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도의 에너지원별 최종수요의 변동 특성과 기여도 분석

        차경수(Cha, Kyungsoo),김영신(Kim, Youngshin)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7 남아시아연구 Vol.23 No.2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인도의 에너지원별 최종수요의 변동추이 및 특성을 살펴보고, 에너지원별 최종수요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동조성에 미치는 주요 거시적 요인들의 기여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산업부문의 수요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석탄은 거시적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동조성의 변동이 수요의 총 변동을 대부분 설명하는 반면, 가정, 농업 및 기타부문과 운송부문의 수요가 주류를 이루는 원유, 전력 및 바이오매스는 에너지원별 특이적 요인들과 관련된 변동이 총 변동의 대부분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동조성의 총 변동을 견인하는 주요 추진력은 에너지효율성의 개선추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외에 경제성장률 및 도시화의 진전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final energy consumption by source in India. In order to find out the main driving forces of the common variations, we decompose each energy consumption into common and idiosyncratic variations. The dynamic latent common factor model is estimated by the Bayesian MCMC method, and it is used to find out relative contributions of the macro variables in explaining the common variations. The main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except for coal, which is mostly used in the industrial sector, other energy sources such as oil, electricity, and biomass are mainly driven by the idiosyncratic variations, rather than the common variations which are affected by macro variables. Secondly, it turns out that the main driving forces of the common variations of final energy consumption in India are improvements of energy efficiency, followed by the economic growth rate and progresses of urbanization. It is found that they can approximately account for 73.4% of the common variations in final energy consumption by source in India.

      • KCI등재

        국내 제조업 수출에 미치는 미국 기준금리 인상 충격의 효과

        차경수 ( Kyungsoo Cha ),김영신 ( Youngshin Kim ) 한국국제경제학회 2016 국제경제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27개 제조업 산업의 수출에 미치는 미국 기준금리 인상의 효과를 SVAR 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은 수출수요를 감소시키는 소득효과와 수출가격을 하락시키는 가격효과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가정한 후, 부호제약을 통해 이 두 효과를 유발하는 구조적 충격을 식별하였다. 분석결과,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충격에 따른 영향은 산업별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나, 소비재산업 및 기초소재산업에 속하는 산업들은 주로 가격효과에 의해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립가공산업에 속하는 산업들은 소득효과가 가격효과를 압도하여 수출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산업별 수출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 소득효과는 가격효과에 비해 단기적 성격을 가지나, 영향력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국내 주요 제조업 산업의 수출에 미치는 미국 기준금리 인상 충격의 효과는 산업별로 상이하게 나타나, 국내 총수출에 미치는 효과는 크지 않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an increase in the federal funds rate on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using a SVAR model. In order for us to do this, we build the dataset that has the exports of 27 manufacturing industries based on SITC for the period of 1991 through 2015.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effect of the federal funds rate varies with export features of Korea. Our finding is that the exports of consumer products continuously decreased during the period while both exports of parts material and assembly-processing products persistently increased. More specifically, major export products such as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parts of the motor vehicles, and sound recording apparatus are expected to be decreased due to the wealth effect of the increase of the federal funds rate, while organic/inorganic chemicals, iron and steel, petroleum products are anticipated to be increased by the price effect. The result of cumulative impulse response functions also shows that the wealth effect usually happens one year later whereas the price effect overwhelming the wealth effect occurs with time lags.

      • KCI등재

        부문별 에너지원 수요의 변동특성 및 공통변동에 미치는 거시적 요인들의 영향력 분석

        차경수(Kyungsoo Cha) 에너지경제연구원 2016 에너지경제연구 Vol.15 No.1

        본 연구의 주요목적은 국내 3대 부문(산업, 가정 및 상업) 3대 에너지원(석유, 도시가스 및 전력) 수요의 변동특성을 파악하고, 이들 부문별 에너지원수요의 공통변동(동행성)에 미치는 거시적 요인들의 기여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산업부문의 전력수요를 제외한 대부분의 부문별 에너지원수요의 변동은 거시적 요인들보다는 자체의 미시적 요인들에 주로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들 부문별 에너지원수요의 공통변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추진력(driving force)은 경제성장률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외에도 최근 들어 그 영향력이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주목받고 있는 인구증가율의 감소, 에너지소비효율성의 향상, 에너지다소비산업의 비중축소와 같은 구조적 요인들과 냉난방도일과 같은 기후변화 관련변수들도 비록 작지만,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설명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중장기 에너지수요의 예측력 향상을 위해서는 거시적 요인들 뿐 아니라, 부문별 에너지원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고유의 미시적 요인들을 발굴하고 이에 대한 지속적 자료구축 작업을 수행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main features of sectoral energy consumption in Korea, by decomposing each sectoral energy consumption into common and idiosyncratic variations. This paper also attempts to find the main driving forces of the common variations of energy consumption which are extracted from each sectoral energy consumption. The dynamic latent common factor model is estimated by the Bayesian MCMC method and used to find contributions of various driving forces. The main findings of this paper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xcept for industrial electricity consumption, most sectoral energy consumption is mainly driven by sector-specific or idiosyncratic components, rather than macroeconomic variables. In particular, this pattern is strongly found in energy consumption of the commercial sector. Secondly, it turns out that the main driving force of the common variations of energy consumption in Korea is the economic growth rate. It approximately accounts for 76~80% of total variations of the common variations. However, it is also found that the effects of other various factors, such as the population growth rate, energy intensity, the fraction of energy-intensive industries, CDD(Cooling Degree Days) and HDD(Heating Degree Days), have steadily increased in explaining the common variations of energy consumption in Korea.

      • KCI등재

        수송용 석유류제품가격의 비대칭성 및 가격조정과정의 차이

        車京洙 ( Kyungsoo Cha ) 한국국제경제학회 2020 국제경제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국제유가 변화에 대한 수송용 석유류제품가격들의 비대칭성과 가격조정과정에 관해 분석하였다. 누적조정함수에 의한 추정결과, 국제유가 변동에 반응하여 경유가격은 휘발유가격에 비해 더욱 신속하게 장기균형으로 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유가격은 국제유가로 이용된 MOPS의 가격변화에 비대칭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휘발유가격은 비록 짧은 기간이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비대칭성을 보였다. 이와 같은 휘발유가격의 비대칭성은 과점구조를 갖는 정유사들 간의 암묵적 협력이론, 정유사들의 재고변동 이론 그리고 소비자들의 탐색활동과 관련된 탐색비용 이론 등에 의해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장기균형으로의 조정속도와 비대칭성에서 발견된 두 석유류제품가격간의 차이는 탐색비용 이론에 의해 일정부분 설명될 수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탐색비용을 갖는 경유구매자들의 탐색활동 증가는 경유수요를 휘발유수요에 비해 더욱 가격 탄력적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경유구매자들의 탐색활동 증가는 주유소들의 시장지배력을 약화시켜, 경유가격의 비대칭성을 감소시키고 장기균형으로의 신속한 조정을 가능케 한다는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how gasoline and diesel prices respond to changes in oil prices and how they are adjusted to their long-run equilibrium over time. According to the estimation results, gasoline prices respond more rapidly to an increase in oil prices rather than a decrease. However, the price asymmetry is not found in the dynamic adjustment of diesel prices. Additionally, the speed of adjustment to the long run equilibrium of diesel prices is much faster than gasoline prices. The asymmetry found in gasoline prices can be explained by coordination of oligopolistic sellers, production lags and asymmetric inventory adjustment costs, and the search theory. However, the difference in both the price asymmetry and the price adjustment process between petroleum products can be explained in part by relatively lower search costs of diesel buyers. Namely, since diesel buyers have relatively lower search costs than gasoline buyers, they increase search behavior when oil prices change. The increased search makes diesel demand more price elastic compared to gasoline demand. Therefore it weakens the market power of diesel sellers, resulting in a symmetric response and rapid adjustment of diesel prices.

      • KCI등재

        한국경제에 미치는 유가충격의 시간-가변적 효과에 관한 연구

        차경수 ( Kyungsoo Cha )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구 한국환경경제학회) 2018 자원·환경경제연구 Vol.27 No.3

        국제원유시장 및 경제구조의 변화로 유가충격과 거시경제 간의 전통적 관계가 점차 약화되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확률적 변동성으로 가정된 시간-가변 이분산을 갖는 TVP-BVAR모형으로 한국경제에 미친 유가충격의 시간-가변적 효과를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최근의 통념들과는 달리 시간-가변 표준편차 1단위 크기로 정규화한 유가충격의 효과는 과거에 비해 크게 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가충격에 대한 각 시점별 충격반응함수들의 형태도 유사하게 나타나, 충격의 전파경로 역시 크게 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가충격은 국내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의 총 변동을 4~10% 수준에서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나, 국내경기변동의 주요 원동력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점들은 원유소비의 비중축소 및 에너지고효율 기술보급 등과 같은 경제구조의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유가충격의 부정적 효과를 상쇄할 만큼 충분한 진전이 이루어지지 못했음을 의미한다. 오히려, 유가충격의 효과에 관한 최근의 통념들은 국제원유시장 및 경제구조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는 유가충격의 정규화방식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유가충격의 효과를 추정함에 있어 충격규모의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모형설정과 정규화방식의 중요성을 지적하는 것이다. Because of structural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oil market and the economy, it is widely recognized that the impact of oil shocks on the economy has weaken since the mid-1980s. This study trie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recent percept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oils shocks and the economy, estimating the time-varying effects of oil shocks on the Korean economy. The results show that the dynamic effects of oil shocks normalized to a one standard deviation has been relatively constant, in contrast to the recent perception and a number of existing studies. In addition, because the shape of impulse response functions at each point in time spanning from 1984:II to 2017:IV has not been changed significantly, it seems that the propagation mechanism of oil shocks also has not been substantially altered.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even though structural changes of the economy, such as the reduction in the share of oil consumption and the spread of high-efficiency energy technologies, have been rapidly progressed, it is not still enough to offset the negative effects of oil shocks. Rather, it seems that the recent perception about the shrinking effects of oil shocks is mainly due to the assumptions that do not reflect changes in the size of oil shocks. In particular, this problem appears more pronounced in the case of the typical a one standard deviation increase oil shock under homoskedasticity assumption, which is widely adopted in the most VAR analyses. Therefore, in estimating the effects of oil shocks on the economy, it is important to specify the correct model and normalization method, to reflect changes in the size of oil shocks.

      • KCI등재

        거시계량모형을 이용한 유가변동 및 유류세 변화의 파급효과 분석

        차경수(Kyungsoo Cha),오세신(Sae Shin Oh) 에너지경제연구원 2014 에너지경제연구 Vol.13 No.1

        본 연구에서는 오차수정모형이 도입된 거시계량모형을 이용하여 국제유가 및 유류세 변동이 거시경제 및 각 산업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국제유가 및 유류세 상승은 경제이론과 상응하는 방식으로 한국경제에 스태그플레이션을 유발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스태그플레이션의 강도 및 지속성은 유류세에 비해 국제유가의 상승이 발생할 경우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제유가의 상승은 수입물가 상승을 통해 경제전반에 보다 광범위한 충격을 미치기 때문이다. 또한 이들 두 충격 모두는 에너지다소비 산업이 포함된 제조업에 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이들 산업에 비해 생산비용 상승의 가격 전가가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총수요 변동에도 큰 영향을 받는 광업, 금융보험업 및 건설업이 이들 충격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류세의 경우에는 이들 산업들과 함께 민간소비와 밀접한 관련을 갖는 산업에도 비교적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는 국제유가 상승 시 유류세 인하가 스태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한 정책수단이 될 수 있음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In this study, a macroeconometric model which incorporates the error-correction model is constr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hanges in international oil prices and oil taxes on the Korean economy, as well as industrial production. An increase in both oil prices and oil taxes induces stagflationary pressures on the Korean economy in accordance with the economic theory. However, it is found that these negative effects of oil taxes are smaller than oil prices. This is because the increase in oil prices brings about more profound and wide effects on the economy, raising the price of imported goods, while oil taxes only increases the consumer and producer price index directly. Also, as expected, energy-consuming industries are mainly vulnerable to the increase in both oil prices and oil taxes. However, since it is possible for these industries to impute rises in costs to the price of their products, the mining, financial and construction industry are most seriously affected by the rise in oil prices and oil taxes rather than those industries. Moreover, in the case of oil taxes, it is also found that some industries closely related with private consumption are also influenced by the rise in oil taxes.

      • KCI우수등재

        산업별 경기변동의 특성과 총체적 충격 및 산업고유충격의 역할

        차경수 ( Kyungsoo Cha ) 한국경제학회 2017 經濟學硏究 Vol.6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산업별 경기변동의 특성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총체적 충격 및 산업고유충격의 역할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동태은닉공통인자모형을 이용하여 23개 산업의 생산증가율 변동을 동조성을 추적하는 공통인자와 산업고유충격을 반영하는 특이적 변동으로 분해하였다. 분석결과, 대부분 산업의 생산변동은 전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요인에 비해 산업별 특이적 요인들에 의해 주도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특성은 2000년 이후 더욱 뚜렷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산업별 생산변동에서 나타나는 동조성은 총체적 충격 뿐 아니라 투입-산출 연관성과 관련된 산업고유충격에 의해서도 유발되므로, 본 연구는 SVAR모형을 이용하여 이들의 상대적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추정결과, 동조성 변동의 상당부분(72∼78%)은 총체적 충격에 의해 설명되며, 이를 고려할 경우 산업별 생산변동에서 총체적 충격이 차지하는 기여율은 전 산업평균 16.13% 수준으로 추정되었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main features of business cycles in the Korean industry. In particular, this study tries to decompose sectoral growth rates into components arising from aggregate shocks and sector-specific shocks. The results from the dynamic latent common factor model show that most variability in output in many industries can be explained by idiosyncrat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industrial characteristics, rather than the common factor to track sectoral comovement. Also,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se features have become more apparent since 2000. However, as sectoral comovement may reflect not only aggregate shocks but also sector-specific shocks that have propagated by way of input-output linkages, this study uses a SVAR model to evaluate their relative importance. The SVAR analysis indicates that aggregate shocks are dominant sources of sectoral comovement. Therefore, they explains most of the variations (about 72∼78%) in sectoral comovement, accounting for 16.13% of total variabilities in sectoral output growth rates, on average.

      • KCI등재

        평균-분산이론을 활용한 전원구성계획의 타당성 분석

        차경수(Kyungsoo Cha) 에너지경제연구원 2017 에너지경제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주요목적은 평균-분산이론을 적용하여 현재 논쟁 중에 있는 탈원전·저탄소 전원구성의 타당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고려한 외부비용을 반영하는 효율적 프론티어를 도출한 후,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과 현 정부의 전원구성방향을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과 현 정부의 전원구성방향에 의해 도출된 전원포트폴리오들은 발전비용 및 비용변동측면에서 모두 비효율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원자력과 석탄의 발전비중을 축소하고 LNG와 신재생에너지의 발전비중을 확대하려는 현정부의 전원구성방향은 비용 뿐 아니라, 비용변동위험까지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현재의 비용구조 하에서는 LNG와 신재생에너지의 발전비중 증가가 전원구성의 비용과 비용변동위험을 다른 전원들에 비해 크게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상의 분석결과들은 현 정부의 전원구성방향은 전력공급의 환경성과 안전성은 담보할 수 있으나, 경제성과 안정성을 담보하기에는 미흡함을 의미하므로, 추진속도에 신중을 기해야 함을 지적하는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plan for no nuclear power and low-carbon electricity generation mix. For this purpose,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s of changes in the fuel ratio of the mix on the cost and risk, by applying the mean-variance theory. Therefore, optimal electricity generation mixes, which reflect various external costs considered in the 7th plan for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in 2015, are derived by determining an efficient frontier. It turns out that the electricity generation mixes corresponding to both the7th plan for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and the new government’s policy are inefficient, compared to the optimal electricity generation mixes. It is also found that these mixes have low cost but high risk, compared to the electricity generation mix in 2014, which is the base year of the 7th plan for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The main reasons for these results come from the fact that increases in the proportions of LNG and renewable energy raise the risk level of the electricity generation mix, under the current cost structure. Therefore,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shown that the plan to substitute nuclear and coal (bituminous) for LNG and renewable energy increases the cost and risk of the electricity generation mix.

      • 부문별 에너지원수요의 변동특성 및 공통변동에 미치는 거시적 요인들의 영향력 분석

        차경수 ( Kyungsoo Cha )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구 한국환경경제학회) 2016 한국환경경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경제학 공동

        본 연구의 주요목적은 국내 3대 부문(산업, 가정 및 상업) 3대 에너지원(석유, 도시가스 및 전력) 수요의 변동특성을 파악하고, 이들 부문별 에너지원수요의 공통변동에 미치는 거시변수들의 기여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산업부문의 전력수요를 제외한 대부분의 부문별 에너지원수요의 변동은 거시적 요인들에 기인하기 보다는 자체의 미시적 요인들에 주로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요 거시변수들 중 국내 부문별 에너지원수요의 공통변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추진력(driving force)은 경제성장률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외에도 최근 들어 그 영향력이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주목받고 있는 인구증가율의 감소, 에너지소비효율성의 향상, 에너지다소비산업의 비중축소와 같은 구조적 요인들과 냉난방도일과 같은 기후변화 관련변수들도 비록 작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력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중장기 에너지수요의 예측력 향상을 위해서는 거시변수들 뿐 아니라, 부문별 에너지원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고유의 미시적 변수들을 발굴하고 이에 대한 지속적 자료구축 작업이 요구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main features of sectoral energy consumption by source in Korea, by decomposing each sectoral energy consumption by source into common and idiosyncratic variations. Also, this paper is to attempt to find the main driving forces of the common variations of energy consumption which are extracted from each sectoral energy consumption by source. The dynamic latent common factor model is estimated by the Bayesian MCMC method for these goals. The main findings of this paper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xcept industrial electricity consumption, most sectoral energy consumption is mainly driven by sector-specific or idiosyncratic components, rather than macroeconomic variables. In particular, this feature is strongly found in energy consumption of the commercial sector. Secondly, it turns out that the main driving force of the common variations of energy consumption in Korea is the economic growth rate. It approximately accounts for 76~80% of total variations of the common variations. However, it is also found that in addition to the GDP growth rate, the effects of other various factors, such as the population growth rate, energy intensity, the fraction of energy-intensive industries, CDD(Cooling Degree Days) and HDD(Heating Degree Days), have increased steadily in explaining the common variations of energy consumption in Korea.

      • KCI등재후보

        최근 유가상승 요인에 관한 小考

        차경수(Kyungsoo Cha) 에너지경제연구원 2008 에너지경제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구조적 벡터자기회귀(structural vector autoregression : SVAR)모형을 이용하여 원유의 수급요인 및 투기적 요인이 최근의 유가상승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역사적 분해(historical decomposition) 결과에 따르면 2004년 이후부터 진행된 현재의 유가상승 추세는 세계 원유수요 증가에 의해 촉발되었으며, 2007년 중에는 유가상승의 상당부문이 수급불안 요인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특히, 이와 같은 수급불안에 따른 투기적 수요의 증가는 2007년 하반기 중의 급속한 유가상승을 설명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효과는 수급요인에 비해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 외에도 본 연구는 최근 들어 제기되고 있는 달러화 평가절하가 유가상승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통계적 추론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유가상승률과 달러화 평가절하율로 구성된 벡터자기회귀모형을 구성한 후, Wald검정 및 우도비검정과 그랜저 인과관계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달러화 평가절하율이 유가상승률에 미치는 효과는 통계적 유의성을 크게 갖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the role of factors responsible for recent hikes of crude oil prices. For this purpose, a 4 variable SVAR (Structural Vector Autoregression) model, composed of the world demand for crude oil, the world supply of crude oil, the speculative demand for crude oil and real crude oil prices, is constructed. The innovation-accounting technique of historical decomposition seems ideally suited as a main vehicle for this purpose. In application, using quarterly data from 1986:01 to 2008:01 reveals that the upsurge of the crude oil demand in 2004 triggers the rises in crude oil prices. Moreover, as the supply of crude oil fails to accommodate the increase in the world demand during 2007, a large portion of the rises in crude oil prices is able to be accounted for the demand-supply balance. Even though the effects of the speculative demand on oil prices seem less critical than the demand-supply balance, it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explaining the increases in oil prices during 2007.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depreciation of the U.S. dollar on oil prices are also investigated. However, the Wald test, the likelihood ratio test, and the Granger causality test conducted by using bivariate VAR model indicate that the depreciation of the U.S. dollar does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rises in oil pr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