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기림 비평에 나타난 해방 전후의 연속성과 탈근대적 사유 방식

        차성연(Cha, Seong-Yeon) 우리문학회 2017 우리文學硏究 Vol.0 No.55

        이 글은 해방을 전후로 하여 김기림 비평에 나타나는 변화를 연속성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어떠한 이론을 전개하든 통시적 공시적 흐름 속에서 오늘의 현실이 지닌 위치를 놓치지 않으려 했고, 그 속에서 변화의 방향성을 읽어내려 했던 김기림이었기에 ‘선’과 ‘점’, 이동, 역학 등으로 표현되는 좌표계적 사유 방식이 지속적으로 이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교차점을 통한 수렴과 발산은 시의 양식, 시대정신, 현실, 시의 경험, 시의 효과 등 중요한 개념을 설명할 때마다 등장했다. 이는 김기림의 비평에서 과거(전통)의 수용과 미래적 지향, 이질성의 혼종과 통합적 균형, 주관과 객관이 공존할 수 있는 독특한 지점을 잘 보여준다. 김기림의 비평적 개념들은 고착화되어 있지 않고 늘 이동해가는 것이었기에 그 이동의 방향성을 설명할 수 있는 자리에 ‘움직이는 주관’이나 ‘지성’, ‘과학’과 같은 개념들이 놓였다. 이처럼 김기림의 비평적 사유에서 ‘선’과 ‘점’이 자주 등장하는 것은 어떤 영역이든 독자적인 발전(진보)의 경로(선)를 가지고 있지만 끊임없이 다른 영역과 교섭하고 교차할 수밖에 없다는 인식 때문이다. 또한 교차점이 의미하는 것은 흡수나 통합이 아니라 상호작용을 통한 수렴과 발산이다. 이러한 ‘선’과 ‘점’이 전체 평면에서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가, 어디로 이동하고 있는가가 비평적 사유의 근본적 질문에 해당하기 때문에 김기림의 사유를 좌표계적이라 말할 수 있다고 본다. 김기림 비평의 연속성은 기교주의 논쟁이나 해방기의 활동을 거치면서도 지속적으로 이어진 좌표계적 사유의 방식, 문학적 태도에서 찾을 수 있었다. 이는 하나의 원리를 확장시키는 방식이 아니라, 이동함으로써 만들어지는 수행적 변화, 개념적 변주와 같은 탈근대적 방식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김기림 식으로 말하자면, 단선적인 발전형태가 근대적인 것이고, 다자의 선들이 같은 방향으로 가지만 통합되지는 않는 상태를 탈근대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김기림에게서 ‘움직이는 주관’, ‘지성’, ‘과학’개념은 시의 여러 요소들을 일정한 방향으로 이끄는 힘에 해당하는 개념인데, 일정한 방향으로 이끈다고 해서 여러 요소들을 통합하거나 통제하는 힘을 발휘하지는 않는다.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다보니 그 이동의 효과로(수행적 효과)‘움직이는 주관’에서 ‘지성’으로 다시 ‘과학’으로 개념적 변주가 일어나게 되며 이것이 김기림 비평의 (비)연속적인 도정인 것이다. 자기 확장이 아니라 자기 변화에 해당하는 이러한 방식이 단절, 혹은 변화를 내포한 연속성 개념이 될 것이다. This article aimed to analyze the changes represented in Kim Girim’s criticisms before and after the Korean Liberation Day from the standpoint of continuity. Irrespective of the underlying theory, Kim Girim tried not to overlook the situation in which today’s reality resides but to read the directivity of changes therein so that it could be confirmed that coordinated thought mode, expressed as line, knife, movement, and dynamics amongst others, has been continuously connected. In particular, the concepts of convergence and release through crossing appeared whenever important concepts including forms of poems, spirits of the times, reality, experience of poems, and effects of poems amongst others are explained. The reason behind the frequent appearance of line and point per se is that recognition exists to the extent that though all areas have an independent route (line) for development (progress), each of them is forced to negotiate and intersect with other areas. The meaning of crossing is not integration or absorption but convergence and release through interaction. Therefore, where such line and point are located and to where they are moving constitute the essential questions about critical thoughts; as a result; Kim Girim’s thought can be construed as coordinated thought. The continuity of Kim Girim’s criticisms can be found to coordinate thought, mode, and literary attitudes that have been continuously connected even through technical discussions or activitie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This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not a method of expanding one principle but instead, a post-modernism method such as performative changes and conceptual variation.

      • KCI등재

        1930년대 농촌계몽소설에 나타난 농촌의 의미

        차성연(Cha, Seong-Yeon) 한국문학회 2011 韓國文學論叢 Vol.57 No.-

        이 논문의 목적은 이광수의 장편소설 『흙』을 통해 1930년대 ‘농촌’이라는 공간의 의미를 탐구하는 데 있다. 개화기 이후 시작된 도시 중심의 서구적 근대 문물 유입으로 인해 1930년대의 농촌은 전근대적 가치와 관습이 잔존하는 공간이면서 동시에 도시 중심으로 이루어진 근대화의 모순이 방출․집결되는 장소가 되었다. 이러한 현실은 소설에도 그대로 재현되어 1930년대 장편소설에서 도시/농촌의 대립구도는 흔히 찾아볼 수 있는 정형화된 패턴으로 나타난다. 『흙』을 비롯한 농촌계몽소설은 이러한 대립구도를 도시 여성과 농촌 여성과의 연애서사로 재현하며 이는농촌을 ‘고향-어머니’와 같은 심상공간으로 자리하게 한다. 어떠한 공간이든 동일한 성격으로 설명되지 않는 것처럼 1930년대의 농촌 또한 서구적인 것과 조선적인 것, 전근대적인 것과 근대적인 것이 서로 길항하며 혼종되어 있는 공간이다. 이전 시대의 전근대적 관습이 그대로 남아있는가 하면 급속한 근대화의 모순이 방출되는 공간으로서 작품 『흙』에서는 이것이 전근대적 관습과 근대적 입법체계와의 대립으 로 나타났다. 1930년대의 농촌계몽소설은 농촌의 이러한 모순적이고 이질적인 성격 속에서 민족적 특수성을 발견하고자 하며 ‘도시-학생’과 ‘농촌-농민’이라는 두 주체를 재구성하고 있다. This paper was intended to examine the meaning of ‘a farm village’ in 1930s through Lee Gwang-soo's full-length novel 『Earth』. Owing to city-centered introduction of Western modern civilization which started after the Time of Enlightenment, the farm villages of Korea in 1930s have become a place where a premodern value and custom remain and simultaneously contradictions of modernization formed centering around a city appear. Such a reality re-appeared in novels and was represented in novels in 1930s in a standardized pattern in which the opposing structure between a city and a farm village could frequently be showed. In the midst of such phenomena, the farmers-illuminating novels such as 『Earth』 or 『Ever green tree』 represent the process in which‘city-student’ classes visited farm villages and give an education in characters and hygiene ideas in a setting of farmers-illuminating campaigns that carried out centering around Joseon-Donga Ilbo. A farm village was a materialistic foundation on which ‘city-student classes’ are able to enjoy modern civilization and grow the leadership class of society, so that they had a consciousness of owing a kind of debt to a farm village and show a psychological mechanism for paying such a consciousness of debt through a farmers-illuminating campaign. Also, when analyzed centering around 『Earth』, it can be said that the farm villages in 1930s was a place where premodern habits and a modern legislation system were opposed and was ‘an internal colony’ where the difference in the inside of Joseon was clearly revealed and, simultaneously, was a place where a transcendent value was projected and demonstrated to imaginatively remove the difference.

      • KCI등재

        이주문학에 나타난 타자 재현의 문제 -<소금>과 <붉은 산>의 "재만 조선인" 재현을 중심으로-

        차성연 ( Seong Yeon Cha ) 한민족문화학회 2011 한민족문화연구 Vol.38 No.-

        이 논문은 만주를 배경으로 창작된 작품과 재만조선인(在滿朝鮮人) 문학 작품을 비교함으로써 이주 문학의 성격을 드러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주문학에 나타나는 ``타자의 재현`` 문제를 제기하면서 그 분석의 사례로서 1930년대 재만조선인 재현 문제를 살펴보고자 했다. 강경애의 <소금>은, 김동인의 <붉은 산>의 경우처럼 만주에서 조선인 공동체를 형성, 정주(定住)를 지향하는 소작인의 삶과는 또 다른, 가진 것이라곤 아무 것도 없는 서발턴 여성의 삶을 통해 ``호모 사케르``의 형상을 한 이주 조선인의 위치를 정확하게 지시하고 있다. 이는 이주자-외부의 시선에 의한 재현과 이주자-내부의 시선에 의한 재현의 차이를 보여준다. 이주자-외부의 시선에 의해 재현된 재만 조선인은 ``조선인``이라는 민족적 지표를 확연히 드러내는, 공간적 배경만 만주일 뿐인 동일적 공동체였다. 물론 ``삵``이라는 인물의 형상이 경계적인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지만 그의 자발적 희생제의로써 그러한 의미는 삭제되고 만다. 이에 비해 이주자-내부의 시선에 의해 재현된 재만조선인은 어떠한 공동체에도 포함되지 못 하는 ``벌거벗은 생명``에 가까웠다. 이러한 1930년대 재만조선인의 재현문제는 최근의 이주문학에도 적용될 수 있다. This paper intended to look into the problems of representation of Joseon people in Manju in 1930`s as a case of the analysis, proposing a problem of ``Representation of the other``. <Salt> of Gang gyeongae exactly indicates the situation of the immigrant Joseon people who have the shape of ``Homo Sacer`` through ``subaltern`` females having nothing, different from the life of tenant farmers who have formed Joseon people`s community in Manju and aimed for steady settlement, as the same as <Red Mountain> written by Kim Dongin. This show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presentation by immigrant-outside eyes and that by immigrant-inside eyes. The Joseon people that represented by immigrant-outside eyes were the same community clearly representing racial indexes named ``Joseon people`` and whose spatial background was only nominally in Manju. Of course, the shape of the figure named ``Sak`` includes the meaning of boundary, but such a meaning is deleted through his voluntary sacrificial proposal. To the contrary to this, the Joseon people in Mangu that represented by immigrant-inside eyes were close to ``Bare life`` that can`t be included to any community. Such a representation problem of Joseon peopl in 1930`s is able to apply to the representation problem of the Joseon race now living in China.

      • KCI등재

        만주 공간을 바라보는 남성적 시선과 여성 인물의 재현

        차성연(Cha seong yeon) 동남어문학회 2016 동남어문논집 Vol.1 No.41

        본고는 ‘일제말기 한국문학과 만주’ 관련 연구 분야에 ‘페미니즘 지리학’ 방법론을 도입함으로써, 만주 배경 소설에 나타난 남성적 시선에 문제를 제기하고자 한다. 이효석의 『벽공무한』이나 한설야의 『대륙』과 같은 작품에서 만주 공간은 정복하고 소유할 수 있는 개척지로서 인물의 모든 욕망을 판타지적으로 충족시키는 서사 전개의 무대이다. 식민지를 바라보는 시선은 제국주의적인 동시에, 남성이 여성을 바라보는 시선을 그대로 닮아있다. 만주 공간은 현실 공간인 조선과 분리된 채 남성적 야망을 충족할 수 있는 닫힌 공간으로 재현되었다. 이러한 닫힌 공간에 틈을 낼 수 있는 가능성은 인물들의 위치나 태도, 만주 공간의 내/외부를 가로지르는 어떤 장소 등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사랑의 수족관』의 여성 인물 ‘강현순’의 역설적 위치에서 그 가능성을 찾아보았다. 중심 공간인 경성에 속해있지만 그 중심의 힘인 자본(혹은 권력)을 소유하거나 지향하지 않고 자신만의 삶의 태도로서 중심에 속한 인물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벽공무한』의 여성 인물 ‘나아자’는 남성의 이상향을 그대로 체현한 인물인 반면, 『대륙』의 ‘마려’는 주체적 의지와 판단에 의해 행동하는 인물이다. 하지만 그러한 자발적 협력은 일본의 제국주의적 힘이나 자본의 영향력을 가리는 은폐막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대륙』에 그려진 만주 공간의 가능성은 여성 인물이 남성적 시선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것처럼 자본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는 전제 위에서 펼쳐지는 (불)가능성일 수밖에 없다. 이렇게 보면 만주 공간을 바라보는 남성적 시선과 여성 인물의 재현은 일정한 연관성 하에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aimed to question masculine viewpoint observed in the novels with Manju as setting by introducing applying the methodology of ‘feminism geography’ to research areas related to 'Korean literature and Manju at the end of Japanese colonization era of Korea'. As seen in Lee Hyo-seok's novel 'Byeokgongmuhan' or Han Sul-ya's novel 'Continent', Manju is the space where narration is unfolded satisfying all sorts of human desires in a fantastic manner, as a conquerable and possessable land. The perspective on the colony is imperialistic and similar to that on which men have women. In the novels, Manju was represented as a closed space away from the reality - Chosun - and satisfying manly desires. The potential to crack such close space can be found in character's situation and attitude and some locations cutting across Manju.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find the potential in the situations in which 'Kang Hyun-soon', who is a female character in the novel 'Aquarium of Love'. Although placed in Gyeongseong (Seoul), which is a central space of the storylines, she influenced over other characters in the center with her own attitude to her life, without possessing or pursuing capital (or authority), which is the main force of the center. While 'Naaja' the female character of 'Byeokgongmuhan' materializes male masculine utopia as it is, 'Marye' in 'Continent' is a female character that acts on her subjective will and judgement. However, such voluntary cooperation can be a bank to protect and conceal the power of Japanese imperialism or the influence of capitalism. Therefore, the potential rendered onto the space of Manju in 'Continent' cannot be possible because the novels were written under the premise that take Manju can't be free from the power of capital just as the female character is not free from the perspective of male characters. Judging from this aspect, male viewpoint and the representation of female characters are connected in the same context.

      • KCI등재

        분단문학(分斷文學)의 주체(主體) 구성(構成) 서사(敍事)-남성(男性)/여성(女性) 화자의 성장소설(成長小說) 비교(比較) 분석(分析)을 중심으로-

        차성연 ( Cha Seong-yeo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7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5 No.4

        우리 문학에 나타난 近代的 主體 形成過程은 戰爭 및 分斷體驗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本稿는 分斷文學의 한 部類를 이루는 成長小說 형식이 새로운 주체를 구성하고자 하는 近代的 企劃의 所産이라 보고 男性/女性 話者의 성장소설을 분석하였다. 남성화자의 성장소설이 아버지를 否定하고 스스로를 歷史的 主體로 세워가는 과정으로 나타난다면, 여성화자의 성장소설은 傳統的 家父長制의 흔들림 속에서 근대적 섹슈얼리티의 경험, 性的 主體로서의 自己 定立, 어머니와의 관계를 통한 自我 正體性 찾기로 그려졌다. 裸木을 중심으로 살펴본 여성의 성장소설은 否定하지 못한 어머니가 자기 존재의 基盤이 되듯, 전쟁체험의 記憶과 異質的인 감정들을 끌어안음으로써 非同一的인 主體가 되어가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근대의 同一化 논리에서 비껴선 여성의 주체 구성 서사는 男性中心的 再現體系를 흔들고 근대적 體制에 틈을 낼 수 있는 可能性을 보여준다. The process of modern subjectivity described in Korean literature is closely related with war and country division experience. This thesis compares and analyzes male/female formation novel based on assump- tion that a format of coming of age story, one category of the divided country literature, is a product of modern age atmosphere where new subjectivity established. The male formation novel depicts the process of denying a 'father' and developing himself to be the one creating history, while female formation novel describes female protagonist undergoing modern age sexuality when traditional patriarchy is challenged, establishing herself to have sexual identity and finding self-identity through relationship with a mother. The study on NaMok(Bare Tree) reveals that female formation novel describes the process where heroin gradually has non-self-identical subject by embracing a memory of war experience and heterogeneous emotions, as a mother who can't be denied is a very basis for self-existence. The narrative of female subjectivity, which is away from identification philosophy of modern time, challenges male- centered representation system and shows possibility of change in modern system.

      • KCI등재후보

        일반논문 : 1940년대의 수행적 국가 구상의 양상 연구- 「노마만리」와「항전별곡」에 나타난 공간과 "공동체" 표상을 중심으로-

        차성연 ( Seong Yeon Cha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인문학연구 Vol.0 No.25

        1940년대 문학사는 1945년 해방을 기점으로 단절적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 연구는 1940년대 전반기와 후반기의 문학이 국가 구상의 관점에서 연속성을 지니고 있다는 가설 하에 우선 김사량의 「노마만리」와 김학철의 「항전별곡」에 나타난 공간과 ‘공동체’ 표상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 작품들에는 한반도 내부에서 발현될 수 없었던 탈식민적 주체의 국가에 대한 열망이 경험적 사실의 기록으로 표현되어 있다. 이들 작품의 배경이 되는 ‘연안’은 1940년대 전반기 항일의 상징적 장소였고 일제가 아닌 ‘다른 국가’를 상상했던 장소라는 점에서 특수한 시공간이 아니라 연속성의 시공간으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본다. 또 그곳에서 국제주의적 연대를 지향하며 생활공동체를 형성했던 ‘열린 공동체’의 경험이 작품의 중심을 이룬다. 이러한 작품들에 나타난 공간과 공동체 표상은 1920년대의 계급주의문학 계열이 추구했던 사회주의적 이념 공동체의 상이나 민족주의 문학 그룹이 상상했던 전통적 공동체의 상에 제한되어 있지 않으면서, 길 위에서 수행적으로 구성되는 구체적 체험의 기록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To imagine a state in Joseon under colonial situation, through it is difficult to escape from the Greater East-Asia Co-prosperity Sphere which the imperial Japan planned at that time, provided an opportunity to get to realize concrete elements included in concept of a state, that is, to think of an idea of political clusters, military organizations and sovereign territory by paradoxically having the people realize the territory and boundary named the Korean Peninsula. Accordingly, the imagination of the de-colonial subject can escape from geographical boundary named the Korean Peninsula, experiencing the devising of various states. This paper, to examine aspects of such planning of a state, first of all noted Kim Ssryang`s 「Nomamanni」and Kim Hakcheol`s 「Hanjeonbyeolgok」. Because these works include a space where the desire of de-colonial subjects that imagine sovereign territory escaping from a space without sovereignty appeared and performative community reappearance as a process aiming for a state. The writer Kim Saryang who realized ``difference`` as Joseon people in Tokyo escaped to coast immediately before the Liberation of Korea, and joined Joseon volunteer army. And Kim Hakcheol, who moved from Hamheung to Seoul and again to Peking for independence movement fought in Taehyangsan(mountain) as the last squad commander of Joseom volunteer army, and their experiences reappeared together with spatial movement. The reason that their experiences were written in pieces of work and have been the subject of study up to now was because that they are not limited to individual and special experiences but because that they are linked to the desire to escape from colonization and to plan a national state at the end of Japanese occupation. Epics and actual materials which reappeared such aspects were deleted and forgotten in the process of founding a state after the Korean Liberation, which is expressed as contraction of space epics of liberation space. This paper, considering that the space and community presentment indicated on these pieces of work can become space and time capable of explaining continuity of literature in 1940`s, looked into aspects of reappearing dynamic and performative community which is ideology community but not fixed and open.

      • KCI등재

        다문화텍스트의 교양교육에의 활용방안

        차성연(Cha, Seong-yeon),윤송아(Yoon, Song-ah) 한국문학회 2015 韓國文學論叢 Vol.70 No.-

        본고는 지금까지의 다문화 교육이 타자에 대한 위계화된 시선을 내면화하고 있음을 지적하면서 이러한 인식의 문제가 다문화 교육 분야에서 좀 더 조심스럽게 다루어져야할 필요가 있음을 제기하고자 한다. 다문화 교육이 궁극적으로 다양한 타자가 서로를 이해 존중하며 모두가 동등한 시민의 자격으로 함께 더불어 살아갈 공동체를 형성해나가는 데 목적이 있다고 한다면, 암암리에 자신을 주류로 인식하면서 타자를 하위계층으로 대상화하는 시선을 내면화한 여러 교육 프로그램 및 정책에 대한 비판은 반드시 제기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대학의 교양교육에서 이 문제가 깊이 있게 다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대학 교양교육의 방향에 대해 고심어린 논의가 오고 가는 시점에서 그 방향을 모색하는 한 방법이기도 하다는 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본고는 다양한 다문화텍스트를 활용하여 교양교육의 지향점을 실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교양교육으로서의 다문화교육은 ‘다양성’에 대한 수용에 그쳐서는 안 되고 타자에 대한 윤리교육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먼저 ‘타자에 대한 자기 감정의 확인 및 성찰’을 진행하고, ‘연민’이나 ‘혐오’와 같은 개인 감정이 사회적 차원에서 어떻게 정치적 의미를 획득하게 되는지를 분석하는 활동들을 진행하도록 하였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서사 텍스트를 활용하여 타자에 대해 ‘상상’적으로 공감하면서 동등한 ‘세계시민’으로서의 윤리를 함양할 수 있는 데에 까지 나아갈 수 있도록 시도해보았다. 이 과정들은 단계적 순서에 의해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나 , , 등 다양한 교양교육 과정에 유동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고에서 제시한 활용 방안은 개인 감정의 사회적 의미, 감정의 정치학 및 실천의 영역을 포괄하고 있다는 점에서 인지, 정의, 행위의 측면을 아우르는 융합적 교양교육의 모델이 될 수 있으며, 세계시민으로서의 윤리적 태도에 대한 교육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다문화교육 및 교양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좋은 사례가 될 수 있다고 본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point out tha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up to now has internalized the hierarchical recognition of others and to propose the need that such a problem of recognition should be more cautiously dealt with in multi-cultural education. Supposing that the purpose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s to form a community where lots of different people ultimately understand and respect each other and all of us live together, it is essential to raise criticism on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nd policies which internalized the trend of regarding others as a lower class, secretly recognizing self as the majority. Especially, this paper aims to point out that this problem not only needs to be dealt with in details in General education in a university, but also becomes a method for searching a direction at the point of time of being under in-depth discussion about the direction of General education. Accordingly, this paper looked into a method able to put the intention point of General education into practice by utilizing a variety of multi-cultural text. This paper, first of all, dealt with‘confirmation and reflection of self emotion to others’ in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as General education should not accept only‘diversity’, but become ethical education for others, and did activities of analyzing how individual emotion such as ‘sympathy’ or ‘hatred’ gets to obtain a political meaning from social standpoints. In addition to that, this paper made attempt so that we, sympathizing with others through imagination with regard to others utilizing narrative text, can go forward to the extent to which we can build up ethics as equal‘global citizen’. These processes do not proceed by order by stages but can be fluidly utilized in various courses of General education including or , , , etc. The use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can become a model amalgamative General education covering aspects of recognition, justice and acts in that it includes social meanings of individual emotion and politics and practice of emotion, and also can become a good example of proposing the directivity of multi-cultural and General education in that it amis for an education toward an ethical attitude as global citizen.

      • KCI등재

        현경준의 <유맹> 연구

        차성연(Cha, Seong-Yeon) 한국문학회 2009 韓國文學論叢 Vol.53 No.-

        본고는 현경준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유맹>을, 이를 개작한 <마음의 금선> 및 ≪도라오는 인생≫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국책문학으로도 저항문학으로도 평가받을 수 있었던 <유맹>의 다의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현경준의 <유맹>은 만주국 수립으로 인한 정책의 변화 및 중독자 갱생을 통한 국민 만들기를 보여주는데 초점이 맞춰져있기보다는 1930년대의 전망 상실과 주체 몰락의 내면 풍경을 보여주는데 더 주력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과거의 꿈을 회상함으로써 소멸의 길을 걸을 것인가, 아니면 거기서 빠져나와 생성에의 길로 나설 것인가 하는 양가적 욕망의 갈등을 대화적 형식으로 전개하고 있는 소설이 바로 <유맹>이다. This paper aims to disclose equivocality of <YuMaeng>, which was able to be evaluated as literature for publicizing the national policy and resistance literature, by comparing <YuMaeng>, which can be said to be a Hyeon Gyeong-jun's typical piece of work, with its adapted pieces of work <Mental String> and ≪Returning life≫ and by analyzing those pieces of work. It can be said that Hyeon Gyeong-jun's <YuMaeng> focuses on showing internal shapes in relation of a lost prospect and the ruined subject in 1930s rather than on educating the nation through changes of the policy and revival of addicts owing to foundation of the state of Manju. <YuMaeng> is the very novel that represents, in a conversational type, discord of a selective desire, that is, as to whether to go toward the road to collapse or, after escaping from there, the road to revival.

      • KCI등재

        만주 이주민 소설의 주권 지향성 연구 -안수길과 이기영의 소설을 중심으로-

        차성연 ( Cha Seong-yeo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09 국제어문 Vol.47 No.-

        만주 이주민 소설은 이주민의 민족적 저항을 보여주는 민족주의적 서사로 읽히거나 유사제국주의적 시선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받아왔다. 본고는 이러한 기존의 연구들이 작품의 주체가 되는 이주민의 정체성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고 보고, 이민족과 타협하며 어떻게든 정착해 살아야 했던 이주민의 주권지향성을 중심으로 만주 이주민 소설의 문학사적 의미를 재평가하고자 하였다. 안수길의 「벼」와 『북향보』에 나타난 수전개간의 공로는 농경 기술의 선진성을 기반으로 타지에 정착할 수 있는 명분이 되어주었다. 이를 통해 조선인은 이민족의 승인을 얻을 수 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만주 정세의 변화에 따라 살던 곳을 떠나야 하는 유동적인 위치에 있었다. 따라서 그들이 만주에 정착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보다 `주권`이었다. 안수길의 『북향보』와 이기영의 『대지의 아들』은 만주 이주 조선인의 주권지향성을 이주민 공동체나 조선인 국가의 구상을 통해 재현하고 있다. 안수길 문학이 만주의 이주민에 대해 좀더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었기 때문에 『북향보』를 통해 이민족과 화합하는 협화적 주체의 이주민 공동체를 구상할 수 있었던 반면, 이기영의 『대지의 아들』은 집단적 노동과 그로 인한 생산의 기쁨에 초점을 맞추면서 이민족을 배제한 조선인만의 국가를 구상하게 된다.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안수길의 『북향보』와 이기영의 『대지의 아들』은 일본 이외의 다른 어떠한 국가도 상상할 수 없었던 시기에 조선인의 공동체 혹은 국가를 구상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 문학사적 의미를 찾을 수 있다. The novel by Manchu immigrants has been read as a nationalist narrative describing the nationalist resistance of immigrants or evaluated as a piece of work showing the sight of pseudo-imperialism. The thesis is to re-assess the meaning of Manchu immigrant novel in literature history based on sovereignty-oriented nature of immigrants who were required to compromise with other ethnic groups for settle-down given the assumption that previous studies didn`t understand the identity of immigrants which was the subject of novels. The merits of cultivating a rice paddy described in 「Rice」and 「Bukhyangbo」by Ahn, Su-Gil served as justification for settling down in an alien land with advanced agricultural skills. Chosun people in Manchu area could get approval from other ethnic group thanks to these skills, but they were still forced to leave where they lived based on Manchu situations. This explains why `sovereignty` was the thing they needed most in order to settle down in Manchu. 『Bukhyangbo』 by Ahn, Su-Gil and 『The son of the earth』by Lee, Gi-Young re-create the sovereignty-oriented nature of Manchu immigrants by conceiving the idea of immigrant community and country of Chosun people. The immigrant community, a subject in harmony with other ethnic groups, could be conceived in『Bukhyangbo』since the literature by Ahn, Su-Gil understood Manchu immigrants more cleary while『The son of the earth』by Lee, Gi-Young focused on collective labor and subsequent pleasure from production and visualized the country only for Chosun people excluding other ethnic groups. Despite this difference, I can see their meaning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because these two novels, 『Bukhyangbo』by Ahn, Su-Gil and『The son of the earth』by Lee, Gi-Young, conceived the idea of community or country of Chosun people when no other country than Japan could be imagined.

      • KCI등재

        자유주제 : 일제 말기 농촌/농민문학에 나타난 일본 농본주의의 영향과 전유 양상에 관한 연구

        차성연 ( Seong-yeon Cha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5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6

        이 논문은 일제 말기에 발표된 한글 작품의 상당수가 농촌/농민문학의 형식을 띠었다는 점에 주목, 이러한 작품들에 미친 일본 농본주의의영향과 전유 양상을 분석하였다. 농본주의라는 개념이 지나치게 느슨하고 광범위할 수 있으나 이 글에서는 국토의 대부분이었던 농촌이 해체되고 국민의 대다수였던 농민의 정체성이 위협받게 되는 근대화의 과정에서 어떤 정치적인 맥락에 의해 농본주의가 변용 발화되는 지점을 문제 삼으면서 국가주의적 정치성을 띠는 개념으로 사용하고자 한다. 특히 일본의 농본주의는 벼농사의 사제로 기능하는 천황제와 관련된, 일본인의 무의식에 깊이 관여하고 있는 대표적 우익사상 중 하나이다. 이러한 농본주의 사상은 식민지 시기 지속적이고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쳤으나 직접적인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는 시기는 1930~40년대이다. 1930년대 농촌계몽소설은 농촌을 오염되지 않은 공간으로 표상하면서 그곳에서 잃어버린 민족성을 재발견한다. 1930년대 후반과 1940년대 전반기의 소설에서는 ‘계몽’의 서사보다 ‘갱생’의 서사가 지배적이다. 농촌계몽운동은 1930년대 후반까지 이어지지 못 했고 오히려 일제의 농촌진 흥운동의 영향이 더 짙어지면서 농민들 스스로의 ‘갱생’을 강조하게 된다. 이광수의『흙』과 같은 1930년대의 농촌/농민문학이 도시-지식인-학생층의 ‘계몽’ 활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이무영과 이근영 등의 일제말기 농촌/농민소설은 농민들 속의 윤리적 인간형이 귀감으로 제기되고 그러한 인물들을 통해 농촌의 정신적 ‘갱생’ 과정을 제시하고 있다. 안수길과 이기영의 작품들처럼 만주의 농촌을 배경으로 한 소설에는 농본주의의 영향이 더 뚜렷하고 자치조직으로서 갖추어야 할 행정적 경제적 문화적 영역에서의 구상이 세밀하게 제시되어 있다. 조선 내부에서 창작된 작품보다 신생국이자 미개지로서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던 만주에서 이상적 자치조직의 상을 구현할 수 있는 가능성이 더 컸기 때문일 것이다. 본고는 안수길의『북향보』나 이기영의『대지의 아들』과 같이 만주의 농촌을 배경으로 한 작품에서 이상적 농촌공동체에 대한구상이 더 뚜렷하게 나타난다는 점에서 조선의 농촌을 배경으로 한 작품과 차이가 있는 한편, 그러한 국가 지향이 제국 일본이 아니라 ‘다른’국가일 수 있음을 지적하고자 한다. 식민지 조선이 아니라 만주이기 때문에, 또한 탈식민적 욕망을 내재한 조선인 작가이기 때문에 안수길이나 이기영의 작품에서 ‘재발명’된 농본주의는 식민지 조선에서는 상상할 수 없었던 조선인만의 국가이거나 다민족적 국가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이 일본의 농본주의와도, 1930년대의 농촌계몽소설과도, 또 일제 말기의 조선 내부 농촌을 배경으로 한 작품들과도 다른 만주에서의 전유양상이라고 볼 수 있다. Paying attention to the point that most of Korean literary works published in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period showed the form of agricultural/farmer literature, this paper analyzed the effects and appropriation aspects of Japanese agriculture-first principle on those works. Though the concept named agriculture-first principles may be too loose and wide, in this paper, the concept is intended to be used as that containing nationalistic political nature discussing the place where agriculture-first principles are changed and start by some political contexts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in which agricultural villages which compose most of the national land are dissolved and the identity of farmers which compose most of the national people are threatened. Especially, Japanese agriculture-first principles are one of typical right-wing ideas involved in unconsciousness of the Japanese people and which are related to the Emperor system functioning as Priest in rice farming. Such an idea of agriculture-first principles had consistent and widespread effects in the era of Japanese imperialism, but the time when direct influence can be confirmed is 1930s~1940s. Rural enlightenment novels in 1930s represent farming villages as unpolluted space and rediscover there the lost racial nature. The novels in the late 1930s and the early 1940s present narration of ``rehabilitation`` more predominantly than that of ``enlightenment``. The rural enlightenment movement did not continue until the end of 1930s, and as the effects of rural area promotion movement become large, farmers voluntarily get to stress ``rehabilitation``. It can be said that while the rural villages/farmers literature in 1930s like 『The Earth』of Lee Gwangsu focus on ``Enlightenment`` activities for urban intellectuals and students, the rural villages/farmers novels like Lee Muyeong and Lee Geunyeong``s novels in the end of the Japanese imperialism propose ethical human types among farmers as examples, showing mental ``rehabilitation`` processes of rural area through such figures. The novels based on the farming villages in Manchuria An Sugil``s and Lee Giyeong``s works were clearly influenced by agriculture-first principles and propose in detail designs in administrative, economic and cultural areas that must be prepared as an autonomous organization. That is because that the image of an ideal autonomous organization can be more easily realized in Manchuria that seems to be newly generated and undeveloped country than the literary works created in Joseon. This paper intends to point out that the works based on farming villages in Manchuria such as An Sugil``s 『Bukhyangbo』or Lee Giyeong``s 『Son of the Earth』show differences from works based on farming villages in Joseon in that those in Manchuria present more clearly rehabilitation as ``people`` and nationalistic directivity, and such national directivity aims at Japanese imperialism but ``other`` nation. It means that because the area is not colonial Joseon but Manchuria, also because the writersare Koreans who have desires to escape from the Japanese imperialism, the agriculture-first principles created from An Sugil``s or Lee Giyeong``s works may be a state only for Koreans or a multi-racial state which could not be imagined in the colonial Joseon. This can be said to be appropriation aspects in Manchuria different from Japanese agriculture-first principles novels and also from rural enlightenment novels in 193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