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ycoplasma 성 왕쥐똥나무 빗자루병에 관한 연구

        채정기(Jyung Ki Chai),김영호(Young Ho Kim) 한국산림과학회 1989 한국산림과학회지 Vol.78 No.2

        The occurrence of witches` broom in Ligustrum ovalifolium was first noticed in Korea by author in L984.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with particular emphasis on the symptomatology, etiology, transmission of the disease and antibiotic treatments. The infected tissue was observed by the fluorescence and electron microscopy and its bi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with healthy one by electrophore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I, symptoms of the infected trees were characterized by the dwarfing of the organs, yellowing and brooming of the foliage. 2. The observation by the trans electron microscopy on the witches` broom of L. ovalifolium revealed the occurrence of numerous mycoplasma-like organisms(MLOs) in the phloem tissue cells of the midribs of infected leaves. 3. The MLOs were surrounded by a single unit membrane, and they appeared to be multiplied by binary fission. 4. The presence of crystals unidentified in the phloem parenchyma cells was noticed by electron rnicroscopy, 5. The disease was able to be transmitted by budding, crown, and greenwood graftings to L. ovalifolium, L. obtusifolium, L, japonicum and also transmitted, even when the stocks and scions were not completely grafted. 6. Insect transmission on L. ovalifolium and L, obtzrsifolium was carried by Hishiyrconus sellatus. 7. The infected roots dipped in the 1,000 ppm of teracyclin solution was only temporarily effective in controlling the disease. 8. Infected plant with MLOs showed specific fluorescent reactions in phloems with DAPI stain. 9. The protein and peroxidase separated by electrophoresis showed strikingly distinctive difference between the healthy and diseased leaves.

      • KCI등재

        표고버섯(Lentinus edodes)균과 Trichoderma spp.의 상호작용

        김영주,채정기,Kim, Young-Ju,Chai, Jyung-Ki 한국버섯학회 2004 한국버섯학회지 Vol.2 No.4

        표고버섯은 Trichoderma spp.의 침입을 받으면 두 균이 접하는 부위에 다량의 laccase을 분비하여 갈색 대치선을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이러한 갈변현상이 전혀 혹은 거의 나타나지 않거나 상대적으로 늦게 발현되기도 한다. 또한, 현장에서는 Trichoderma spp.의 종류에 의해 오염이 된 톱밥배지에서 갈색 대치선이 형성되지 않은 채 표고버섯에 따라 그리고 두 길항균이 처한 사항에 따라 표고버섯의 laccase 유도정도 및 갈변현상의 형성 및 변화 정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표고버섯과 Trichoderma spp.의 균사가 서로 접한 부위에서 발생하는 두 균의 상호작용에 대해 다양하게 조사하였다. 1. YME 배지에서 표고버섯의 laccase 활성은 주로 10일 이후에 증가되기 시작하였고 20일을 기점으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30일을 전후하여 다시 감소하기 시작했다. 또한, laccase 활성도는 균체량 상관이 있었다. 2. 본 연구에 사용된 모든 Trichoderma spp.는 표고버섯의 laccase 활성을 촉진시켰으며 균주별로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3. YMEA 배지에서 대치배양된 표고버섯은 모든 Trichoderma spp.의 침투에 대해 brown-line을 형성함으로써 길항작용을 보이면서 두 길항균은 서로의 균사생장을 억제하였으며 표고버섯의 균사생장이 더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T12균주의 경우 6일 이하로 배양된 표고버섯의 영양균사의 갈색 대치선의 형성을 유도하지 못했다. 4. Brown-line 형성 이후 Trichoderma spp.의 영양균사는 표고버섯의 영양균사 위로 계속해서 생장을 하였으며 이때, 갈색 대치선은 Trichoderma spp. 영양균사의 정단부위 직전에 형성되면서 이동하였다. 하지만, T4와 표고버섯의 영양균사가 서로 근접했을 경우 뚜렷한 갈색 대치선이 먼저 형성되고 그 이후 서로의 영역을 침범(over-growing)하지 못했으며 갈색 대치선은 이동하지 않고 안정적이었다. 5. 두 길항균이 서로 대치한 지역의 laccase 활성율을 부위별로 조사한 결과 laccase 활성율은 Trichoderma류의 종류에 상관없이 모든 처리구에서 B, C, A의 순으로 나타났다. 6. 두 길항균이 서로 대치한 지역의 pH를 조사한 결과 표고버섯의 균사 분포지역의 pH는 4.3~4.4, T12, T13의 경우 pH 4.5~5.0, T1, T2, T5의 경우 pH 5.5~6.7의 범위였으며 두 길항균의 길항작용 지역의 경우 두 균이 갖는 pH 범위의 중간정도의 값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T12, T13의 경우 표고버섯의 갈변 현상 유도가 느리거나 거의 유도하지 않는 점을 고려한다면, 갈변 현상 형성에 있어서 길항균의 pH 범위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추정할 수 있었다. 7. 미강이 첨가된 톱밥배지 상에 3, 6, 9cm 기배양된 표고버섯에 접종된 Trichoderma spp.는 모든 처리구에서 갈색 대치선을 형성하였다. 하지만, 한천배지에서와는 상반되게 대치 후 2~3일이 지나면 표고버섯의 영양균사는 Trichoderma spp.의 균사 위로 생장을 하였다. 또한, 이때 배지의 pH는 표고버섯의 점유지역의 경우 pH 4.0~4.5, Trichoderma spp.의 경우 pH 5.0~6.0, 그리고 갈색 대치선을 형성지역의 경우 pH 4.5~5.5의 범위였으나 표고버섯이 Trichoderma spp. 위로 생장한 지역의 pH는 4.3~4.8의 범위를 나타냈다. Mutual growth limitation was observation when the two antagonistic fungi was com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rown line was formed 2day after contact with Trichoderma spp., and then, green spores formed overnight. The laccase activity of L. edodes was stimulated when this fungus wsa co-incubated with Trichoderma spp. for a few days in liquid media. In sawdust-rice bran nixtures, outstanding broun line developed when the two antagonistic fungi co-cultured. The pH of the substrates changed from 5.5 to 4.5 after overgrowth, suggesting a difference in the degradation ability and the preference of the two fungi for the lignocellulose material.

      • KCI등재

        무리우산버섯균의 배양적 특징과 목재부후 특성 파악

        윤대령,채정기,Yun, Dae-Ryoung,Chai, Jyung-Ki 한국버섯학회 2004 한국버섯학회지 Vol.2 No.4

        무리우산버섯균의 기초적인 자료를 연구함으로써 앞으로 있을 인공재배 및 균사체 대량증식법 등의 연구에 있어서 발판이 되고자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에 사용된 무리우산버섯균은 액체배지의 경우 Glucose pepton에서 202mg/18일로 균사생장이 가장 좋았으며, 고체배지는 YMG배지에서 81mm/8일로 가장 좋았다. 2. 균사생장 최적 온도는 $20{\sim}25^{\circ}C$이며, 최적 산도는 pH 5.5~6.0 이였으나 pH 6.0~7.0에서는 생장이 급속히 감소하였다. 3. 무리우산버섯균의 균사생장을 위한 최적영양원으로 탄소원에는 다당류인 Inulin이였으며, Dextrose를 제외하고는 균사생육에 있어서 큰 차이는 나지 않았다. 질소원으로는 무기태질소원인 $NaNO_3$였으며 다른 질소원들은 생장이 저조하였다. 4. 최적 톱밥배지 선정에 있어서 졸참나무가 가장 좋았으며 미송, 아카시나무, 상수리나무, 포플러 순으로 생장이 좋았고, Corn cob의 경우 생장이 가장 저조하였다. 5. 광학현미경과 주사형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목섬유의 세포벽의 일부분이 침식되고 세포 내강에서 중간층으로 점차 얇아지는 박벽화 현상이 관찰되었다. 6. 균사의 밀도는 도관과 방사유세포에 높게 나타났고, 일부 목섬유에서도 균사의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도관 내에 균사의 밀도가 높게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목섬유와 유세포에 비해 분해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7. PDA배지에 tannic acid를 첨가한 Bavendam 반응에서 배지의 재색이 암갈색으로 변하는 양성 반응을 보여 리그닌 분해 효소중의 하나인 laccase가 존재함이 확인되었다. 8. Dry weight에서 5.9%의 감소율을 보였으며, 이에 따른 pH의 변화는 6.07에서 4.31로 배지가 산성화 되었다. 또한 온수추출물에 있어서 톱밥과 미강(4:1 w/w)의 경우 12.98%의 추출량을 보여주었으며 무리우산버섯균이 배양된 배지의 경우 8.56%를 보여주었다. The mycelial mass of K. mutabilis greatly increased at pH 5.5~6.0 but decreased pH 6.0. The linear mycelial growth wsa mostly supported on sawdust of Quercus accutisima and the mycelial density wsa high on sawdust of Q. accutisima and corn cob. Much mycelial distribution could be showen in ray parenchyma cell and ray tracheid. Severe degradation of ray parenchyma cell was found but little degradation of ray tracheid cell was found. The dry weight loss wsa 5.9% after agar-block test. And the pH wsa acidified from 6.07 to 4.31 and hot water extractives was decreased after degradation of Q. serrata sawdust by K. mutabilis.

      • KCI등재

        말굽버섯균의 생리적 특성과 부후특성

        김유이,채정기,Kim, Yu-I,Chai, Jyung-Ki 한국버섯학회 2004 한국버섯학회지 Vol.2 No.4

        말굽버섯의 기초적인 자료를 연구함으로써 앞으로 있을 인공재배 및 균사체 대량증식법 등의 연구에 있어서 기초가 되고자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서 사용한 말구버섯균은 Czapek dox 배지에서 $0.0803mg/50m{\ell}$으로 균사생육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Hennergers, Lilly, Glucose peptone, Glucose trypeptone 배지 순으로 양호한 균사생육을 보였다. Semisynthetic과 MCM 배지는 균사생육이 저조하였다. 2. 균사생육 적정온도 선발 실험에서, 배양온도 중 $15{\sim}30^{\circ}C$에서 균사생육을 보였으며, $35^{\circ}C$에서는 생육이 정지하였다. $25^{\circ}C$(5.3mm/day)에서 $30^{\circ}C$(9.4mm/day) 사이가 배양적온으로 나타났다. 3. 배지 산도가 pH 4.0에서 균체량이 0.135mg/18days으로 가장 우수한 균사생육을 보였으며, 배지의 산도가 중성에 가까워지면서 균사생육이 저조하였다. 4. 영양원 첨가에 따른 균사생육 실험에서, lactose 첨가배지에서 $0.225mg/50{\ell}$, galactose 첨가배지에서 $0.213mg/50{\ell}$의 균체량으로 우수한 균사생육을 보였으며, 질소원의 경우 glutamic acid를 첨가한 경우 $0.208mg/50{\ell}$의 균체량으로 가장 우수한 균사생육을 보였다. 5. 톱밥수종 선발 실험에서 상수리나무 톱밥배지와 아카시나무톱밥에서 양호한 균사생육을 보였다. 6. 부후 전 후의 건중량을 비교한 결과, 17.4%의 중량 감소율을 보였다. 7. 부후 전 후 배지의 pH 변화를 조사한 결과 부후전 pH6.07의 배지산도가 부후가 완료된 후 pH5.43으로 산성화되었다. 8. 부후 전 후 배지의 WEC를 조사한 결과 부후전에 12.98%의 추출을 보이고, 부후후에는 15.216%의 추출물을 얻었다. 9. Bavendamm 반응에서 배지의 재색이 암갈색으로 변하는 양성 반응을 보여 백색부후균임이 확인되었다. 10. 목섬유 세포벽의 침식과 박벽화가 관찰 되었다. 균사의 밀도는 방사조직에 높게 나타났고, 일부 목섬유에서도 높게 나타났다. 축방향유세포와 도관의 벽공이 심하게 부후되었다. The optimal temperature for mycelial growth the F. fomentarius was $30^{\circ}C$ and the range of the temperature for mycelial growth wsa about 10~30. The optimal pH for the growth was 4.0. The percentage of weight loss percentage wsa 17.4%. The percentage of WEC extractives wsa increased to 2.24%. The observation of micromorphological showed that the detected cell wall were erosive and thinning as typical degradation pattern of white-rot fungi.

      • KCI등재

        핑거접합방식에 의한 삼나무의 고주파가열 집성판 제조에 관한 연구 (1) - 삼나무 판재의 초산비닐수지 접착특성 -

        소원택,채정기,So Won-Tek,Chai Jyung-Ki 한국가구학회 2005 한국가구학회지 Vol.16 No.1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gluing characteristics of poly vinyl acetate emulsion adhesive(PVAc) on the Cryptomeria japonica laminated boards. This sample trees are major planting species and have been planted in southern district for a long time. The optimum gluing conditions for laminated board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mount of spreading glue, assembly time, clamping pressure, and clamping time for PVAc resin were $200g/m^2$, 10min., $5kg/cm^2$, and 6hrs., respectively, and the relative formulae between extension ratio(x) and block shear strength(y) was $y=-9.6x+85.2(R^2=0.95)$.

      • KCI등재
      • KCI등재

        삼림 소유역에 개설된 임도가 부유토사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안영상 ( Young Sang Ahn ),조희두 ( Hi Doo Cho ),오광인 ( Kwang In Oh ),채정기 ( Jyung Ki Chai ),전근우 ( Kun Woo Chun ) 한국산림과학회 2003 한국산림과학회지 Vol.92 No.1

        To investigate if the stream in the forest watershed receives suspended sediment from the forest road, observations were carried out at three survey Points that receive effect of the forest road in forest watersheds and at one survey point that does not receive effect of the forest road in forest watersheds.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of the change of suspended sediments , they increased in place where there was forest road construction during rainfall and the maximum suspended sediment of each surveying Point differed . The suspended sediment in four surveying points was less than standard of drinking water(25mg/ℓ) with daily rainfall of 0mm, Under the 60mm of daily rainfall, suspended sediment of four surveying points did show more than standard of drinking water, under the 406mm of daily rainfall, suspended sediment was 67~246 times more at the surveying Point a, b and c than at the surveying point d.

      • 家具用 部材의 曲加工 特性 : Ⅱ. 煮沸處理에 의한 리기다소나무 曲木製造 Ⅱ. Solid Wood- Bending of Pitch Pine by Boiling Treatment

        蘇元澤,蔡正基 全南大學校 農業科學技術硏究所 1996 農業科學技術硏究 Vol.31 No.-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olid wood bending properties of pitch pine (Pinus rigida Mill.) grown in Korea by boiling treatment. The specimens were green and their dimension was 15×15 ×350mm. The optimum conditions for solid wood bending process of pitch pine are showed in Table 5 and the minimum solid-bending radius was 220mm in boiling treatment. The effects of pin knots, diagonal grains, and tom grains on the concave side of bent wood on the degradation of bending processing properties were very severe and their bending failures were 75%, 25%, and 35%, respectively, when bent to a 300mm radi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