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복지 구성의 고용과 경제성장 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차병섭 ( Byung Sub Cha ),이영 ( Young Lee ) 한국경제학회 2015 經濟學硏究 Vol.63 No.4

        사회보험과 공적부조, 사회서비스 등 사회복지의 구성은 국가별로 매우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사회복지 구성이 성장과 고용에 어떠한 효과를 가질 것인가는 사회복지지출을 큰 폭으로 증가시키고 있는 우리나라에 있어 매우 중요한 정책적 함의를 가지는 연구주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1980~2009년 사이의 OECD 국가들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회복지지출 구성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실증분석을 행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서비스는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공적 연금은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GDP 대비 사회서비스의 비중이 한 표준편차(1.65%p) 증가할 때마다 고용률은 약 1.90∼2.97%p 증가하고, GDP 대비 공적 연금의 비중이 한 표준편차(2.99%p) 증가하는 경우 고용률은 약 1.86~2.97%p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하지만 경제성장에는 연금과 사회서비스 둘 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추정 결과는 북유럽 국가들의 높은 고용률이 이들 국가들의 사회서비스 중심의 복지정책과 연관되어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향후 우리나라의 탈산업화 과정에서 경제의 고용가능성을 높이고 복지제도의 확충을 위해 사회복지의 중요한 구성 중 하나로서 사회서비스 분야의 적정한 확대가 중요함을 의미한다. This paper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pensions and social services on employment and economic growth. Social expenditure consists of various components, including pensions, public assistances, health insurances, social services, and active labor market polices, each of which can have different effects on employment and economic growth. Furthermore countries differ in the level and composition of social expenditure due to different needs and history. Our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pensions have a negative effect on employment while social services a positive effect. A one standard deviation increase in pensions decreases employment by 1.86%p~2.97%p, and a one standard deviation increase in social services increases employment by 1.65%p~2.97%p. We also find that the effects of pensions and social services on economic growth are not significant. From the results of our estimations, we conjecture that the high employment in Northern European Countries is associated with their welfare policy focused on social services. A natural policy implication of our findings is that social services should be the key component of social expenditure to expand employment opportunities in the process of de-industrialization.

      • 공공 사회복지를 위한 재정여력의 구성과 경제성장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차병섭(Byung-Sub Cha) 한국재정학회 2015 한국재정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5 No.3

        사회복지가 확대되어짐에 따라 필요한 재원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가 중요 이슈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정여력’의 개념을 통해 ‘경제성장을 위한 정부 정책의 효과성을 높이고 재정의 건전성과 정책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공공 사회복지지출의 확대에 대한 정부의 재정정책 선택에 대해 실증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로부터 전반적으로 공공 사회복지지출 대비 사회보장기여금 또는 조세부담 비율은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공공 사회복지지출 대비 공공 사회복지지출을 제외한 기타 정부 지출과 재정적자 비율은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정효과모형의 결과를 중심으로 공공 사회복지지출 대비 사회보장기여금 비율은 표준편차인 21.84%p 증가하면 경제성장은 1.33~1.92%p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세부담의 경우에는 표준편차인 64.55%p 증가하면 경제성장이 2.13~3.74%p 증가하고 기타 정부 지출의 경우에는 67.07%p 증가하면 경제성장이 2.15~4.16%p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사회보장기여금을 확대할 경우 세수 확대 혹은 정부 지출의 조정 보다 성장효과가 약 2배정도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경제성장을 촉진시키면서 공공 사회복지지출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사회보장기여금과 조세부담을 늘리고 기타 정부 지출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한 재정정책 방향이라는 정책적 함의를 지니고 있다. 또한 경제성장을 위해서 재정수지는 최대한 재정적자를 확대하지 않는 방향으로 정부가 재정정책을 선택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e paper empirically estimates the effects of fiscal policy to make fiscal space for public social expenditure on economic growth. Government can make fiscal space by increasing revenue though tax policy reform or improved tax administration, rearrangement or raising efficiency of government expenditure, or deficit financing through borrowing from overseas or domestic. The empirical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making fiscal space by increasing social security contributions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enhance economic growth. An one standard deviation increase in social security contributions as % of GDP increases economic growth rate by 1.33-1.92%p. Also fiscal space can be made by increasing tax burden as mush as deceasing government expenditure excluding public social expenditure. An one standard deviation increase in tax burden as % of GDP increases the growth rate by 2.13-3.74%p, but the increase in government expenditure as % of GDP decreases it by 2.15-4.16%p. However, it is harmful to economic growth to create fiscal space through borrowing by increasing fiscal deficit. An one standard deviation increase in fiscal deficit as % of GDP decreases growth rate by 0.29-0.76%p. A natural policy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making fiscal space by increasing social security contributions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of fiscal policy. And fiscal space can be created by mixing the methods simultaneously such as increasing tax burden and raising efficiency of government expenditure. But increasing fiscal deficit to create fiscal space should be avoided.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사회복지지출이 경제성장을 저해하는가?

        차병섭(Byung-Sub Cha),이영(Young Lee)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2013 재정학연구 Vol.6 No.4

        사회복지지출과 경제성장 간의 관계 분석에 있어 내생성은 핵심적인 이슈이다. 본 연구는 경제성장에서 사회복지지출로의 역의 인과관계를 도구변수법과 구초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통제하였고, 그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단순 최소자승추정법을 통한 추정에서 관잘 되었던 사회복지지출과 경제성장 간 음의 관계는 사라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더욱이 1기 래그된 사회복지지출을 사용한 도구변수법과 구초방정식모형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사회복지지출이 경제성장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할 뿐만 아니라 경제 적으로도 유의미하여, 사회복지지출이 표준편차인 5.9 % p만큼 증가하면 연간 경제성장률이 0.8~1.0%p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이는 사회복지지출과 경제성장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에 있어서 역의 인과관계를 통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의미한다. 또한 시차를 얼마로 설정하는가도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사회복지지출에서 경제성장으로의 영향의 시차와 경제성장과 경기변동에서 사회복지지출로의 영향의 시차가 서로 상이 합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사회복지지출의 확대가 경제성장을 저해하지는 않는다는,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사회복지지출의 확대를 무조건 반대할 것이 아니라 경제와 사회 발전 수준에 부합되는 적정수준으로 사회복지지출을 조정해야 한다는 정책적 합의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있다. This paper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ffect of the social expenditure on the economic growth. The problem of reverse causality makes it hard to discern the effect of the social expenditure on the economic growth. This paper shows that negative relationship found in OLS disappears when the endogeneity is controled by using instrument variables 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 We even fi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hen 1-period lagged social expenditure is used. Our estimates predict that one standard deviation increase in the social expenditure, 5.9%p, increases annual economic growth by 0.8 ~ 1. 0 %. Our results imply that it is important to control for reverse causality when analyzing the effect of the social expenditure on the growth. A natural policy implication of our study is that the social expenditure does not harm economic growth and tha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appropriately the social expenditure with economic growth and social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