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도마늘 대주아 재배시 지온, 파종시기 및 시비량이 이차생장에 미치는 영향

        최학순(HakSoon Choi),양은영(Eun Young Yang),채원병(Won Byoung Chae),곽용범(Yong Bum Kwack),김홍림(Hong Lim Kim)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9 시설원예‧식물공장 Vol.18 No.4

        마늘에 있어서 이차생장은 구의 품위를 떨어뜨리며 심할 경우에는 작은 인편이 많이 착생하는 등 종구로 사용하기에도 어렵게 된다. 따라서 남도마늘 대주아 재배시 지온, 파종시기 및 시비량이 이차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시비수준별 남도마늘 대주아 재배시 생장특성을 살펴보면 초장, 엽수, 엽초경, 엽장, 엽폭은 검정시비구의 50% 증비를 하였을 경우가 가장 좋았다. 이차생장 발생율은 검정시비구의 50% 감비시 34.2%, 검정시비구에서는 44.3%, 검정시 비구의 50% 증비하였을 경우는 54.1%로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이차생장 발생률도 증가하였다. 수확한 구의 평균무게는 검정시비구의 50% 감비시 34.1g, 검정시 비구에서는 35.1g 이었으며 검정시비구의 50% 증비시에는 33.9g로 시비량에 따른 수량변화는 없었다. 지중온도와 이차생장 발생과의 상관도를 보면 0.982~0.997로 매우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남도마늘 대주아 재배시 이차생장 발생은 지중온도와 상당히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초장, 엽수, 엽초경 등 지상부 생육이 좋았으며 평균구중도 9월 중순파종구가 36g, 9월 하순 파종구가 29.6g, 10월 상순 처리구가 27.9g으로 파종이 빠를수록 구가 컸다. 반면 파종시기와 이차생장발생 간에는 별영향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secondary growth of garlic depreciates the quality of a bulb and, in the worse cases, makes it difficult to be used as a seed bulb due to many insertions of small cloves in the seed bulb. Therefore, the effect of soil temperature, seedtime, and fertilization rate on the secondary growth of the big bulbils of Namdo garlic has been examined. When we analyzed into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big bulbils of Namdo garlic under different fertilizer application levels (50% increased fertilization, experimental fertilization and 50% decreased fertilization), the plant height, numbers of leaf, sheathe diameter, leaf length, and leaf width were the best in 50% increase of the test rate of fertilizer. The occurrence rates of secondary growth were 34.2% in 50% decrease of the test rate of fertilizer, 44.3% in the test rate, and 54.1% in 50% increase of the test rate of fertilizer. In other words, the occurrence rate of secondary growth increased by increasing the fertilization rate. While the average harvested bulb weight were 34.1g in 50% decrease of the test rate of fertilizer, 35.1g in the test rate of fertilizer, and 33.9g in 50% increase of the test rate of fertilizer, there were no changes in the number of cloves under different fertilization rates. As the correlation diagram between the soil temperature and occurrence of the secondary growth showed very high relation with 0.892~0.997, the secondary growth in cultivation of Namdo garlic big bulbils had considerably close correlation with the soil temperature. As the earlier the seedtime was, the growth of the above-groundparts including the plant height, numbers of leaf, and sheath diameter were the better. The averages of bulb weight were 36g in the mid September sowed seed bulb, 29.6g in the late September sowed seed bulb, and 27.9g in the early October sowed seed bulb. Overall, our results showed that the bulb size is dependent on the seedtime and the seedtime has no particular effects on the secondary growth.

      • KCI등재

        Tuber Yield and Size Distribution of Potato 'Dejima' (Solanum tuberosum L.) Affected by Stem Cutting Ages and Harvest time in Aeroponics

        WonByoung Chae(채원병),Seung Joon Ahn(안승준),Haksoon Choi(최학순),Yong Bum Kwack(곽용범),Dae Hoe Goo(구대회),Myeong Il Jeong(정명일)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8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는 경삽묘의 생리적 서령과 분무재배시 수확시기가 감자 '대지' 품종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경삽묘는 조직배양묘를 삽목하여 생산하였고 삽목 후 20, 30, 40, 50일된 경삽묘를 분무재배에 이용하였다. 분무재배시 정식 후 60, 70, 80, 90일에 각각 괴경을 수확하였고 수확한 괴경은 1~5, 5~10, 10~20, 20~30, 30~40, 40g 이상의 크기로 분류하였다. 삽목 한 후 40일이 경과된 경삽묘의 평균 초장이 전생육기간에 걸쳐 가장 길었지만 정식 후 75일에는 모든 연령의 경삽묘 간의 초장에 대한 유의차는 없었다. 주당 괴경중은 정식 후 90일까지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삽목 후 20일과 40일된 경삽묘를 정식할 때 가장 무거웠고 주당 괴경수도 가장 많았다. 그러나 50일 된 경삽묘를 제외하고 20, 30, 40일된 경삽묘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정식 후 80일과 90일에 수확하는 것이 5g 이상의 괴경 수확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em cutting ages and harvest time on the growth and yield of potato 'Dejima' in aeroponics. The stem cuttings were produced from in vitro plantlets and transplanted into an aeroponic system with 20, 30, 40 and 50 day-old stem cuttings (DOS). Tubers were harvested 60, 70, 80 and 90 days after transplanting (DAT) and sorted into following categories: 1~5, 5~10,10~20,20~30,30~40 and over 40g. Plant height from the 40 DOS was the highest during the growing period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on 75 DAT. The tuber weight increased until 90 DAT with the greatest weight of tubers in the 20 and 40 DO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20, 30 and 40 DOS in the number and weight of tubers. Harvesting at 80 and 90 DAT increased the number of tubers over 5 g, which are usually considered as appropriate for direct field plan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