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즐거운 생활’수업은 얼마나 즐거운가?-‘즐거운 생활’에 대한 초등교사와 학생의 인식 -

        천지애,전세명 한국초등체육학회 2011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students on the practice of Pleasant Life class as an integrated curriculum. A case study approach was adopted and a teacher who have expertise in the integrated Pleasant Life class was selected through purposeful sampling (Patton, 2003). Using non-participant observation technique, Pleasant Life classes were observed. Besides, teacher interviews, lesson plans from the teacher, student interview data, and student drawings were collected. Data were organized and inductive categorical system was used in order to categorize them by subtopic in relation to the research problem(Miles & Huberman, 1994). To secure truthfulness of this study, member check and peer debriefing approach were used by sharing data with participants and consultation with professionals(Denzin & Lincoln, 2008). Findings revealed that the perceptions of the teacher and students toward the Pleasant Life class were turned out to be opposite. While teachers undergo difficulties such as lack of time, unsatisfactory materials and lack of interest, students perceived the integrated Pleasant Life as the time to relieve the desire to move, to interact with friends and to feel the joy of learning.

      • KCI등재

        NDEO Standards의 관점에서 표현활동의 목표 탐색

        천지애 한국초등체육학회 2014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에서는 표현활동을 교육무용(education through dance)관점에서 바라보고, 비교적 최신의 무용교육모형인 NDEO(National Dance Education Organization) Standards에 비추어 표현활동의 목표를 탐색하였다. NDEO Standards에서는 무용교육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inner core) 과정으로 수행하기(performing), 창작하기(creating), 반응하기(responding), 연계하기(inter-connecting)를 제시하였으며 각 과정에서 성취해야 할 목표는 다음과 같다. 수행하기(performing)는 움직임 실행을 의미하는 것이며 학생들은 댄스요소와 움직임 기능을 적절히 활용하여 공연할 수 있어야 한다. 창작하기(creating)는 움직임을 탐구하고 창조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학생들은 움직임 구성에 있어서 발생되는 문제를 협력하여 해결하고 생각, 느낌, 이야기를 창작할 수 있어야 한다. 반응하기(responding)는 움직임에 대한 성찰을 표현하는 것을 의미하며 학생들은 언어 및 신체를 포함한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적절히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연계하기(inter-connecting)는 교육, 문화, 삶의 제 영역을 춤과 관련지어 이해하고 학습하는 것을 의미하며 학생들은 의미, 아이디어, 경험을 다른 분야의 지식과 관련짓고 다양한 지식을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NDEO Standards가 우리나라 체육과 교육과정 중 표현활동 영역에 시사하는 바는 3가지로 요약될 수 있으며, 표현활동 목표의 체계화, 성취기준의 세분화 및 목표차원의 통합교육 활성화가 그것이다. NDEO Standards에 근거하여 제시한 대안적인 표현활동의 목표와 성취기준은 향후 표현활동 교육과정 개정 및 수업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Objective in terms of the NDEO(National Dance Education Organization) Standards in Dance Education. In order to realize the unique value of dance, the NDEO Standards consist of 4 inner core experiences; "Performing", "Creating", "Responding", and Inter-connecting". Performing is the execution of dance movement. Students can execute original or existing artistic dance movement or a work of art, using elements and skills of dance. Creating means the exploration or invention of dance movement. Students can communicate solution to movement problems and choreograph dance movement based on ideas, feelings and stories. Responding is to express one’s reflection on the movements in the observation and performance. Response may be communicated ideas to others via other ways of expression verbally and kinesthetically. Inter-connecting is to understand in education, culture, and life in relevant to dance. Through this phrase, students can connect their meanings, ideas, experiences via dance with other areas of learning and apply to it. Performing, creating, and responding phrases are connected to inter-connecting. Students can relate and transfer meanings, ideas, and experiences from other disciplines and areas of knowledge to dance experiences. Inter-connecting is a phrase of the ultimates goals to understand dance in terms of cultural and historical contexts, and to expand knowledge, and to project onto the life. Therefore, to accomplish Inter-connecting, we should teach dance through the integrative model and understand dance education through holistic perspectives. The implications of NDEO Standards are the systemization of expressive activities’ objectives, the subdivision of achievement goals, and the vitalization of integrated education. This study will be contributed to make an alternative objective and achievement goals of physical expressive activities.

      • KCI등재

        인문적 스포츠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탐색

        박혜연,천지애 한국초등체육학회 2013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는 인문적 스포츠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통해, 그 효과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과 전문가 회의를 통해 인문적 스포츠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한얼대학교 스포츠영재센터에서 초등학교 저학년과 고학년 40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자료의 수집을 위해 수업에 참여한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참여관찰과 현지문헌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인문적 스포츠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학생들에게 나타난 스포츠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자아의 성숙', '긍정적 스포츠로의 이미지 전환', '운동 수행력의 향상'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학부모에게 나타난 효과는 '스포츠 영재교육의 책무성 인식', '삶으로서의 스포츠 인식', '스포츠 멘토로서의 역할 인식'으로 범주화되었다. 위의 연구 결과를 통해 인문적 스포츠 영재교육 프로그램은 ‘스포츠관’, ‘교육관’, ‘교사관’의 변화를 이끌 수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 KCI등재

        NVivo 10을 사용한 초등체육 교육실습 분석 사례

        이재용,천지애 한국초등체육학회 2012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1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컴퓨터 이용 질적 연구 분석 프로그램(CAQDAS)인 NVivo 10을 사용하여 교육연구를 실행하는 과정을 기술하는 것이었다. 구체적으로 “초등체육 교육실습에 참여하는 동안에 10명의 교생들은 어떻게 수업지식을 표현하였는가?”에 대한 코딩과 분석 절차를 상세히 기술하여 NVivo 10과 같은 질적 연구 프로그램의 활용 가능성을 타진하는 것이었다. NVivo 10을 사용하여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시한 개방코딩, 축코딩 및 선택적 코딩을 실행하면서 초등체육 교육실습 개선에 대한 패러다임 모형을 구안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NVivo 10과 같은 질적 연구 분석 프로그램이 초등체육 교육실습에 대한 연구에서 능률적이고 진실성이 확립될 수 있는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