’와 ‘가시화’를 동시에 불러일으켰다는 점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다. 이는 소수 여성 지식인이 아닌, 다수 여성 대중의 급성장을 불러일으켰으며, 이들의 요구로 상상된 문제를 둘러싸고 지식 계층 간 의미 투쟁의 영역 또한 발생했기 때문이다. 그 대표적인 장소가 바로 ‘여성문학’의 ‘대중성’이다. 이 논문은 공지영의 ‘대중성’이 여성문학 담론 내부에서 배치되고 이해된 방식을, 90년대 여성 문학이 여성 대중과 맺었던 관계의 모순을 지시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여성문학 비평에 의해 대중 페미니즘의 요청으로 이해된 공지영의 서사는 기실 대중 페미니즘의 서사적 요청과도, 여성주의 진영의 그것과도, 나아가 여성문학비평이 지향하는 대중성과도 충돌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는 ‘대중성’ 혹은 ‘여성–대중’이라는 편의적 범주로 이해된 여성문학의 ‘대중성’이, 페미니즘 지식/의미 충돌의 장으로서 재구성될 여지를 시사한다.

      • KCI등재

        여성-민중, 선언 - 『또하나의문화』와 고정희

        최가은 한국시학회 2021 한국시학연구 Vol.- No.66

        Reading the 1980s of Korean literary history again from the current point of view, is closely related to the work of re-interpreting the meaning of feminist movement and the female literature of the time. In the literary history of 80s, the viewpoint that considers 'female' was either excluded or left out. Thus, considering the status that the 80s holds within the Korean society, reading it from the viewpoint that takes 'female' into consideration is the most radical and fundamental way to re-evaluate and re-organize the documented history. The 80s is the era of political dynamics, as it either went through or prepared the series of world-historical events such as China's Tiananmen Incident, the collapse of socialism in Eastern Europe or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Simultaneously, the context of domestic democracy movement which was closely linked to "Kwangju," "the people," and "democracy," is an important discussion point that equals re-evaluation of 80s to questioning the meaning of 'citizen' and 'human being' in our society. In the same context, it is important to actively keep raising the fundamental awareness of the fact that 'the people' who were indicated as a main body of history and 'the square' that 'the people' stood, were openly considered as male. This was also raised in the previous studies as an issue. This article deals with one female poet whose name is 'Ko Jeong-hee' who represents 'a woman who stands in 'the square'' in the same sense. Life itself and the work of Ko Jeong-hee represents her effort to speculate 'Female-the people' instead of mere 'the people' by possessing exclusively, the grammar of the people poem, which was a war criminal in the 80's. In doing so, her life and work became an important text of feminist movement which presents literary/academic genealogy and topographic map of Korean society of that time, and moved forward with the irony and paradox within the democracy movement that was centered around the people and the laborer. Specifically, Ko Jeong-hee proceeded the Mook movement with members of coterie magazine named 'Another Culture' from the first issue. She was also one of the poets that utilized feminist issue officially as 'typography movement' by participating in 'Another Culture'. This article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coterie magazine 'Another Culture' functioned as a venue of linguistic movement among members of the magazine, and also pays attention to her work which was featured in 'Another Culture special' in a separate context from her other books of poetry or essays. This article evaluates how Ko Jeong-hee, as a poet, utilized female signifier in the context of feminist 'declaration', and applies it to the insight of Étienne Balibar who considered fundamental 'inconsistency' between the signifier and the signified as revolutionary motivation of subordinate subjects. By doing so, the report reads the poet's poetical experiment thoroughly. Ultimately, it could lead to exploration of linguistic capabilities and possibilities of feminist movement which is based on the gap between the statement and the action. 한국문학사의 1980년대를 현재적 관점에서 다시 읽는 일은 당대의 여성주의 운동과 여성문학의 의미를 재해석하는 작업과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 한국사회에서 80년대가 차지하는 위상을 생각할 때, 당대의 문학사에서 배제되거나 생략되었던 ‘여성’이라는 렌즈를 겹쳐 읽는 것이야말로 기록된 역사를 재평가하고 재구성할 수 있는 가장 급진적이고도 근본적인 방식일 것이기 때문이다. 중국의 천안문 사건, 동유럽 사회주의권의 붕괴, 소련 해체 등 일련의 세계사적 사태의 발생과 그 사태를 예비하는 시대로서의 80년대는 정치적 역동의 시대이다. 이와 동시에 ‘광주’, ‘민중’, ‘민주’ 등과 밀접하게 연결되는 국내 민주화운동의 맥락은 80년대를 향한 재해석을 곧 우리 사회의 ‘시민’과 ‘인간’의 의미를 되묻는 일과 등치시키는 중요한 쟁점이다. 역사의 주체로 호명되었던 ‘민중’과 그들이 서 있던 ‘광장’의 얼굴이 공공연히 남성의 얼굴을 하고 있었다는 선행 연구들의 기본적인 문제의식은 이러한 맥락에서 더욱 적극적으로 지속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이 ‘광장의 여성’을 대표하는 한 여성 시인을 소환하는 이유 역시 그와 무관하지 않다. 80년대의 전범이었던 민중시 문법을 전유하여 ‘민중’이 아닌 ‘여성-민중’을 사유하려 했던 고정희의 삶과 작업은 당대 한국사회의 문학적·학술적 계보와 지형도를 제시한다. 또한 민중과 노동자 중심의 민주화 운동 속 모순과 역설 그 자체를 동력 삼아 앞으로 나아갔던 여성주의 운동의 복잡한 측면을 암시하는 중요한 텍스트이기도 하다. 특히 고정희는 창간호부터 함께 했던 『또 하나의 문화』 동인들과 무크 운동을 지속했던 이력이 있다. 그는 『또 하나의 문화』를 통해 여성주의적 문제의식을 ‘활자 운동’으로 본격 활용한 시인 중 한 명이다. 이 논문은 동인들에게 『또 하나의 문화』가 일종의 언어 운동의 장(場)으로서 기능했다는 사실에 주안점을 두고, 출간된 시집이나 산문집과는 별개의 맥락에서 『또 하나의 문화』 기획에 실린 고정희의 텍스트만을 변별해내어 주목한다. 시인 고정희가 여성주의적 ‘선언’이라는 맥락에서 여성 기호를 활용한 바를 살피고, 기호와 지시 대상 간의 근본적인 ‘불일치’를 하위주체들의 혁명적 동력으로 이해한 에티엔 발리바르의 통찰에 이를 대입하여, 시인의 발화를 독해한다. 이러한 작업은 언표와 실천 간의 괴리를 근거지 삼는 여성주의 운동의 언어적 역량과 가능성을 탐색하는 일이 될 수 있다.

      • KCI등재

        헝가리의 비자유민주주의와 경제위기 프레이밍

        최가은,최진우 한국세계지역학회 2023 世界地域硏究論叢 Vol.41 No.1

        본 연구는 비자유민주주의를 표방하는 헝가리 집권정당 피데스의 지지기반을 분석한다. 피데스는 2014년 비자유민주주의를 공식적으로 선언했고, EU의 핵심가치를 훼손하며 본격적으로 EU와 충돌했다. 그럼에도 피데스는 2022년 총선까지 압도적인 지지율로4 연임에 성공했다. 한편 헝가리 대중들은 민주주의 원칙을 지지하며 자국 정부보다 EU를더 신뢰한다. 이와 같은 모순적 현상은 민주주의 원칙보다 경제위기에 대한 대중들의 위협감이 크게 자극된 결과다. 본 연구는 경제적 위협감을 해소해줄 강력한 정당이 출현하면대중들이 민주주의 원칙을 희생하면서도 그 정당을 지지할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의미를 가진다.

      • KCI등재

        여성해방문학의 여성 독자 만들기 : 『여성』을 중심으로

        최가은 ( Choi Ga-eu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22 민족문학사연구 Vol.78 No.-

        여성문학을 범주화하는 논리에서 ‘여성 독자’는 언제나 중요한 문제로서 사유된다. 해당 시기가 언제이건 간에, 여성문학에 관한 여러 담론들은 새로운 여성문학을 호출하는 계기이자 구성 요인으로서 여성 독자를 배치하는 경향이 있다. 반(反)여성주의적 시각에서 그것은 주로 ‘무분별한 상업주의’, ‘작품의 질적 하락’의 주된 동력이 되는 소비 주체의 형상에 한정되어 논의되었고, 오늘날에는 문학의 자율성을 침해하는 검열 주체로서 이해되기도 한다. 한편, 페미니즘 진영에서의 여성 독자는 새로운 미적 경향의 증거이자,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의 표지이며, 나아가 페미니즘 운동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결정하는 지도로서 사유되어왔다. 이 논문은 80년대 후반부터 여성해방운동의 강력한 수단으로서 여성해방문학을 논의했던 여성해방문학론, 그 중에서도 자신들 스스로의 이론적 입장을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이라고 정리했던 『여성』의 발간 주체와 필진들이 여성 독자를 사유한 무/의식적 흔적을 살핀다. 80년대 중반부터 활성화되어 90년대 이후까지 꾸준히 지속되었던 여성 대상 무크의 여성주의 운동은 변혁 주체로서의 여성 상(像)을 여성 독자의 이상형으로 상정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개발하는 기획과 함께 진행되었다. 이에 따라 여성해방문학에 대한 각 진영의 입장 차는 서로 다른 서사, 인물, 사건의 이상적 모델만큼이나 서로 다른 여성 독자 상을 주장하며, 이들을 향해 발화하는 특징을 보인다. 여성 대상 매체 각각의 독자 담론이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시대적 요청과 더불어 어떤 모습으로 변모해나갔는지를 분석하는 작업은 곧 여성 문학사의 길고 느슨한 연결선을 마련하는 일임은 물론, ‘여성의 정치적 주체화’라는 한국 페미니즘 기획을 통시적으로 들여다보는 일의 출발일 수 있다. 여성주의 무크의 독자 담론은 ‘여성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한국 페미니즘 운동의 해석적 움직임과 실천으로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변혁 주체를 개발해내야 할 과업을 짊어진 80년대 변혁운동 속에서 발명된 여성 독자는 그 형상의 선명성 때문에 더욱 문제적인 연구 대상이 된다. 이 논문은 나아가 위의 작업이 ‘여성문학의 시대’로 일컬어지는 90년대 문학장에서 강력한 공식으로 기능했던 ‘여성 대중 독자 = 문화 소비자’라는 고정된 도식을 재구성할 수 있는 한 방식이라고도 주장한다. In the logic of categorizing women’s literature, ‘female readers’ was always considered as an important issue. From an anti-feminist point of view, it was mainly discussed limited to the shape of the consumer, which is the main driving force behind ‘reckless commercialism’ and ‘aesthetic flaws in the work’. However, female readers in the feminist camp were evidence of a new aesthetic trend, a sign of improving women’s social status, and furthermore, a map that determined the direction of the feminist movement. This thesis examines the traces of the women’s liberation literature theory that has discussed women’s liberation literature as a powerful means of women’s liberation movement since the late 1980s. The feminist movement ,which was active from the mid-1980s and continued until the 1990s, was carried out with a plan to positively develop the image of a woman as a transformational subject as the ideal type of female readers. In particular, the differences in the positions of each camp on women’s liberation literature are characteristic of claiming different female readers as well as ideal models of different narratives, characters, and events, and uttering towards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