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시기별 <영재교육연구> 연구동향 분석

        채유정(Yoojung Chae),이현주(Hyunjoo Lee),이성혜(Sunghye Lee) 한국영재학회 2018 영재교육연구 Vol.28 No.4

        this study, we analyzed trends in the study of gifted education in Korea during the last 15 years from the year 2003 when the first master plan for the promotion of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was implemented to the end of the third master plan for the promotion of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in 2017. Total 515 research pap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4 basic categories: research subject, topic, field, and method, and the results were additionally classified into sub-categories. In addition,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by period from 2003 to 2007, from 2008 to 2012, and from 2013 to 2017, depending 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master plan for the promotion of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2003-2007, the research on learner was the most conducted, and the research on development of gifted education programs was accounted for more than two-thirds of research topics. Regarding research area, more than half of the research were concentrated on the mathematics and science area, and 38.5% of the research were the general area. In addition, quantitative research-nonexperimental research and research methods were most frequently used. In 2008-2012, as the teacher observation recommendation was initiated, a number of related research were carried out and the research on the general giftedness as well as the field specific giftedness was conducted. However, more than half of the research were still conducted in the mathematics and science area. Quantitative and nonexperimental research were mostly used, but the proportion of qualitative research was also increased. Finally, in 2013-2017, the research on giftedness was expanded to music, art, and invention area, and the research on teacher observation recommendation was actively conducted. In addition, the research on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odel were conducted from a macro perspective as well as cours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needed research areas and contents for better education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1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이 시행된 2003년부터 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이 종료된 2017년까지의 최근 15년 국내 영재교육 연구동향을 시기별로 분석함으로써 영재교육진흥법 시행 이후 현재까지 이루어진 관련 연구 양상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대상 논문은 2003~2017년 간의 ‘영재교육연구’ 학술지 논문 총 515편이었으며, 연구 논문의 기본 요소인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영역(교과), 및 연구방법 등의 4개 대분류에 따라 일차적으로 분류하였고, 각 대분류에 따라 하위 및 세부 변인별로 분류, 분석하였다. 또한, 1차, 2차, 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시기에 따라 2003~2007년, 2008~2012년, 2013~2017년으로 시기를 구분하여 위의 각 분류틀에 대한 내용을 시기별로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03~2007년에는 학습자 대상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는 연구가 교육과정, 프로그램 관련 주제의 2/3 이상을 차지했다. 연구영역으로는 수학 및 과학 영역이 절반 이상이었고, 영역일반 연구가 38.5% 비율로 수행되었으며, 양적연구-비실험연구 및 조사연구 방법을 활용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2008~2012년에는 교사관찰추천제가 시작됨에 따라 관련 연구가 다수 수행되었고, 특정 분야 영재성뿐만 아니라 영역 일반적 영재성에 대한 연구도 수행되었으나, 수학 및 과학영역 연구가 여전히 높은 비율로 이루어졌다. 양적연구-비실험연구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졌으나 질적연구의 비율도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2013~2017년에는 영재성 연구 영역이 다소 확대되어 음악, 미술, 발명분야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고 교사관찰추천제 관련 연구도 활발히 수행되었다. 또한, 수업개발, 적용 뿐 아니라 거시적 관점에서 교육과정 및 수업모형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영재교육 지원을 위해 추가적으로 필요한 연구의 방향 및 내용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 KCI등재

        불가리아어 학습자 기반 인공지능 한국어-다국어 학습사전 구축 방법론 연구

        채유정(Yoojung Chae) 한국슬라브어학회 2023 슬라브어연구 Vol.28 No.2

        What differentiates the learning dictionary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from existing online learning dictionaries is that learners can always add the vocabulary or sentences they need online, and furthermore, can translate these into their desired second language. It is possible to translate and store in parallel form. Once this first model is completed, it can be developed into the construction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multilingual learning dictionary. In this paper, the first model has actually been developed and its code and configuration environment are presented in the main text.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the existing primary model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s that while the existing model was focused on accumulating and utilizing data through vocabulary-centered multilingual translati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dictionary collects additional data (mainly big data) to collect learning data. The point is to create a model by separating the and evaluation data. Onc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dictionary is completed, it becomes possible to analyze form, syntax, and meaning,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utomatically extract and visualize usage specificity, such as frequency analysi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t up artificial intelligence functions such as automatic classification of headwords and application of a recommendation system. This paper primarily aims to describe the actual construction of a learner-centered Korean-multilingual learning dictionary using Streamlit and its detailed contents, and then discusses the methodology for building a learning dictionary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hrough this learning dictionary, learners will be able to use the vocabulary or sentences they need as data from the beginning of learning Korean, and in this process, the efficiency of learning Korean will be dramatically increased through comparative learning with their native language. If a learner develops into an instructor,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ctively use it as educational content in the teaching field.

      • KCI등재

        온라인 소프트웨어 교육 학습자들의 자기주도학습 유형 분류 및 특징 분석

        성은모 ( Eunmo Sung ),채유정 ( Yoojung Chae ),이성혜 ( Sunghye Lee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9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2 No.1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교육의 효과성을 증진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교육 학습자들의 자기주도학습 유형을 분석하고 각 유형에 따른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보다 전략적인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대학교에서 온라인 소프트웨어 교육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중학생 42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자기주도학습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잠재계층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소프트웨어 교육 학습자들의 자기주도학습 유형은 ‘최고수준 자기주도학습형(계층 1)’, ‘자기 학습스타일 인식형(계층 2)’, ‘자기 학습스타일 선호형(계층 3)’, 그리고 ‘자기주도학습 부재형(계층 4)’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프트웨어 교육 학습자들의 자기주도학습 유형에 따른 소프트웨어 학업성취도 수준은 ‘최고수준 자기주도학습형(계층 1)’이 가장 높고, ‘자기 학습스타일 선호형(계층 3)’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lf-directed learning types of software education learners and to characterize them according to each type. To do this, 429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online software education at K university were surveyed and a latent class analysis to analyze self-directed learning types was conducted. As a result, the self-directed learning types of the software education learners were classified into 'highest level of self-directed learning type (class 1)', 'self learning style recognition type (class 2)', 'self learning style preference type (class 3)’, and 'lack of self-directed learning type(class 4)'. Also, the level of software learning achievement according to self-directed learning type of software education learners was found to be the highest at 'highest level of self-directed learning type (class 1)' and lowest at 'self learning style preference type (class 3)'.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the strategic implications for software education.

      • KCI등재

        부모의 긍정적 양육행동과 청소년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성취가치의 매개효과

        박혜진(Park Hyejin),채유정(Chae Yoo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9

        본 연구는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고, 성취가치의 매개효과를 분석함으로서 청소년에 대한 이해 및 이들의 삶의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PYS)의 중1 패널 데이터 중 제 6차년도(2015년), 고등학교 3학년 총 2,351명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긍정적 양육행동인 애정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유 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독, 애정, 합리적 설명이 청소년의 성취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감독과 애정은 성취가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이 지각하는 성취가치는 삶의 만족도에 직접 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모의 긍정적 양육행동이 성취가치를 매개로 청소년의 삶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감독과 애정은 성취가치를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간접 영향을 미치나 합리적 설명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한 시사점 및 이후 수행되어야 할 관련 연구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life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value an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achievement value, resulting in understanding adolescents and enhancing their life satisfaction.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from the sixth wave panel data of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KCYPS). The sample consisted of 2,351 adolescents who were 12th graders in 2015,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pplied to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fection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Second, monitoring and affection directly affected achievement value. Third, achievement value perceived by adolescents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Lastly, monitoring and affection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using achievement value as a mediator, but reasoning did not.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and future study ideas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 체험활동 참여, 사회·정서, 생애목표의 수준 및 구조적 관계에서의 성차

        이현주(Lee, Hyunjoo),채유정(Chae, Yooj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한국청소년연구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체험활동참여, 사회·정서, 생애목표 간의 구조적 관계와 성차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청소년정책 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자료의 1~3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중1년의 체험활동 참여, 중2년의 사회·정서(정서적 안정, 공동체 의식, 학교적응), 중3년의 생애목표(가족, 성공, 성장, 사회기여)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우리나라 청소년은 10명 중 9명 꼴로 1년 동안 2-3개 유형의 체험활동에 약 20시간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참여율이 가장 높은 체험활동은 봉사활동으로 과반수이상이 참여하였다. 둘째,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하여 체험활동 참여 유형수와 참여 시간이 많았고, 특히 문화/예술, 봉사, 직업체험, 자기계발에 참여한 비율이 높은 반면, 남학생은 건강/보건, 과학/정보 활동에 참여한 비율이 높았다. 또한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하여 공격성, 신체증상, 우울증상을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의 공동체 의식(봉사협동, 다문화 수용)과 학교적응(학교규칙, 교우관계)이 남학생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생애목표 중 가족목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은 반면, 성공목표와 성장목표는 하위 문항별로 성차가 발견되었다. 셋째, 각 연구변인 간의 관계에서는 성차가 존재하지 않아 남녀 모두에게서 체험활동 참여는 사회·정서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체험활동이 공동체 의식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정서적 안정에 미치는 영향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정서가 생애목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정서적 안정은 성공목표를 제외한 모든 생애목표에, 공동체 의식은 가족과 성공목표를 제외한 자기성장과 사회기여목표에, 학교적응은 모든 생애목표 유형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네 개의 생애목표에 대한 체험활동 참여의 직접효과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으나 간접효과는 모두 유의하였고, 성공목표를 제외한 가족, 자기성장, 사회기여 목표에 대한 체험활동 참여의 총효과 또한 유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experience of youth activities, social?emotional aspects (emotional stability, a sense of community, school adaptation) and life goals (family, success, self?growth, social contribution).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data from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s longitudinal study were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90% of youth participated in 2-3 youth activities, spending about 20 hours a year on such activities. The most common type of activities which students participated in were voluntary service. Second, gender differences existed in the participation proportion by type of activities and the mean levels of social?emotional characteristics relationship. There was higher participation by girls in culture/arts-related programs and voluntary services whereas there was higher participation by boys in health?related and science/IT programs. Furthermore, girlsrecorded lower scores on emotional stability and higher scores on a sense of community and school adaptation factors; and girls also recorded higher scores on the family goal. Third, the experience of youth activities positively effected the social/emotional aspects. Fourth, the emotional stability factor affected life goals, with the exception of the success goal; a sense of community affected the selfgrowth and social contribution goal; and the school adaptation factor positively affected all of the life goals. Lastly, the total effects of the experience of youth activities on the four life goal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luding the effects on sel-growth.

      • KCI등재

        온라인 문제기반 과학 탐구과제 평가준거 개발

        최경애 ( Kyoungae Choi ),이성혜 ( Sunghye Lee ),채유정 ( Yoojung Cha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5

        본 연구에서는 문제기반 탐구학습으로 설계된 초등학교 및 중학교 온라인 과학 과목을 대상으로 고차적인 사고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개발된 평가문제에 대해 목표 분류학에 기반하여 평가하고자 하는 사고력을 도출하고 이를 구조화함으로써 평가준거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평가준거의 개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선행 연구 및 문헌분석, 전문가 타당화를 거쳐 6개의 평가요소 즉, 지식, 논리·분석적 사고, 비판적 사고, 탐구능력, 문제해결, 창의적 사고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평가요소의 정의, 하위 요소 및 평가 기준 등을 연구진이 수립하였고 2차에 걸친 전문가 타당화를 통해 수정, 보완하여 평가 기준안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이 개발된 평가 기준안을 실제 온라인 탐구 과제 24종에 적용하여 과제별 평가 루브릭을 개발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수정, 보완할 영역을 도출하고, 개선하여 최종 평가 기준안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 기준안은 평가 문제가 평가하고자 하는 내용과 함께 그 문제가 요구하는 사고기능이 무엇인지 확인함으로써 내용 영역의 학습과 함께 사고기능의 개발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평가준거가 될 것이며, 다양한 탐구 중심의 학습 방법과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문제 해결력 등의 핵심역량을 요구하는 교육 현장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valuation criteria for students’ research reports on online science inquiry problems that promote thinking abilities. The steps of developing the evaluation criteria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previous study results and literature review, the evaluation categories of the science inquiry contents were determined: 1) knowledge, 2) logical and analytical thinking, 3) critical thinking, 4) science process skills, 5) problem-solving, and 6) creative thinking. Second, evaluation criteria a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steps: 1) define each category, 2) identify sub-category, 3) develop evaluation criteria for all categories that could serve as guidelines in the development of scoring rubrics, and 4) expert validation processes were performed. Finally, the usability test for these evaluation categories and criteria were done by being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real scoring rubrics for 24 problems included in e-learning contents. Then the users’ feedbacks were filed an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과학고 및 영재고 Research and Education (R&E) 운영실태 분석 및 활성화방안 제안 : R&E 운영담당자 면담사례를 중심으로

        정현철,류춘렬,채유정 韓國英才學會 2012 영재교육연구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R&E programs in gifted high schools/science high schools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better program. The sample included 21 R&E coordinators in the gifted high schools and science high schools. They filled out the survey, asking about the R&E program; then, the researchers interviewed the coordinators based on the answers of the surve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E guidelines and related materials were not enough to use. 2) At the planning step, students and the mentors received were provided a little information, such as ethical issues, students' information, the roles of mentors/ students, mentor's research interest areas and products, etc. 3) At the research step, 80% of the schools had the monitoring process but the details were not written and saved. 4) At the evaluation step, the rubric of the product evaluation existed; the rubric of performance process were established by half of the schools. 5) At the closing step, 100% of the schools had the final product materials;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and the information of the mentors were saved by 2/3 and 1/3 of the schools, respectively. Discussions and suggestions were included for the better R&E programs. 본 연구에서는 R&E 프로그램의 운영지원현황 및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R&E 운영단계를 준비-계획-실행-평가-종료 5단계로 구분하여 조사 및 분석이 이루어졌다. 총 18개 과학고와 3개 영재학교 R&E 운영담당자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2010년 12월, 전수조사를 목적으로 각 학교에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R&E 운영담당자 21명(100%)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준비단계에서 학생의 R&E 수행지침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운영을 위해 참고할 수 있는 자료도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계획 단계에서 지도자를 대상으로 윤리적인 문제, 참고자료, 학생배경 특성 등에 관한 안내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학생들에게 지도자의 의무와 역할, 연구정보 및 업적 등에 대한 정보제공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세 번째, R&E 실행단계에서는 80%의 학교가 수행 점검을 실시하고 있었으나 세부적인 점검내용에 대한 기록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네 번째, 평가단계에서 산출결과의 평가기준은 모든 학교가 갖추고 있었으나, 수행 과정에 대한 평가기준은 약 절반의 학교만 가지고 있었고, 평가비율에 발표내용과 결과보고서 비율이 높게 나타나 평가가 ‘결과’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종료단계에 결과자료집은 100% 보관되고 있었으나 평가결과는 2/3 학교가, 그리고 지도교수 정보는 약 1/3의 학교만이 보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관찰 내용 및 면담자료도 비교적 잘 보관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R&E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운영개선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