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일본인의 한국 대중문화 소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 드라마 소비를 중심으로
채지영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1 No.4
This research grasped their consuming behavioral pattern targeting local people in Japan with the aim of grasping the present situation and position of the Korean Wave, and looking into the future possibility of its growth and developmental direction. For the purpose of detailed analysis, first, this research understood the real condition of the general popular culture product consumption of the Japanese people, made clear the characteristics of TV dramas from various countries through image comparison of the dramas produced by Korea, Japan, and the USA, and examined Japanese people’s consciousness of international culture exchange. As a result, the Korean dramas are emerging as the second alternative followed by its products, which suggests Korean dramas are considerably generalized to the Japanese consumers. Particularly, the successful publicity of Korean dramas is not just affected by the drama “Winter Sonata”; rather, it could be interpreted as the increased number of population who are immersed in the newly released Korean dramas with interest, shedding more bright light on the possibility of growth of the Korean dramas in the future. The Korean dramas smack of strong emotional image that is differentiated from those from the USA and Japan; thus, it is analyzed that the Korean dramas can appeal to the middle-aged consumer group in Japan who originally has such a tast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group favoring the Korean dramas is more cognizant of the common points of Korea or the Eastern culture than non-favoring group of the Korean dramas, and they show a high belief in durability of the Korean Wave. This research confirmed that the Korean Wave in Japan is not simply a boom, but it is going toward the stage of early majority or late majority beyond the level of its innovator and early adapter. Besides, it is estimated that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new consumers and their powerful brand loyalty will be a basis of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Korean Wave. 본 연구에서는 한류의 현황과 위치를 파악하고, 향후 성장가능성과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일본 현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소비 행태를 파악하였다. 구체적인 분석을 위하여, 우선 일본인들의 전반적인 대중문화상품소비실태를 분석하였으며, 한국 일본 미국 드라마의 이미지 비교를 통해 각국 드라마 상품의 특성을 밝히고, 일본인의 국제문화교류에 대한 인식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한국 드라마는 자국 상품에 이어 제2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어, 일본 소비자들에게 상당히 일반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한국 드라마의 선전은 단순히 ‘겨울연가’의 영향에 의한 것이 아니라, 최근 새로운 한국 드라마에 흥미를 갖고 몰입하는 인구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되어, 향후 한국드라마의 성장 가능성을 더욱 밝게 하였다. 한국 드라마는 미국이나 일본과는 차별화되는 정서적인 이미지가 강하게 나타나, 본래 이러한 취향을 가진 일본 중년 소비자층에게 어필하였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 드라마를 선호하는 집단은 비선호집단보다 한국이나 동양문화에 대해 공통점을 많이 인지하고 한류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믿음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일본 내 한류는 단순한 붐이 아니며, 한류 소비자들은 이제 혁신자나 초기 수용자 수준을 지나 초기다수자나 후기다수자의 단계로 넘어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신규 소비자 증가 및 이들의 강력한 브랜드 로열티는 한류의 지속적인 발전의 기반이 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일본인의 한국 대중문화 선호도가 국가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채지영,윤유경 한국예술경영학회 2012 예술경영연구 Vol.0 No.24
This study examines variables on Japanese preference of Korean popular cultures and their images. In 2011,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2000 individuals living in Tokyo and Osaka, Japan, on preferred countries, preferred popular cultures of each country, images of Korea and Korean popular cultures, locations of Korean Waves, and effects of Korean Wav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ir preference of Korea was not higher than other countries despite the Korean Waves in Japan although preference of countries and that of popular cultures had significant correlation. As for images of Korea among Japanese, they were divided to food cultures and popular cultures, and Japanese tended to regard Japanese popular cultures as superior to Korean popular cultures. Korean Waves in Japan were recognized as a type of popular culture, and Japanese recognized Korean popular cultures as highly esteemed in Japan as they are preferred among them. In addition, it turned out that as Korean popular cultures are preferred, their interests in Korean society, history, and politics as well as cultures increase accordingly, which indicates that Korean Waves in Japan have more significance than mere popular cultures. 본 연구는 일본인을 대상으로 한국 대중문화 선호 및 이미지와 관련된 변인들을 살펴본 것으로 2011년 일본 동경과 오사카에 거주하는 2,000명을 대상으로 국가 선호도, 국가별 대중문화 선호도, 한국 및 한국 대중문화 이미지, 한류의 위치, 한류의 영향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본인들은 한류 붐에도 불구하고 한국에 대한 선호도는 다른 나라에 비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국가선호도와 대중문화 선호도는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일본인들의 한국에 대한 이미지는 한국의 음식문화와 대중문화로 양분되었으며 일본인들은 일본 대중문화를 한국 대중문화 보다 더 높이 평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일본에서의 한류는 일반적인 하나의 대중문화로 인식되고 있었으며, 일본인들은 자신이 한국 대중문화를 선호할수록 한국 대중문화가 일본에서의 위상이 높다고 평가하고 있었다. 또한 한국 대중문화를 선호할수록 한국 문화 뿐 아니라 한국 사회, 역사, 정치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일본에서 한류는 대중문화 그 이상의 의미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지영,윤유경 한국예술경영학회 2013 예술경영연구 Vol.0 No.2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esent state of K-pop in France, where is recently considered as a new market of Korean Wave. Also this study aims to make cultural policies and proper strategies for K-pop in France. This paper was studied by understanding French cultural industries, and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K-pop in France.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French experts in cultural industry and focus group interviews(FGI) with fans of K-pop, the study was able to identify the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consumer groups in France. As a result, French music industry has been dramatically behind due to late responses of digital format changes in the world music industry. Thus French music industry was not ready to produce a new format of music for youth level of consumers, such as teenagers. It has become a great opportunity which allows K-pop to expand its influence on French music industry. The consumer groups of K-pop in France are still small and maniac. Therefore, the aggressive strategy, without thinking levels of consump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would not only disintegrate consumer groups, but also give them negative cognitions toward K-pop. So the proper speed of K-pop with a specific strategy is required. However, demands of programs for learning about Korea has highly increased. The supports of cultural policies which helps to strengthen Korean language classes, programs from Korean Cultural Centers, cooperation between Korean Wave and enterprises and so on, are urgently needed in order to maximize Spill-over effects on K-pop. 본 연구는 최근 새로운 한류 진출 지역으로 주목받고 있는 프랑스의 K-pop 확산 및 소비 실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전략과 정책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프랑스 음악산업 현황과 k-pop의 프랑스 진출 현황을 분석하고, 프랑스 문화산업 전문가와 K-pop 마니아들에 대한 심층 인터뷰와 FGI를 통해 K-pop 소비자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프랑스 음악산업은 디지털 변화에 대한 대응 부족으로 부진을 겪고 있고10대를 위한 젊은층의 음악이 충분히 공급되지 않고 있어, K-pop과 같은 새로운 음악이 진출하기 좋은 기회로 판단되었다. 프랑스 내 K-pop 소비자는 아직 극히 일부의 집단에 불과한 수준으로, 마니아적 소비특성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이들의 소비 수준과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공격적인 한류의 진출은 오히려 현재의 한류 소비층을 와해하고 한류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심어줄 수 있으므로, 적절한 진출 속도의 조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K-pop으로 인해 촉발된 한국에 대한 관심을 수용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는 매우 높은 편이다. 따라서 한글강좌, 문화원 프로그램, 프랑스 대학 한국학과 및 지역 축제와의 연계, 한류와 기업과의 연계 등 한류 스필오버 효과(spillover effect)를 극대화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채지영,( Vu Hong Vinh Quy ),안광순 한국공업화학회 2018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8 No.0
Dye-sensitized solar cell (D-SSC) is composed of a dye-sensitized TiO2 photo-anode, an electrolyte containing the iodide/tri-iodide redox couple, and a counter electrode. As an important part in D-SSC, the counter electrode (CE) is responsible for electron transfer from the external circuit back to the redox couple and catalyzing the reduction reaction of the I3<sup>-</sup> species in the electrolyte. The use of conventional Pt-based CEs reveals critical issues such as high cost, relative scarcity, and the requirement for mandatory high-temperature calcination. Herein, for the first time, Ni<sub>3</sub>S<sub>4</sub> was synthesized and deposited on the FTO substrate using the facile potentiodynamic electrodeposition. The prepared FTO/Ni<sub>3</sub>S<sub>4</sub> electrode exhibited an excellent chemical stability toward I<sup>-</sup>/I3<sup>-</sup> redox electrolyte and displayed the significantly enhanced electrocatalytic activity, resulting in much higher cell efficiency (8.17 %), as compared to Pt CE (7.58 %), when applied to N719-based D-SSCs.
채지영,( Vu Hong Vinh Quy ),( Elayappan Vijayakumar ),( Anthuvan Rajesh ),안광순 한국공업화학회 2018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8 No.0
Quantum dot-sensitized solar cells (QDSSCs) are a reliable renewable energy source. A QDSSC is assembled with the components in the following order: FTO/TiO2/QD/polysulfide electrolyte/CE/FTO. Recently, multiple efforts have been made to increase the power conversion efficiency of by modifying the materials by optimize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In QDSSCs, the counter electrodes (CEs) plays a key role in completing the electrical circuit and in the regeneration of sulfur redox couple through a reduction process. Among the CE materials, copper(I) sulfide (Cu2S) is a promising alternative to Pt CE, primarily due to its favorable electrochemical properties in the S2-/Sn2- redox couple, low cost, and high stability compared to other. In this study, we have reported Cu2S CE deposited Cu-Zn alloy on FTO and removed Zn using HCl after sulfurization. We simply increased surface area of CEs by removing Zn. These samples exhibited better electrocatalytic activity than FTO/Cu2S 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