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포용국가의 이론과 사례 그리고 정책

        김정해 ( Jung-hai Kim ),조세현 ( Se-hyun Cho ),윤영근 ( Young-geun Yoon ),권향원 ( Hyang-won Kwon ),차세영 ( Seyeong Cha ) 한국행정연구원 2019 기본연구과제 Vol.2019 No.-

        1. 연구목적·배경·내용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국가의 혁신과 성장 및 경쟁력 제고를 위한 새로운 동력으로서 ‘포용성’(inclusiveness)의 개념에 주목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정부역할모델의 비전’ 및 ‘구체적인 정책대안’을 제시하는 데에 주된 목적을 두고 있음 - 본 연구의 하위 목적은 다음과 같음 · ① [이론] 국가의 혁신과 성장 및 경쟁력 제고의 관점에서 ‘포용성’(inclusiveness)에 대한 체계화된 이론적 개념화를 시도하고 분석틀을 제안 · ② [문제] 세 가지 정책분야 ⓐ 경제·산업분야, ⓑ 정치·행정분야, ⓒ 사회·복지분야를 선정하고, 각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는 ‘비포용성 및 배제의 고착화 이슈들’을 도출 · ③ [대안] 식별된 비포용성의 문제들에 대응하기 위한 구체적인 정부모델과 정책대안의 전략을 탐색 · ④ [종합] 주지한 ‘이론-문제-대안’의 상호연계 된 구성요소들을 통합적으로 체계화하여 ‘포용성을 바탕으로 국가의 혁신과 성장을 도모하는 정부역할모델’을 간명한 ‘모형’의 형태로 제안. 또한 각 이슈별 정책 대안과 포용국가의 역량을 연계하여 역량 강화를 통한 포용국가 기반 강화의 선순환 모델 제시 □ 연구배경 ○ 그 동안 한국의 국가성장 모델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과거의 성공모델이 향후에도 지속적인 타당성을 갖을 것인지에 대한 회의적인 관점들이 상존 □ 연구내용 및 절차 ○ 본 연구는 ① 이론 - ② 문제 - ③ 진단의 상호 연계된 요소를 중심으로 연구함 - 보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내용을 다루었음 · ① [이론] ‘포용성’(inclusiveness)의 이론적 개념화 및 분석틀을 제안하는 ‘모델구축’ · ② [문제] ⓐ 정치·행정, ⓑ 경제·산업, ⓒ 사회·복지 영역 별로 배제되고 있는 대상을 식별하고 그러한 배제의 발생 및 고착화의 내용과 원인 등을 이슈로서 탐색 · ③ [대안] 이슈로서 식별된 ‘비포용성 및 배제의 고착화’ 문제에 대한 정책대안을 모색 · ④ [종합] 도출된 제도 개선안을 바탕으로 국가의 포용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어떠한 제도적 설계를 가져가야 할 것인지에 대한 종합적 대안제시 및 포용국가의 역량 개념화 ○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음 - 본 연구가 제시하는 상호연계된 요소의 논리적 구조에 따라 연구를 수행함 · ① [이론] ‘포용성’(inclusiveness)의 이론적 개념화 및 분석틀을 제시하기 위하여 문헌 검토, 브레인스토밍, 전문가 자문, 탐색적 델파이를 수행, 이론의 통합적 구성을 위한 간주관적 절차를 거침 · ② [문제] ⓐ 정치·행정, ⓑ 경제·산업, ⓒ 사회·복지 영역 별로 ‘비포용성 및 배제의 고착화’가 갖는 이슈의 탐색을 위하여 정부 문서분석, 연구진 워크숍, 전문가 집담회, AHP 분석 실시 · ③ [대안] 이슈 분석 및 제도 설계를 통한 대안 제시를 위해 원외 집필위원 선정, 집필진 워크샵 및 브레인스토밍 수행 · ④ [종합] 이슈로서 식별된 ‘비포용성 및 배제의 고착화’ 문제해결을 위한 포용적 정책대안과 역량 개념의 연계를 위하여 전문가 자문 및 브레인스토밍 병행 2. 개념적 체계화: 포용성 개념 및 대안적 국가모델 □ ‘포용성’(inclusion)의 개념 ○ 본 연구는 ‘포용성(inclusion)‘의 개념을 경제적 효용 관점, 정치적 정의 관점, 사회·문화적 다양성의 관점에서 유형화 하고 이를 포용의 효용성-당위성의 틀에서 고찰하였음 - ① ‘경제적 효용’ 관점 · 한 국가의 포용적 제도와 구조가 실질적인 경제적 성장이나 번영으로 이어진다”는 ‘포용-경쟁력 가설’ (inclusion-competency hypothesis)에 기반하여 포용의 경제적 효용을 강조 - ② ‘정치적 정의’ 관점 · “공적의사결정의 참여기회가 공적의사결정의 품질 제고 뿐 아니라, 민주주의의 실질적 제도의 공고화(deepening)로 이어진다”는 소위 ‘포용-민주주의 공고화 가설’에 기반 - ③ ‘사회·문화적 다양성’ 관점 · 개인에게 부여된 천부의 인권과 개인들이 각자 고유하게 견지하고 있는 사회적 가치(social values)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것을 당위로 여기는 관점 ○ 본 연구는 한국의 맥락에서 포용성 문제를 발전주의·포스트발전주의 국가모델에 따른 정책 각 분야에서의 비포용성과 배제의 고착화 문제로 보았음 - 각 영역별 발전주의 패러다임의 유산에 따른 현상적 문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포용적 제도 구축의 방향성을 도식화하면 아래 그림과 같음 □ 대안적 포용국가 모델의 제시 ○ 대안적 포용국가 모델 및 구성요소 간 상호관계 체계도 -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대안적 국가모델로서 포용국가를 기반-제도-역량으로 구성하고, 이들 요소간 선순환적 연계에 의해 포용국가가 성장하는 것으로 개념화하였음 □ 정책분야별 이슈 도출 안 ○ 본 연구가 도출한 비포용성 및 배제의 고착화 이슈로서 각 영역 및 중첩 영역에서 발생하는 이슈는 다음과 같음 3. 포용국가의 이슈와 모델 □ 포용국가의 분야별 이슈 도출 방법 및 개요 ○ [1단계] 연구진 브레인 스토밍을 통한 포용국가 정책 이슈에 영역별로 접근할 필요성 발굴에 따라 정치·행정, 경제·산업, 사회·복지 영역을 구분함. 각 분야별로 중요 이슈들을 1차적으로 제안함. ○ [2단계] 포용국가 관련 연구 수행자, 실무가, 시민운동가 등 총 17인이 참여하는 전문가 집담회(총 5회)를 분야별 FGI 형태로 진행, 연구진 발굴 이슈 개선 작업을 진행함. ○ [3단계] 정부 44개 부처 주요업무계획 내용을 전수 조사 검토를 수행, 현 정부의 포용국가 정책의제 분석. ○ [4단계] 연구진 워크샵을 개최하여 영역별 이슈 선정 및 확정 ○ [5단계] 융합영역에서 도출된 이슈에 대한 전문가 AHP분석 수행, 중요도 고려하여 최종 이슈를 16개로 선정. 8. 포용국가의 역량 제고를 위한 정책제언 □ 포용국가의 역량과 그 성격 ○ 배제되었던 사회 구성원들을 포용 대상으로 식별하고 이들을 포용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의 성격을 대응성(responsiveness), 다양성(diversity),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의 세 가지로 도출함. ○ 대응성, 다양성,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포용국가의 역량으로 의사결정역량(decision-making competency/capacity), 혁신역량(innovative capacity), 회복탄력역량(resilience)을 제시함. □ 포용국가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의 중요성 ○ 상기한 포용국가의 세 가지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이 어떤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인지에 대해 관련 이슈를 검토한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역량 특성에 따른 교육 수단을 제시함. □ 포용국가 역량의 구분 ○ 포용국가의 역량 제고를 위해 영역별로 그 성격에 따라 각각 강화되어야 하는 역량을 식별하고 정책 수단을 제안함. The primary purpose of the current research project is four-fold as described below: First, exploring a theoretical model and the practical applicability of an “inclusive nation” with the aim of creating an empirically supported action plan to mitigate chronic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exclusion. Second, diagnosing the current state and developing a set of strategies to enable public policies to more effectively enhance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inclusion. Third, suggesting ways to achieve big improvements in government functionality in response to the challenges presented by chronic problems of exclusion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economic polarization, political non-representation, and social instability. Fourth, examining the future roles of government institutions as well as new strategies and actions of public policies. We are especially interested in the so-called “blind-spot-issues” which transcend the boundaries of the ministries. The current research project was motived by the following: First, South Korea needs to be seeking a new paradigm with regards to the role of the government. It needs to break from the chase-and-imitate industrial model that will likely not continue to be as successful as it was in the past. This idea comes out of the recognition that the successful model of the past would exacerbate inequality and thereby undermine growth engines such as innovation stemming from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diversity. Second, we expect the nation to face a crisis if it fails to solve fundamental and chronic problems like exclusion, polarization, and alienation because these problems will weaken the cohesion of the people, stifle creative motivations, and intensify dissatisfaction regarding unfair resource allocation. The researchers built a model of an inclusive nation based on the three-pronged-theoretical perspectives. First, for the economic dimension of the inclusive nation, the researchers used the inclusion-competency hypothesis. It posits that the inclusive market system and structure of the state substantiate economic growth or prosperity as can be seen in the case of Switzerland, Rome, and the United States. Second, regarding the political dimension of the inclusive nation, the researchers utilized the deepening democracy perspective. It argues that citizen engagement of high quality increases the quality of public decision making because citizens, as a whole, tend to have collective intelligence and innovative ideaswhich ordinary bureaucrats do not normally possess. Third, regarding the social dimensions of the inclusive nation, the researchers utilized the socio-cultural diversity perspective. This perspective takes a position respecting the value of the innate human rights which people possess. This allows each member of society to preserve their unique social identity and their own values, with regards to religion, culture, belief, gender, etc. Based on the theoretical perspectives regarding these three dimensions of the inclusive nation (economic, political, and social), the researchers declared the concept of the “inclusive nation” to be as follows and, thereby, suggested concrete policy alternatives. First, an inclusive nation is one that has a deep understanding and respect for the diversity among its members. It further seeks ways in which to expand citizen participation and involvement in public decisions, and to create rules and procedures that better provide more equal opportunities in order to fairly (re)distribute national resources and promote equal outcomes. Second, we believe that if such inclusive institutions are put in place, it will not only improve the distributional structure of national resources but also lead eventually to sustainable growth of the state. Sustainable growth in this case is not limited to merely economic growth, it goes beyond that innovating at the level of the state as a holistic system. Third, in order to build a nation-wide inclusive system, the researchers insist that the role of government as a fair designer as well as facilitator of inclusive institutions, which the private sector cannot voluntarily or effectively do. Fourth, there is a caveat here. We are not using the notion of “inclusion” from a beneficiary standpoint. For us, inclusion is a strategic choice for innovation at a systemic level across the state, as evidenced by the theoretical perspectives discussed above. Fifth, we hypothesized that inclusive institutions will lead to the growth of capacity across the country. This, in turn, will lead to enhanced national fundamentals. In other words we propose a positive feedback loop model of an inclusive nation that is made up by fundamentals, institutions, and capacities. Based on these theoretical rationales, we examined the converging issues of economy-industry, politics-administration, and society-welfare, and suggested some concrete policy alternatives and strategies. Particularly we chose 16 areas of policy priorities that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pursue in order to build a nation-wide inclusive system based on Delphi surveys and area-specialists workshops: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the representativeness of labor, better regulations for upcoming technological changes, unequal business governance between conglomerates and small-medium sized companies, labor insurance, national pensions, public support for job-seekers and startups, unequal social outcomes of immigrants, minority political parties, decentralization and citizen autonomy, regulations on political participation (parties, elections etc.), unequal educational outcomes, civic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and innovation in public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KCI등재

        COVID-19 시대 남녀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감내력 부족과 정신건강: 규칙적 생활양식의 조절효과

        송경희(Keng-hie Song),이종표(Jong-pyo Lee),차세영(Se-young Cha),노명은(Myeong-eun Noh) 한국발달지원학회 2021 발달지원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COVID-19 장기화로 대학생의 정신건강(우울 및 정신적 웰빙)을 악화시킬 수 있는 불확실성에 대한 감내력 부족의 효과를 확인하고, 이 관계에서 규칙적 생활양식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남녀 대학생(만18-25세) 318명이 온라인 자기보고식 설문에 참여하였다. 지각된 코로나 스트레스를 통제변인으로 하여 위계적 회귀 모델로 분석한 결과, 불확실성에 대한 감내력 부족은 남녀의 우울을 정적으로 예측하였고, 여성의 정신적 웰빙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규칙적 생활양식은 남녀의 우울을 부적으로, 정신적 웰빙은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다음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감내력 부족과 규칙적 생활양식의 상호작용항은, 종속변인이 우울인 경우, 남녀 모두 유의했지만, 정신적 웰빙이 종속변인일 경우 남녀 모두에게서 유의하지 않았다. 조절효과의 구체적 양상을 확인한 결과, 규칙적 생활양식이 낮아질수록, 불확실성에 대한 감내력 부족과 우울의 관계는 더욱 강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COVID-19 시대 남녀 대학생의 정신건강을 위해 불확실성에 대한 감내력 증진과 규칙적 생활의 중요성을 강조해 주며, 나아가 성별에 따른 차별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daily routines in the relation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mental health (depressive symptoms and mental well-being) among college students during COVID-19. Self-reported data from 318 college students (18-25 years old) were analyzed, using the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 After controlling perceived COVID-19 stress, intolerance of uncertainty not only positively predicted depressive symptoms for both gender but also negatively predicted the mental well-being of females. Regardless of gender, daily routines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however, it predicted mental well-being positively. The moderating effects of daily routines in the relation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depressive symptoms were significant. Specifically, when college students reported lower daily routines, the relation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depressive symptoms was strengthened regardless of gender.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 of daily routines was not significant for mental well-being. These result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ecreasing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increasing daily routines to promote mental health among college stud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lso,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necessity of gender-specific intervention strategies to improve college students’ mental heal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