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형 임상실습 교육환경 평가척도 타당화

        천경희,박영순,옥지원,Chun, Kyunghee,Park, Young Soon,Oak, Ji Won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2021 의학교육논단 Vol.23 No.1

        In light of the need for a tool to evaluate the clinical practice education environment as perceived by medical and nursing students, this study is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Undergraduate Clinical Education Environment Measure (K-UCEEM) as a measurement tool for managing the clinical practice education climate and quality of education. For validation, the UCEEM consisting of 25 items developed by Pia Strand in 2013 was adapted according to standard translation procedures. The K-UCEEM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73 medical students and 135 nursing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clinical practice at one medical instituti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instrument's structure. In order to determine referential validity, the relationships among stresses in clinical practice were examined, and differences in factor scores were compared by gender and college. It was confirmed that the scale of 24 items and five factors showed a moderate model fitness index. The reliability of the factors ranged from 0.786 to 0.867. In addition, all five factors were found to have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clinical practice stress sub-factor,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and college. Through this stud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UCEEM were verified.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further verification of the scale, as well as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the clinical practice education environment based on this scale, will occur.

      • KCI등재

        교육의 질 관리를 위한 의과대학 코호트 구축과 운영: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사례

        천경희,이태희,정수진,박영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2023 의학교육논단 Vol.25 No.2

        This study shares details on the operating process and results of the cohort of students and graduates that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at Ko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in Daejeon and discusses future directions for cohort establishment and improvement. First, Ko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established the necessity and defined the purpose of cohort design and implementation. A task force was formed to establish guidelines for analysis targets, procedures, reports, and data management, and cohort operation was classified as a quality control activit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s of current students and graduates, and data generated during the curriculum were collected, analyzed, and reported every 2 years. The cohort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methods are designed by the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and data collection is carried out by the administrative team and each committee. Data management and analysis are handled by the Center for Medical Education Support, and analysis and reporting are conducted by the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Various members of the medical school are working to collect and analyze data, report findings, provide feedback, and improve. In the future, we plan to advance database computerization and work toward more effective data analysis. Cohort operation should not be another burden for medical schools; instead, it is hoped that operating cohorts will be a meaningful activity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medical education and help in the operation and policy decisions of medical schools.

      • KCI등재후보

        의과대학에서의 교육풍토, 자기주도 학습, 그리고 창의적 사고에 대한 고찰 - 타 대학 유사전공 학생들과의 비교를 기반으로 -

        천경희,박원균,박영순,강이철,이상숙 대한사고개발학회 2010 사고개발 Vol.6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esent states of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s and creative thinking abilities of students, and of educational climate in a medical school as the first step of a study for competency based educations in medical schools. We conducted a test for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s in 168 students of medical school and 4 focus-group-interviews about the climate for creative think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environment in 20 students of a medical school and an engineering school. We compared the results between the both schools. In the test composed of six sub-areas for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s carrying on 168 medical students, each score of ‘Creativity & Seek Originality' and 'Self-Reflection on Learning' was lower than that of other four sub-areas.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test carrying on the interviewed students in the both schools, the scores of four sub-areas including ‘Passion of Learning', 'Self-esteem about Learning and Tasks', 'Positive Self-expectation' and 'Autonomy' in the medical school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engineering school.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reative Thinking’ between the both schools. In the focus group interviews for educational climat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of students-professors, colleagues, and grades, and in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s between the both schools. As a result, it is required to concentrate concerns on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educational climate and self-directed learning of medical students for fostering competent medical doctor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의과대학 역량기반 교육에 관한 논의의 첫 단계로 1개 의과대학(A)과 1개 공과대학(B) 학생들과의 인터뷰와 조사를 통해 의과대학의 교육풍토와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태도, 그리고 창의적 사고에 대하여 알아본 것이다. 168명의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주도 학습태도를 살펴본 결과, 6개의 하위 영역 중 ‘독창성과 새로움의 추구’ 요인과 ‘학습에 대한 자기성찰’요인의 점수가 타 요인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개 대학의 인터뷰 대상자들 간 비교 결과, 창의성에 있어서는 집단 간 차이가 없었으나 자기주도 학습태도에 있어서는 ‘학습에 대한 애정’, ‘학습 및 과제에 대한 효능감’, ‘자신에 대한 긍정적 기대’, ‘학습에 있어서의 자율성’의 4개 요인에서 A대학 학생들이 B대학 학생들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풍토에 대한 인터뷰에서는 교수, 선후배, 동료들 관의 관계, 학습과 관련된 측면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었으며, 미래의 역량 있는 의사 양성을 위해 의과대학에서 어떤 문화를 창출하고 공유하고 전수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요구된다.

      • KCI등재

        코로나19 시기 UTAUT 기반 의과대학 교수의 의학교육 테크놀로지 수용 요인 탐색

        천경희,박영순,이태희,권택근,이영진 한국교원교육학회 202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40 No.4

        본 연구는 코로나19와 같은 급격한 교육환경 변화 상황에서 의학교육 테크놀로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게 된 의과대학 교수들의 테크놀로지 수용 정도와 수용 현황을 파악하고, 교육 관련 테크놀로지에 대한 태도, 행동의도, 실제 사용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기술수용모델인 UTAUT에서 제시하는 수행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 및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행동의도와 사용증가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임상교수 52명, 기초교수 18명 총 70명의 교원을 대상으로 표준절차에 따라 번안한 UTAUT 검사지를 활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코로나19 초기, 의학교육 테크놀로지 사용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평균 242,500원의 테크놀로지 구매비용이 발생하였다. 의학교육 테크놀로지의 수용 정도를 살펴본 결과, 소속, 근무연한, 테크놀로지 사용개수, 새롭게 설치/구매한 프로그램 여부에 따라 UTAUT 요소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UTAUT 투입요인 중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촉진조건과 수행기대로 약 54%의 설명력을 가졌으며, 사용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행동의도로 약 10%의 설명력을 가졌다. 결론적으로 의과대학 교수의 적극적인 의학교육 테크놀로지 수용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촉진조건에 해당되는 대학 내 테크놀로지 서비스와 인적지원이 확대되어야 하며, 테크놀로지 사용이 학생교육 및 기타 업무 향상에 도움이 되도록 지속적인 교육 및 홍보 전략이 함께 진행되어야 한다. 또한 교수별 특성을 고려한 수용전략의 마련이 요구되며 다양한 테크놀로지를 활용할 수 있는 대학 차원의 조직적, 시스템적 지원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xtent of technology adoption and its current status among medical school professors who have actively embraced medical education technology in situations of rapid educational environment change, such as COVID-19. It aimed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attitudes, behavioral intentions, and actual usage of educational technology. To achieve this, the study used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UTAUT), which examines how behavioral intentions and usage differ based on performance expectations, effort expectations, social influence, facilitating conditions, and demographic variables.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standard UTAUT questionnaire, with 70 faculty members participating, including 52 clinical professors and 18 basic science professors. During the early stages of COVID-19,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use and purchase of medical education technology, with 44.3% of respondents utilizing seven or more programs. The acceptance level of medical education technology varied significantly based on factors such as affiliation, years of service, the number of technologies used, and the acquisition of new programs. Among the UTAUT factors, facilitating conditions and performance expectation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behavioral intentions, explaining approximately 54% of the variance, while behavioral intentions had a 10% explanatory power on usage increase. In conclusion, to promote the active adoption of medical education technology by medical school professors, universities should expand technology services and provide personnel support in alignment with facilitating conditions. Continuous education and promotional strategies should be implemented to ensure that technology usage contributes to student education and overall job enhancement. Additionally, tailored adoption strategies considering individual professor characteristics are required, and universities need to provide organizational and systemic support for the utilization of various technologies.

      • KCI등재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소비생활방식 연구 : 공동체화폐운동을 중심으로

        천경희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4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공동체 활동인 공동체화폐운동 참여자들의 소비생활방식에서 나타나는 지속가능한 발전의 특성을 고찰함으로써 공동체를 통해 실현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소비생활방식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최근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서울지역의 은평e-품앗이 공동 체와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참여관찰 및 집단심층면접 등의 질적 연구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지난 2009년부터 최근까지 약 5년여 동안 서울e-품앗이 운영을 주관하는 서울시복지재단의 자문위원으 로 활동하면서 은평e-품앗이 공동체를 참여관찰하고, 은평e-품앗이 참여자 6명을 대상으로 공동체 참여자들 의 참여활동과 소비생활에 대해 집단심층면접하여 수집한 자료를 질적 연구방법인 현상학적 연구방법 중 Giorgi의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은평e-품앗이 참여자들은 환경을 고려하는 소비생활, 타인과 나누는 소비생활, 공동체와 교류하는 소비생활, 자기능력을 계발하는 소비생활, 다양한 가치를 창조하는 소비생활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공동체화 폐운동을 통해 새로운 방식의 소비생활을 실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공동체화폐운동은 환경친 화적 가치 실천, 공동체와 나눔 실천, 경험과 관계 증진 실천, 역량의 확대 실천, 통합적인 성장 실천의 성격을 지니는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문헌과 연구 검토를 통해 분석한 지속가능한 발전의 특성인 지속가능성에 대 한 관심, 타인에 대한 배려, 사회집단 참여의 중시, 현재와 미래의 잠재력 증진, 경제, 사회와 문화의 통합적인 발전의 특성과 같은 맥락으로 평가할 수 있겠다. 결국 공동체화폐운동 참여자들은 그들의 활동과 소비생활을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실현하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며, 따라서 그들의 소비생활방식은 현대 사회의 문 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향해야 하는 기준으로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지향하는 소비생활방식의 방향성을 검토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지속가능 한 삶과 공동체화폐운동에 대한 연구의 외연을 넓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