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논증 텍스트에 나타난 논증 도식 양상 연구

        채윤미(Chae, Yun 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논증 도식의 운용이 텍스트의 질적 수준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생산한 논증 텍스트를 분석하여 텍스트의 수준 별 논증 도식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ienpointner(1992)의 7가지 논증 도식을 이용하여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에서 논증 도식이 나타난 횟수와 논증 도식의 출현 양상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은 논증 도식의 출현 횟수와 논증 도식의 유형별 사용, 그리고 표현 방법에도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위 집단의 학습자들은 상위 집단에 비해 다양한 논증 도식을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하나의 논증 도식을 사용한 후 다른 층위의 논 증 도식으로 발전시키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내용을 중심으로 논증 텍스트의 교수와 관련하여 효과적인 논증 텍스트의 생산 전략의 습득을 위하여 학습자들에게 논증 도식에 관한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학습자의 쓰기 발달 수준에 맞춰 논증 도식을 지도할 필요가 있다. 논증 텍스트의 논증 도식 분석 작업은 논증 텍스트의 생산에 어려움을 겪는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교육 내용의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논증 텍스트 평가의 준거 마련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ing aspect of argumentative text’s argumentative scheme by level of text, through the aspect analysis of argumentative scheme in argumentative texts witten by Korean learners. This study based on the critical mind that management of argumentative schemes affects texts level of quality,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aspect of argumentative schemes of respective text types by analyzing argumentative texts produced by foreign Korean learners. This study s argumentative schemes are Kienpointner(1992) s seven argumentative schemes and comparative analysis has been done by referring to the number of argumentative schemes in top and bottom groups and the appearance aspect of the schemes. As a result, top and bottom groups differ in the number of argumentative schemes appearance, the use of respective argumentative scheme type, and the method of expression. Bottom group learners were unable to take advantage of a variety of argumentative schemes in comparison with top group learners. In particular, the bottom group had difficulty in developing an argumentative scheme into a different level of scheme. When referring to this finding, it is necessary to have an argumentative schemes education designed for learners for them to achieve an effective acquisition of argumentative texts production strategy. Furthermore, argumentative schemes should be taught accordingly to learners development level of writing skills. This study proved that the bottom group learners only use limited argumentative schemes. Operation methods which could expand and specify such limited schemes should be instructed accordingly to learners levels. Most of all, the learners should receive guidance regarding method of use based on the linguistic elements appearing in argumentative schemes and education should be focused on how linguistic expressions affect the developmental style of writing.

      • KCI등재

        일반논문 : 논증 텍스트의 무브 분석 연구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채윤미 ( Yun Mi Chae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5 국어교육 Vol.0 No.151

        This research is purposed to identify the genre features on korean argumentative texts via move analysis of genre argumentative text and present practical educational material necessary for teaching writing a argumentative text. In this research, the results were compared to the authentic argumentative texts written by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Korean advanced learners. And it analyzed the Move structure on the basis of Grujicic-A., L.(2005)`` CATS model. Through this analysis, the markers of Moves which show movement of each Move of argumentative texts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analysis of 60 argumentative texts, there was notab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t each Move stage, Korean of Group was better at the using Move structure and argument elements more than Korean advanced learners. The research result will be able to be utilized as positive educational materials with which Korean learners can understand easier the characteristics of genre on the argumentative texts.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설득적 텍스트에 대한 장르 기반적 분석 - 건의문을 중심으로 -

        채윤미 ( Chae Yun-mi ) 한국작문학회 2017 작문연구 Vol.0 No.32

        건의문은 어떤 문제에 대한 자신의 주장을 논리적으로 증명하여 독자에게 개선 사항을 요청하는 설득적 텍스트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대학생과 외국인 유학생이 생산한 건의문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 텍스트가 갖는 언어적 표현에 주목하여 해당 언어적 표현이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에 대해 장르적 관점에서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한국인 대학생 집단은 문장의 명사화, `-는 것이다`, 수행 동사의 사용 등을 통해 논제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건의 사항에 대한 타당성을 높이며, 문제 상황에 대해 비관여적인 어조를 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국인 유학생의 텍스트에는 명사화의 사용은 잘 나타나지 않았으며 1인칭 대명사, 사고 심리 동사, 인용구 등이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국인 유학생의 경우 언어적 표현의 의미 기능과 텍스트 장르성 간의 관계에 대한 불완전한 인식이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특정 언어적 표현 장치들`을 통해 텍스트의 장르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내용이 마련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언어적 표현 장치가 가진 의미 기능이 잘 드러난 텍스트를 읽기 자료로 제시하고 쓰기 교육과 연계된 활동을 마련해 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sentences written by Korean and foreign student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ressive pattern and generic characteristics. It was observed that texts written by Korean college students used Nominalization in sentences, `-nun kesida` and the third person pronoun. These expressive patterns are used to question the objective view, to improve the validity of suggestions, and to show the psych-evaluative predicate of the problematic situation. However, in texts written by foreign students these expressive pattern tended to be absent, and first-person pronouns, psychological verbs, and quotations were more widely used. This implies that foreign students have an incomplete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mantic function of the expressive pattern and a text`s generic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educational content to help students recognize the genre of a text through its use of `specific expressive pattern devices`. For this purpose, texts with well-defined semantic functions should be presented as reading material.

      • KCI등재

        한글장편소설에 나타난 선도(仙道)를 수련하는 여성 형상 연구 -<임화정연>, <보은기우록>, <명행정의록>을 중심으로-

        채윤미 ( Chae Yun-mi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20 고전문학과 교육 Vol.43 No.-

        이 논문은 <임화정연>, <보은기우록>, <명행정의록>을 중심으로 한글장편소설에서 신선의 도인 선도를 수련하는 여성 형상의 양상과 서사적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세 작품에는 선도 수련이 개성을 보여줄 만큼 중요한 비중을 갖는 여성인물들이 등장한다. 본고는 이러한 형상을 조명함으로써 세 작품의 특징을 드러내고, 이를 기반으로 선도를 수련하는 여성 형상이 갖는 의미를 한글장편소설에 반영된 신분의식과 유교적 가부장제 질서에 대한 지향의 측면에서 해명하고자 했다. 세 작품에서 인물이 수련을 하는 계기를 살피면 선도 수련을 하는 여성 인물의 다양한 양상이 포착된다. 선도 수련이 인물의 삶에서 가장 문제적인 상황인 고부 갈등, 혼인 거부, 자발적 혼인 추구의 실패, 비천한 출신 등을 벗어나도록 하기 때문이다. 그런 가운데 세 작품은 수련법과 결과 면에서 유사성을 보여준다. 수련법의 경우 상층은 단약 복용, 하층은 도술 연마를 한다. 수련의 입문 시점과 수련 기간에서 하층인물이 우위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결과의 측면에서 상층인물의 제자가 된다. 이렇듯 신분별로 선도 수련 양상을 대응시키는 것은 신분의식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신분이 득도와 연계되는 양상은 한글장편소설의 주된 향유층인 상층의 의식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반면 세 작품에서 선도 수련은 유교적 가부장제 질서에 대한 서로 다른 지향을 구현하는 역할을 한다. <임화정연>에서 여성인물의 선도 수련이 가부장제 질서에 균열을 내는 면모가 강하다면 <보은기우록>, <명행정의록>에서 선도 수련은 가부장제 질서에 순응하는 여성 형상화를 위해 활용되는 면모가 강하다. This paper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female figures who train themselves the way to become the transcendent of Korean Classical Novels for Imhwa Jongyon, Boeungiurok, Myeonghaengjeonguirok. In the three novels, the situation of women is closely related to the training the way to become the transcendent. In particular, training the way to become the transcendent is a way to solve the problem of female figures. It is a conflict between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rejection of marriage, failure to marry, and low birth. The three novels linked the class consciousness and level of completion of training in such a way that the upper class completed the training, becoming a teacher and the lower class being a disciple. In the three novels, the female character shows moves to reject Confucian order through train the way to become the transcendent or conform to the Confucian order.

      • KCI등재

        고전소설 속 도교 형상화의 일고찰 -<임화정연>과 <손천사영이록>을 중심으로-

        채윤미 ( Chae Yun-mi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9 고전문학과 교육 Vol.40 No.-

        이 논문은 고전소설 <임화정연>과 <손천사영이록>을 대상으로 황제에 의해 인정받는 공식적인 도교의 양상과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두 작품에는 황제에 의해 도관이 건립되고, 그 도관을 근거지로 한 진인(眞人)과 천사(天師)의 활동이 황실을 위한 것으로 초점화 된다. 이처럼 두 작품에 반영된 도교는 황실과의 관계 속에서 형상화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러한 도교의 특징은 서사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에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된다. 서사적 측면에서 볼 때, <손천사영이록>과 <임화정연>에서 도교는 큰 틀에서 유교적 지배 이념이라는 주제를 구현하는 데 일조한다. 그러나 더욱 주목할 점은 도교가 유교적 이념에 균열을 내는 지점들이다. <임화정연>에서 도교는 여성이 지배 질서가 규정한 삶에서 벗어나는 방편이 된다는 점에서 지배 질서에 비판적인 의미를 띤다면, <손천사영이록>에서 도교는 황제의 지배 아래 유교와 공존하면서 한편으로 유교보다 우위에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런 점으로 볼 때 두 작품에서 도교는 유교적 지배질서와 긴장 관계에 놓이는데, 두 작품에서 도교가 황실과의 관련 아래 공식적으로 드러나고 있기 때문에 사회 이면에 숨어 비공식적으로 드러나는 경우보다 긴장 관계가 한층 선명하게 부각된다. 두 작품에서 진인과 천사의 활동이 황실을 위한 것으로 초점화되는 것은 도교가 황제의 직접적인 통제아래 있음을 보여주면서 선명한 긴장 관계를 은폐하려는 시도로 해석된다. 사회적 측면에서 볼 때, 두 작품에 형상화된 도교는 국내에서 전개된 도교문화와 연관성이 있다고 해석된다. 조선시대는 소격서 철폐로 관방도교의 쇠퇴만이 강조되지만, 조선 중기까지 관방 도교 시설인 소격서가 존재했고, 중기 이후로는 관우를 모신 관왕묘를 중심으로 도교문화와 왕실의 관계는 여전히 밀접하게 이어지고 있었다. 두 소설이 향유된 사회적 배경에는 이러한 조선 사회와 도교 문화의 관련도 유의미한 것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aspects and meaning of Daoism as represented in the classic novels, Imhwa Jongyon and Son Ch'onsa Yongirok. The two novels grasped an image of official Daoism which has a reciprocal relationship with Royal house: Emperors establishes Daoist temples and the Daoist immortals and the Celestial Masters work for Royal house. In these two novels, Daoism is characterized by its close association with the royal family. The characteristics of Daoism reflected in the two novels have significance in both aspects of the narrative and social dimension. On the one hand, Daoism helps to maintain the dominant system of Confucianism in the overall narrative of both novels. But it is noteworthy that Daoism cracks in the Confucian ideology. In this point, Daoism gives a tension to the dominant social order, and the tension is amplified because the Daoism in the two novels is an officially admitted religion by Royal Edict. 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istics of Daoism in the two novels are related to the socio-cultural climate in which Daoism developed in Korea. Before the Daoist institution (Sogyokso) was removed from the Royal Palace in the mid-Choson period, the official Daoism has played an essential role in practicing rituals for the Royal family. After the decline of the official Daoism, the cult of Kwan U/Guan Yu has established itself as a new Daoist culture in the late Choson perio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Choson society and Daoist culture is significant as the social background of reading these two novels.

      • KCI등재

        〈명행정의록〉의 구현옹 형상의 특징과 의미

        채윤미(Chae, Yun-Mi)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동서인문학 Vol.0 No.58

        본 연구는 <명행정의록>에서 양적, 질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구현옹에 주목하여 이 인물 형상의 특징과 서사적 의미를 해명한 것이다. 구현옹은 세속의 凡人이 내단 수련을 통해 신선이 되는 것으로 형상화된다. 특히 내단 수련 과정이 상세하게 묘사되면서 더욱 구체적인 형상화가 이루어진다. 또 단약 제조와 선계조성을 통해 남녀 주인공을 위기로부터 구하거나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구현옹 형상은 <명행정의록>이 화이론을 옹호하기 위해 도교의 이미지를 활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작품은 한족 중심의 시각에서 이민족이 중원을 차지하는 현실을 문제로 제기함으로써 화이론적 지향을 드러낸다. 구현옹은 화이론의 이념을 고수하기 위해 세속을 떠나 내단 수련을 하여 신선이 된다는 점에서 작품의 문제의식이 내포된 형상이다. 또 구현옹은 한족 지배층을 이민족의 지배로부터 보호하거나 이민족을 소탕해준 한족 지배층에게 은혜를 갚으려는 목적 아래 그 실천 행위로 단약을 제조하고 선계를 조성한다. 다음으로 <명행정의록>은 도교 이해의 수준이 높은 작품인데, 도교와 관련된 내용을 실제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다룬다는 점과 더불어 신선 수련을 통해 득도하는 이야기 가운데 구현옹의 내단 수련이 실제 중국 내단학 분야에서 저명한 문헌을 차용하여 이루어진 점에서 그러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feature and meaning of Kuhyungong feature of Myenghaengjeonguirok. Kuhyungong becomes the transcenden through Internal alchemy training. It also plays a role in saving the male and female protagonists from the crisis through manufacturing single drugs and creating Immortal World. Kuhyungong character show Myenghaengjeonguirok use Taoism to defend the Confucian ruling ideology. This novel raises the question of the reality that immigrants take the China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an Chinese people. It is interpreted that the reason why Kuhyungong became the immortals under such a sense of question and then works to protect the Han Chinese ruling class is to protect the Confucian ruling ideology. The methods used by Kuhyungong to defend his ruling ideology are Training for internal alchemy, manufacturing Daoist pills, and formation of a Realm of the Transcendents. This is a key element of Taoism and symbolizes Taoism. Myenghaengjeonguirok has a high level of Taoist understanding. This is because the contents related to Taoism are dealt with on the basis of history, and the tinner alchemy training of Kuhyungong is done by borrowing the distinguished literature of the actual Chinese tinner alchemy.

      • KCI등재

        새 자료 『장칠선전』 연구

        채윤미 ( Yun Mi Chae ),김영 ( Young Kim ) 한국고전문학회 2014 古典文學硏究 Vol.46 No.-

        『장칠선전』은 학계에 처음 소개되는 자료로, 남주인공 장칠선의 영웅적 일대기를 다룬 영웅소설이다. 이 자료의 필사기에 적힌 ‘丁巳’는 1917년으로 추정되며 경상방언의 특색을 띠는 음운, 어법, 어휘들이 나타나 경상지역에서 옮겨 적고 유통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장칠선전』은 영웅의 일생 구조를 충실히 갖추고 있으며 『장풍운전』, 『소대성전』, 『유충렬전』, 『조웅전』과 유사한 설정이나 삽화가 곳곳에서 발견되므로 이로 볼 때 영웅소설의 구조와 문법을 토대로 약간의 변개를 가하여 결구된 작품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런 가운데 경제적, 신분적으로 몰락했던 처지를 극복하고 가문의 형성과 창달을 이루는 가족의 서사로 규정될 수 있기 때문에 『장풍운전』 유형으로 판단된다. 『장칠선전』은 본격적으로 관직에 진출하지 못하면서 다른 생산방식에 대해서는 무능력한 양반의 형상을 개성있게 형상화하고 있다. 이러한 아버지의 모습으로 대변되는 ‘사회현실’은 이 작품이 제기하는 근본적인 문제의식이자 주인공 장칠선이 직면하게 된 갈등의 상황이다. 이에 따라 작품에서 당시의 경제상황에 대한 관심이 여러모로 확인된다. 이런 점에서 이 작품의 문제의식은 퍽 심각하고 현실지향적인 것이지만 그러한 인식을 서사 전체를 통해 일관되게 문제 삼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의문이 제기된다. 그런데 이것은 『장칠선전』이 報恩의 논리에 따라 서사가 전개되는 데에서 기인한다. 이 작품에서 주인공의 행동의 원리는 철저하게 보은의 논리에 따르며 이러한 논리는 주인공에 한정되지 않고 전체 서사의 추동력으로 기능한다. 그리고 이러한 논리에 따른 결과 작품에서 일시적인 갈등은 있되, 서사를 관통하는 지속적인 갈등은 부재한다. 이러한 갈등 부재는 주인공이 겪는 고난을 약화시키는 원인이자 결과로 작용한다. 이로써 주인공의 형상은 몰개성적으로 그려지고 문제를 풀어가는 방식 또한 소박한 수준에 그치게 된다. 이 점은 『장칠선전』의 특징이자 한계이다. Jang Chil-Seon-cheon is a heroic novel about the life story of Jang Chil-Seon. This manu·script has a transcription, which dates to ‘丁巳’, it is estimated the year 1917. And due to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Gyeong-Sang provincial dialect in the phonemes, grammar, and vocabulary, it is assumed that the manuscript moved out of and was distributed from the Gyeong-Sang region. Jang Chil-Seon-cheon faithfully keeps the heroic life form, but does apply slight changes to the heroic novel structure and can be considered a complementary work when viewed with the similar settings or illustrations found all over in novels such as Jang Pung-Un-cheon, So Dae-Seong-cheon, Yu Chung-Ryul-cheon, and Jo Ung-cheon. Also, because the narration is developed around the conquering of a situation in which there was a crumbling of societal status and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family, it may be classified with Jang Pung-Un-cheon. Jang Chil-Seon-cheon distinctively embodies the form of the economically incompetent Yangban. Due to this, it allows for various confirmations about the economic situation of the time. Represented here by the father, the “reality of society” is the conflict encountered by the main character and is the fundamental issue suggested by this work. In this regard, the issue of this work is quite serious and reality-oriented, but doubt arises regarding this point as the realization of this issue is not consistently addressed through the entire narration. This is arises from how the narration of Jang Chil-Seon-cheon develops following the logic of gratitude. In this work, the main character acts vigorously according to the logic of gratitude, and this develops in the narration and through the younger sister of the main character who takes on a major role. And, in the end, this work contains temporary conflicts following this logic, but continuous conflicts of this nature that penetrate the narration are absent. Finally, the absence of these conflicts serves to diminish the hardships faced by the main character. With this, the formation of the main character is depersonalized and the manners in which problems are resolved cease at a simple level. In this way, the characteristics of Jang Chil-Seon-cheon are limited.

      • KCI등재

        다문화가정 자녀 대상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교재 분석

        최권진(Choi Gwon Jin),채윤미(Chae Yun Mi) 동악어문학회 2010 동악어문학 Vol.54 No.-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교육 문제가 새로이 대두되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서 다문화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관한 교재의 개발 및 개선 방안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다문화가정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위해 개발된 5종의 한국어 교재를 분석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보면, 정부 부처나 기관에서 다문화가정 자녀의 한국어 능력 향상이나 한국문화의 이해를 위해 편찬하여 배포한 교재들이 실제로 각 교육기관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실정이다. 그 이유는 이들 교재들이 대부분 국어교과서의 형태로 국어 교육에 중심을 두고 있거나 한국어 교육의 외국인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내용과 교육 방법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사회문화적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그들의 요구를 충족하기에 부족하기 때문이다.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학습에 필요한 한국어 구사 능력이 부족하여 학업 성취도가 낮으며,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이들을 위한 바람직한 교재는 한국어에 대한 지식과 활용뿐만 아니라 다른 교과의 다양한 주제와 세계의 다양한 문화도 다루는 범교과적인 활동 중심의 언어문화 통합 교재이어야 한다. This research aims to look for an alternative schema for a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the textbooks of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used for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present situation in which educating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s becoming a hot issue. The authors, first, have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to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n have analyzed 5 textbooks developed for the children. These analyses show that the textbooks developed by government organs or institutions are not used in the schools engaged in teaching Korean. The reason is that most of the textbooks are developed in the form of a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native Koreans or does not reflect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of multicutural families and does not meet the demands of the children, as the textbooks have adopted the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for teaching Korean for grown-up foreign learner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children have low school records due to the lack of school Korean and they experience difficulties in school life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the Korean culture, desirable textbooks for the children of multicutural families should not only contain knowledge and usage of the Korean language but also deal with diverse topics of other school subjects and various cultures of the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