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서울 밤도깨비 야시장의 계획ㆍ정책결정 과정으로 살펴본 도시 비공식성과 공식적 거버넌스 메커니즘의 상호작용

        진예린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2016 地理學論叢 Vol.62 No.-

        이 연구는 서울 밤도깨비 야시장을 도시 비공식성의 담론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이 사례를 통해 과거 도시 계획의 규제와 억압의 대상이었던 도시 비공식성이 현재 새롭게 부상하는 도시 계획의 패러다임에 맞추어 어떻게 공식적 거버넌스 메커니즘과 상호작용하는지 상술하고자 한다. 사례 분석을 위해 서울 밤도깨비 야시장이라는 새 로운 도시 공간을 만들어낸 서울시 정부를 공식적 권위체로 설정하고 야시장의 플리마켓, 푸드트럭, 거리공연과 이 에 참여하는 행위자들을 도시 비공식성 영역으로 분류했다. 연구를 통해 서울시 정부가 행사를 조직하는 데 있어서 공식적 거버넌스 메커니즘과 절차를 따르기 위해 제도적 기반을 다듬고 도시 비공식성 영역의 자율성을 일정 부분 제약하는 경향이 드러나기도 했다. 그러나 이 연구는 도시 비공식성 영역의 행위자들이 정부와의 협력적 상호작용 을 통해 적극적으로 도시 비공식성 영역을 유지, 강화시키고자 노력하는 현상에 주목했다. 나아가, 이와 같은 공식 적 거버넌스와 도시 비공식성 간의 상호작용으로 만들어지는 공통의 합의가 도시 공간에 대한 상호 호혜적인 기대 를 형성하게 만들며 그 결과로 보다 역동적인 서울밤도깨비 야시장이 만들어졌다고 결론지었다. This paper analyzes ‘Seoul Bamdokkaebi Night Market’ on the discourse of urban informality. Within this case, this paper aims to elaborate how urban informalities, that once was regarded as troubles to be regulated or discarded in urban spaces, interact with formal governance mechanisms under a new paradigm of urban planning. To closely look into the this case, the author sets the city government as a formal authoritative agent that makes spatial policies regarding the process of creating a new urban space, ‘Seoul Bamdokkaebi Night Market’, while categorizing the internal sectors—flea market, food trucks and street performance— and each players into urban informality. Although the research has found out that the city government did somehow limited the autonomy of urban informalities while engaging in formal governance mechanisms and procedures, it was proven clear that urban informal players have actively participated in collaborative interaction with public agents to maintain and strengthen their own territory without being formalized. Furthermore,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interactions between formal governance mechanisms and urban informalities create common agreements and positive expectations which eventually succeeded in designing Seoul Bamdokkaebi Night Market into a more dynamic urban space.

      • KCI등재

        Place-making of Sewolho Gwangjang through Occupation

        진예린(Jin, Yerin) 한국공간환경학회 2018 공간과 사회 Vol.28 No.4

        이 논문은 서울 광화문 세월호광장에 대한 사례 연구로, 지리학자들로부터 큰 관심을 받은 도시 공공공간 점거의 역학을 분석함으로써 공공공간 장소만들기 과정을 그려낸다. 2014년 4월 세월호 참사로 목숨을 잃은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사고의 진상규명을 요구하기 위해 만들어진 장소인 세월호광장에 대한 관찰을 통해 공공공간의 점유가 확장되어 장소만들기 전략으로 사용되는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논문은 행위자 중심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세월호광장 만들기에 참여한 다양한 도시 행위자들의 정치적 의도와 역할을 설명한다. 이를 통해, 공공공간의 점유와 공공공간의 사유화의 담론을 분리하고 이를 도시 장소만들기의 이론적 틀 안에서 분석한다. This paper draws upon the politics of place-making by examining the dynamics around the occupation of public space, a topic that has received great attention from geographers and urban scholars. This study looks at the case of Sewolho Gwangjang at Gwanghwamun plaza in downtown Seoul, a place made both to commemorate the victims who lost their lives in the Sewol ferry (Sewolho) disaster of 2014 and as a form of protest by their families. It explores how the occupation of Gwanghwamun Plaza by the victims’ families eventually turned into the place-making of Sewolho Gwangjang in the occupied territory as well as how the place was politically claimed as a public space, Gwangjang. An actor-oriented approach is taken to illustrate the dynamics and competition of conflicting interests around the place-making of Sewolho Gwangjang. The main actors comprise both governmental and nongovernmental entities that both intentionally and unintentionally became involved in the making of Sewolho Gwangjang. The findings demonstrate, first, that the place-making of Sewolho Gwangjang was concurrent with the expansion of the occupation and thus there was continuous tension between competing forces. Second, place-making of Sewolho Gwangjang took place through cooperative efforts of key political actors who engaged in and was supported and sustained by citizens who shared griefs and ideologies. This research ultimately aims to present a progressive understanding of the occupation of public space by contextualizing it as a place-making process.

      • 단서 경쟁 모형에 기반한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이/가’와 ‘은/는’의 습득 양상 연구

        진예린 ( Chen Yanling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024 先淸語文 Vol.53 N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cquisition patterns of semantic function cues (‘i/ga’ and ‘eun/neun’) by Chinese-speaking learners of Korean, exploring educational implications. The six semantic functions were categorized into cues related to selection designation, introduction topic, referential new information, contrast, central topic, and referential old information. A cloze test was conducted on elementary, middle, and advanced Chinese-speaking learners, examining cue competition effects in various utterance contexts. As a result, all learner groups showed a lower correct answer rate in the context of cue competition than in the context without cue competition. In addition, regardless of the combination, if the semantic function ‘selection designation’ is included, it was found that learners did not accurately understand the semantic function ‘selection designation’ of ‘i/ga’. In other words, if context included the semantic function ‘selection designation’, not only the context with cue competition but also the context without cue competition is difficult for learners. On the other hand, regarding the meaning function ‘contrast’ cue of ‘eun/neun’, when its referential givenness is ‘referential old information’, which is also the function cue of ‘eun/neun’, all of the middle, and advanced Chinese-speaking learners showed a high degree of acquisition, matching the basic assumption of the cue competition model. In other words, when all semantic functional cues are induced in the same form and with the same association, the strength of each cue increases such that learners can interpret the sentences and select the correct postposition. Conversely, if there is cue competition because each semantic function cue corresponds to a different form, that is, if the ‘contrast’ cue of ‘eun/neun’ is revealed as the ‘referential new informatio’ cue of ‘i/ga’, with this combination, correct use becomes difficult for learn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semantic function cues that affect Chinese-speaking Korean learners when selecting the Korean postpositions ‘i/ga’ or ‘eun/neun’. Based on this, it will be possible to reveal the acquisition patterns among more diverse cues with more diverse syntactic conditions in the future.

      • KCI우수등재

        지리학적 행복 연구 - 행복과 공간적 역량에 관한 북유럽 사례 질적연구 -

        신혜란(HaeRan Shin),진예린(Yerin Jin) 대한지리학회 2021 대한지리학회지 Vol.56 No.5

        본 연구는 행복과 복지의 모범적 사례로 거론되는 북유럽 대도시 사람들의 행복에 관한 질적 분석이다. 근래 들어 지리학에서 행복 연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행복을 정해진 상태가 아니라 구체적 맥락과 개인의 상호작용의 과정을 보는 질적연구의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그 요구에 답하여 노르웨이 오슬로와 덴마크 코펜하겐에 거주하는 20-30대 청년층과 60대 이상 노년층 피면담자들의 심층 구술 면담을 통해 행복한 경험과 불행한 경험, 문제상황에서의 대응 방식, 인생 경험을 통한 행복 전략을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이론적 틀로서는 삶에서 선택할 수 있는 자유를 뜻하는 인간 역량을 행복의 중심으로 보는 역량 이론(capability theory)을 거주, 이동의 자유에 관한 개념으로 발전시킨 공간적 역량(spatial capability) 개념이 사용되었다.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을 통한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유럽 피면담자들은 행복을 정의하는 것에 선택의 자유와 만족감을 주요어로 얘기했고, 특히 보람을 느끼는 직업을 선택하는 것에 큰 책임감과 의의를 두었다. 둘째, 거주, 이주의 자유에 관한 삶의 경험에서, 피면담자들은 수도 대도시에 사는 것에 만족했지만 높은 집값에 따른 부담으로 제한된 공간적 역량에 대해 거주공간 전략을 발전시켰다. 셋째, 피면담자들은 자신이 대면한 불평등에 적극적으로 문제 제기를 하는 편이었고 사회구조적 원인을 추적하기도 했다. 넷째, 심층면담에서 공통적으로 활발한 동호회 활동, 친한 지인과의 사교 관계는 대부분의 피면담자들에게 무척이나 중요한 삶의 요소였다. 본 연구는 삶의 경로에서 나타나는 행복의 구성 과정을 제시하여 인간과 환경의 상호 관계를 보는 지리학에서 행복 논의의 장점과 필요성을 제안하고 행복과 연관된 정책결정에서 공간적 고려를 할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happiness of people living in big cities in Northern Europe, which are regarded as models of happiness and welfare. In the field of geography, calls for research into happiness have been increasing in recent years. This research responds to those calls, using qualitative and processual approaches to view specific contexts of happiness in a study of the interaction between life experiences and individuals’ strategies.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is study is constructed around ‘human capability,’ the freedom to choose a different kind or another way of life, and ‘spatial capability,’ the capability in the areas of residency and mobility. Based on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ith younger adults in their 20s as well as adults in their 30s and older living in Copenhagen, Denmark, and Oslo, Norwa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answer to the question of their definition of happiness, the majority of interviewees equated satisfaction with the freedom of choice, putting an emphasis on choosing a rewarding job. Second, in discussions of their experiences of freedom of residence and mobilities, most interviewees expressed contentment with living in the capital city but admitted to having had to develop a residential space strategy for limited spatial capabilities due to high housing prices. Third, those interviewees tended to actively raise questions about the inequality they faced that they attributed to social structural causes. Fourth, interviewees cited involvement in associations and social activities with friends as playing an important part in their happiness. This study outlines the merits of discussing happiness in geography and suggests the consideration of happiness in policy related to spatial deci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