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치원 교사 전문성의 세 가지 영역: 질적 연구

        차정주(Jungju Ch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8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들의 전문성을 3개의 영역(개인적, 개인간, 기관적/사회적 영역)에서 탐색해보는 것이었다. 현직 유치원 교사들과의 면담을 통해 그들의 생각이 3개의 전문성 영역에서 어떤 주제로 나타나는가를 알아보고, 궁극적으로 그들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최소 7년 이상 근무한 교사들과 개인 면담과 초점집단면접을 수행하였다. 3개의 전문성 영역에서 나타난 12개의 주제들은 서로 관련되어 있었다. 개인적 전문성 영역에서는 유아에 대한 사랑, 상호작용 능력(기술), 교사로서의 책임감, 유아의 잠재 능력에 대한 통찰력이 나타났다. 개인간 전문성 영역에서는 유아와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 동료교사와의 관계가 나타났다. 기관적/사회적 전문성 영역에서는 보상(금전적 보상, 방학), 유치원 교사 업무에 대한 존중, 유치원 교사 자격, 근무 환경이 나타났다. 3개의 영역에서 나타난 12개의 주제들이 유치원 교사의 전문 성에 어떠한 역할을 하며, 각 주제마다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찾고자 논의해보았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itiate an effort to reframe the professionalism of kindergarten teachers. For analyzing the data gathered from individual and a focus group interviews with six kindergarten teachers, the in-depth interviewing method upon interpretive phenomenology was used. Both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013 to December 2013. Based on accounts of the teacher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welve interrelated themes that were associated with what kindergarten teachers, children, parents, colleagues, and the society necessarily do for educating children well emerged across the three overlapped domains of the professionalism including individual, interpersonal, institutional/societal professionalism. This study implies that collaboration among kindergarten teachers, children, parents, and the society is essential for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of kindergarten teacher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소명감, 그릿 및 전공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차정주(Cha, Jung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7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개인적 특성인 소명감, 그릿, 전공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4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220명이었고, 2018년 3월 중 2주 동안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각 변인들의 하위변인들마다 차이는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예비 유아교사의 소명감, 그릿, 전공만족도, 삶의 만족도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소명감, 그릿, 전공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분석한 결과, 모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소명감, 그릿, 전공만족도를 모두 투입하여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소명감, 그릿, 전공만족도 모두, 삶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력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그 영향력의 크기는 소명감, 그릿, 전공만족도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비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그들의 소명감, 그릿, 전공만족 도를 향상시켜야 하며, 그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sense of calling, grit, and major satisfaction on life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220 pre-service teacher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4-year colleges. The result indicated that all the four variables – a sense of calling, grit, major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 are positively correlated.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s of a sense of calling, grit, and major satisfaction that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have, the higher is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the they experience. Second, a sense of calling, grit, and major satisfactio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life satisfaction respectively. Thir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a sense of calling, grit, and major satisfaction simultaneously indicated that the all three independent variabl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 an emphasis should be laid on inculcating a sense of calling and improving grit and major satisfaction.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소명감 및 그릿과 교직적성과의 관계

        차정주(Cha, Jung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sense of calling and grit on aptitude for teaching profess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262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4-year colleges. The result indicated that all the three variables - a sense of calling, grit, aptitude for teaching profession - are positively correlated.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s of a sense of calling and grit that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the higher is the degree of aptitude for teaching profession that they have. Second, a sense of calling and grit have significant impacts on their aptitude for teaching profession respectively. Third,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effect of a sense of calling and grit simultaneously indicated that the both independent variables have significant impacts on their aptitude for teaching profession. The study recommends that to enhance aptitude for teaching profess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an emphasis should be laid on inculcating a sense of calling and improving grit.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교육현장에 원활히 적응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그들의 개인적 특성인 소명감, 그릿, 교직적성 간의 관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4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262명이었고, 그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각 변인들마다의 차이는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소명감, 그릿, 교직적성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소명감과 그릿이 교직적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본 결과, 두 변인 모두 각각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소명감과 그릿을 모두 투입하여 교직적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소명감과 그릿은 교직적성에 대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영향력의 크기는 소명감, 그릿 순이었다. 이는 유아교사양성기관은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직적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그들의 소명감과 그릿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고 적용해야 한다는 의미한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소명감, 진로스트레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학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윤갑정 ( Gabjung Yoon ),차정주 ( Jungju Cha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학과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고자 이들의 소명감, 진로스트레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학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예비유아교사 396명으로, 그들의 소명감, 진로스트레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학과만족도 사이에 대한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소명감, 진로스트레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모두 그들의 학과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명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고, 진로스트레스가 낮은 예비유아교사일수록 학과에 더욱 만족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대학의 예비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이들의 소명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진로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a sense of calling, career stress, career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with an academic department.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all of the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were correlated. In addition, three variables including a sense of calling, career stres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ve significant impacts on satisfaction with an academic department. In other words, the higher levels of a sense of call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 lower levels of career stress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the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with an academic department they have.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having a sense of calling, reducing career stress, and enhanc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or prospective teachers should be emphasized for improving their sense of satisfaction with an academic department because the sense of satisfaction with academic department might be connected to their future job satisfaction as well as to their pass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 KCI등재

        유아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학부모와의 관계,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이수희(Suhee Lee),차정주(Jungju Cha)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학부모와의 관계, 사회적 지지가 그들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하여 대구, 경북 지역 유아교사 205명을 대상으로 약 3주간 비대면 설문을 실시하고, 설문 자료를 토대로,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학부모와의 관계, 사회적 지지, 소진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아교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그들의 학부모와의 관계, 사회적 지지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가지고, 소진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학부모와의 관계,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 스트레스, 학부모와의 관계, 사회적 지지 모두 그들의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유아교사의 소진을 예방하기 위해 그들의 직무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고,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부정적 감정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정책적 지원과 더불어 주변 및 조직의 지지 형성을 위한 사회적인 지원도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relationships among job stress, human relation with parent, social support, and burnou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 untact survey mehtod is employed to collect data from 205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ve worked in Daegu and Gyeongbuk. Based 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four variales used in this research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Job stress, human relation with parent, and social suppor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s on their burnout. In other words, it turns out that job stress, human relation with parent, and social support are critical variables in explaining the burnou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job str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be reduced and human relation with parent and social support should be encouraged for preventing their burnout. Additionally, they need to learn how to redece their job stress, how to manage relation with parents, and how to attain social support if they are to avoid burnou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