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강원도 양구군 농업 지역 지하수에서의 미세플라스틱 발생과 분포

        차지혜(Jihye Cha),이진용(Jin-Yong Lee),정은주(Eunju Jeong),김영인(Young-In Kim) 대한지질학회 2021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0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농업 지역의 지하수에서 미세플라스틱 발생 및 분포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 지역인 해안 분지의 면적은 57.5 km2, 길이는 10.5 km, 폭 6.7 km이다. 분지는 사발 모양이고 고도는 400 m에서 1,242 m에 이르지만 대부분의 농업 활동은 400~600 m 높이에서 이루어진다. 해안면의 주요 작물은 인삼, 사과, 무(시래기)이다. 작물 생산 시 주로 멀칭을 많이 사용하며 분지 곳곳에서 버려진 멀칭을 발견할 수 있다. 이곳의 지하수 관정은 주로 농업용으로 사용하며 약 300개 이상이 있다. 관정의 깊이는 10~200 m이고 평균은 30 m이다. 따라서 미세플라스틱에 의한 지하수 오염 가능성이 있다. 연구를 위해 12개의 지하수 관정, 1개의 처리된 폐수 유출수, 1개의 하천수에서 미세플라스틱 시료를 채취하였다. 시료를 채취하기 전 미세플라스틱에 오염이 되지 않도록 시료 채취 장비를 실험실 그리고 현장에서 반복 세척하였다. 대부분의 시료채취 장비는 플라스틱이 아닌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되었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자돈 일당증체량에 따른 장내 미생물 변화 연구

        임진아(Jin A Lim),차지혜(Jihye Cha),김다혜(Dahye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10

        장내 미생물의 조성은 숙주의 성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자돈의 일당증체량과 장내 미생물 간의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생후 28일령 자돈 42두의 평균 일당증체량 상·하위 10%를 대상으로 두 그룹(상위; HADG, 하위; LADG)으로 나누어 장내 미생물을 분석하였다. 두 그룹 간 장내미생물 조성을 비교한 결과 HADG 에서 Firmicutes 문의 풍부도가 LADG보다 높았다. 미생물 기능 예측 분석을 통해 HADG의 장내미생물은 리보솜 생합성과 메탄 대사와 관련 기능이 있으며, LADG은 질병 관련 대사와 유기화합물 분해 대사 관련 기능을 하는 미생물의 분포가 높았다. 두 그룹의 상대적 미생물 풍부도 비교를 통해 차등미생물 33개 속을 확인하였으며(LDA>2, p<0.05 ), 미생물과 일당증체량 사이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spearman’s correlation 분석을 수행하였다(|R|>4). 그 결과 일당증체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4개 속,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21개 속을 발굴하였다. 특히 일당증체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Marvinbryantia, Muribaculaceae, Coprococcus, Parasutterella 는 식물을 다당류를 SCFA로 발효하여 숙주의 에너지원을 제공하고 장내 환경 조절을 통하여 성장을 촉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연구 결과는 장내 미생물을 활용하여 일당증체량을 예측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며, 자돈의 건강과 생산성을 향상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통찰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composition of gut microbiota is closely related to host growth.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piglet average daily gain (ADG) and gut microbiota composition. The study was conducted on forty-two 28-day-old piglets, which were divided into top and bottom 10% groups based on ADG. Analysis of gut microbiota compositions in these groups revealed that the Firmicutes phylum was more abundant in the high ADG group. Additionally, functional prediction analysis showed ribosome biogenesis and methane metabolism were elevated in the high ADG group. Conversely, the low ADG group had a higher prevalence of disease-related metabolic features and higher levels of organic compound degradation. Analysis of the relative abundances of microbiota in the two ADG groups identified 33 differentially abundant microbial genera (LDA > 2, p < 0.05). 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abundances of these microbes and ADG revealed that four genera were positively correlated and 21 genera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weight gain. Notably, Marvinbryantia, Muribaculaceae, Coprococcus, and Parasutterella , which were positively correlated, were found to participate in the fermentation of plant polysaccharides into short-chain fatty acids (SCFA) to provide energy for the host and promote growth. This study provides new insights that could enhance piglet health and productivity and suggests gut microbiota might be used to predict piglet weight g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