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셰익스피어 시대 ‘극작가들의 대결’과 벤 존슨의 문학이론의 전개

        진영종 한신대학교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011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Vol.0 No.19

        16세기 후반 영국 극장계는 벤 존슨이 도입한 풍자희극으로 새 바람이 일었다. 풍자희극은 사회악을 드러내고 이를 교정하기 위한 연극이었다. 이러한 새 연극에 대한 반격도 만만치 않았다. 풍자희극을 처음 도입한 존슨에 대한 공격이 무대 위에서 공연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또 이어서 존슨은 자신을 공격한 공연에 대하여 작품으로서 반격을 가했다. 이렇게 극작가 간에 연극 공연을 통하여 상호 공격을 한 것이 16세기 말 17세기 초반 영국 연극계의 그 유명한 ‘극작가들의 대결’이다. 극작가의 대결에서 우선 중요한 작품은 토마스 데커의 <엉터리 풍자꾼>이다. 이 작품을 통하여 데커는 존슨의 개인적인 여러 가지 면모를 모두 공격한다. 존슨의 이전의 직업이었던 벽돌공, 처음으로 연극계에 발을 들여놓은 배우, 극작가, 또 존슨이 휘말렸던 사건에 대해서까지 비판을 한다. 개인적인 원한 때문에 다른 사람을 헐뜯는 풍자희극을 쓰게 되었다고 결론 내린다. 그래서 이를 치료하기 위하여 존슨을 대변하는 극중인물 호레이스의 옷을 벗기면서, 계속해서 그의 옷을 벗길 것을 다짐한다. 존슨은 자신을 공격하는 연극이 준비되는 것을 알고 이에 대응하고자 <엉터리 시인>이라는 작품을 쓰게 되었다고 밝힌다. 이 작품을 통하여 존슨은 자신에 대한 비난을 해명하면서 자신의 문학관을 피력한다. 우선 진정한 시인의 자세를 제시하여 ‘엉터리 시인들’과 대조를 시킨다. 또 문학의 사회적 역할은 ‘풍자희극’처럼 사회악을 교정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뿐만 아니라 표절을 비난하며, 표절을 한 ‘엉터리 시인들’에게 강력한 알약을 투입하여 이들을 치료하고자 한다. 이처럼 ‘극작가들의 대결’은 무대 위에서 벌어졌던 흥미로운 연극게임이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하여 극작가들의 문학에 대한 이론이 진지하게 논의되었던 토론의 장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작가정신에 투철한 벤 존슨은 작가 중심의 문학관을 피력하였다.

      • KCI등재

        Theatre of the Audience: English Early Modern Theatre and Korean Ground Theatre

        진영종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09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0 No.21

        The play texts of English early modern theatre and Korean ground theatre in 1970s and 1980s are primarily for performance. Theatrical performance inevitably presupposes the audience. Thus, both theatres might well understood as the theatre of the audience in this respect. Therefore, how to accommodate the audience to the world of play comes to be primary concern of performance. To accommodate the audience to the play world, both theatres tried out new experimentation. In this paper, the new experimentation of both theatres are scrutinized to illustrate the similarities between two theatres. In Fulgens and Lucres and Jindongah Gut, a certain dramatic character plays a role of mediator between the world of play and the real world. In both plays, it is clearly demonstrated that the audience has an overall control over the performance and the moderator, as an actor as well as a member of the audience, are mediating the world of play and the real world of the audience from the viewpoint of the audience. The Old Wife’s Tale and Jinohgui Gut ar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udience within the audience. The unique dramatic characters, the narrator in The Old Wife’s Tale and the commentator in Jinohgui Gut, dominate the general progress of the performance to a large extent. Both of the characters are neither the characters of the main play nor the audience of the main play. They move from the world of play and the real world, in other word, they are between the two worlds. They sit on the margin of the stage. Thus, the position of these two characters also reinforces their role from the audience’s viewpoint. Two Shrew Plays are scrutinized to clarify the frame structure of Shakespearean theatre. Even though it is traced that the focus is moved from the audience to dramatic illusion, the audience perspective is still recognized in Shrew Plays. In Korean ground theatre, the general framing structure is very notable: Apuri, Bonpuri and Duepuri. The frame structure of Shakespearean theatre and Korean ground theatre also illustrate that their primary emphasis is put on the audience. Even though two theatres are very different in period and the subject matters, there are lots of similarities when they are approached from the viewpoint of the audience.

      • KCI등재

        셰익스피어 시대 극장의 연극적 장치에 관한 연구

        진영종 한신대학교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009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Vol.0 No.16

        1576년 연극전용 상업극장 씨어터(The Theatre)의 개관으로 셰익스피어 시대의 연극 활동이 시작되었다. 이때 중요한 것은 중세적인 취향을 갖고 있는 관객을 새로 형성된 연극의 세계에 어떻게 끌어들이는가 하는 문제이다. 중세의 축제에서는 연극의 세계가 관객을 찾아가서 축제 속에서 관객과 하나가 되었지만, 셰익스피어 시대의 연극은 관객이 관람료를 지불하면서 연극의 세계가 이루어지는 극장으로 찾아오게 되었다. 그러므로 당시 극문학 작품에는 관객을 고려한 다양한 연극적인 장치가 발달했다. 이를 위해서는 당시 극문학 작품을 연극 공연을 위한 대본으로서의 성격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즉, 관객을 자연스럽게 현실세계에서 연극의 세계로 안내하고, 연극의 세계를 편안하게 즐기고, 또 이들을 공연히 끝난 뒤 자연스럽게 현실세계로 돌아가게 하는 다양한 장치들이 발달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당시의 연극작품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특히 순수문학적으로만 고찰할 때 상대적으로 중요성을 평가받지 못하는 도입장치, 프롤로그, 코러스, 에필로그는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새로운 의미를 가진다. 프롤로그는 관객들로 하여금 무대에서 공연되는 연극의 세계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현실의 세계와 구분되는 가상의 연극 세계로 관객들을 초대하는 것이다. 프롤로그보다 더 복잡한 도입장치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시간과 공간의 변화가 심한 연극의 경우에는 코러스라는 연극적 장치를 도입하여 관객들이 극단이 목표로 하는 공연을 제대로 즐길 수 있도록 돕는다. 이 때 코러스는 연극 해설자, 나레이터 등의 역할을 한다. 연극의 세계에서 다시 현실의 세계로 관객을 돌아가게 하는 장치로서는 에필로그가 있다. 에필로그는 이러한 역할 외에 관객이 공연에 대한 기억을 가지고 현실 세계로 돌아가서 공연을 광고하게 하는 역할까지 수행한다.

      • KCI등재

        영국과 한국교회에 미래는 존재할 것인가?

        진영종(Terry Jin)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4 선교와 신학 Vol.33 No.-

        오랜 전통과 역사를 가진 영국교회가 20세기 후반에 급속히 쇠퇴한 것은 짧은 역사 속에서 괄목할만한 비약적인 성장을 통해 이를 뒤따르고 있는 한국교회에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단순히 시간적 차이만을 두고 있는 것 같은 한국교회와 영국교회에 과연 미래는 존재할 것인가라는 질문을 통해 교회의 실존적 의미와 방향에 대해 접근한다. 지금 급속히 감퇴하고 있는 한국교회 위기의 근본적 이유들을 이미 50여년 전에 경험한 영국교회와 비교하는 작업은 이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아직까지 충분한 가능성을 가진 한국교회에 일종의 대안을 준비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힌트를 제공해 준다. 아울러 한국인 목사로서 영국교회를 목회하고 있는 저자의 목양경험과 인식 또한 일종의 새로운 형태의 가교로서 제안되며, 이를 통하여 정체와 답보상태에 머물러 있는 작금의 한국교회에게 위기를 기회로 선용할 수 있는 교회론적 의미와 가치부여를 제시하고 있다. In late 20th century, rapid declining of the British Church which has a long history and various traditions shows a massive implication for the Korean Church which is chasing her with eye-opening rapid growth in a short history. By the question of ‘Does the church has a future in Britain and Korea?’ where there seems simply a chronological gap in between, firstly this article approaches to the existential meanings and direction of the churches. Hence, comparison of the fundamental reasons of the Korean Church’s recent dramatic tendency of decline and the British’s which has been through over the last 50 years will suggest some alternative clues to the Korean church eventually which has extra- ordinary possibilities in the future. Finally, the pastoral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of the writer who is a Korean minister serving for the British church are notified as a new protocol of the bridging between the two, and the writer proposes it to the Korean Church which is in a stalemate situation, as ecclesiological meanings and values to overcome the incumbent crisi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셰익스피어 시대 "극작가들의 대결"과 벤 존슨의 문학이론의 전개

        진영종 ( Young Jong Jin )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011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Vol.19 No.-

        16세기 후반 영국 극장계는 벤 존슨이 도입한 풍자희극으로 새 바람이 일었다. 풍자희극은 사회악을 드러내고 이를 교정하기 위한 연극이었다. 이러한 새 연극에 대한 반격도 만만치 않았다. 풍자희극을 처음 도입한 존슨에 대한 공격이 무대 위에서 공연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또 이어서 존슨은 자신을 공격한 공연에 대하여 작품으로서 반격을 가했다. 이렇게 극작가 간에 연극 공연을 통하여 상호 공격을 한 것이 16세기말 17세기 초반 영국 연극계의 그 유명한 ``극작가들의 대결``이다. 극작가의 대결에서 우선 중요한 작품은 토마스 데커의 <엉터리 풍자꾼>이다. 이작품을 통하여 데커는 존슨의 개인적인 여러 가지 면모를 모두 공격한다. 존슨의 이전의 직업이었던 벽돌공, 처음으로 연극계에 발을 들여놓은 배우, 극작가, 또 존슨이 휘말렸던 사건에 대해서까지 비판을 한다. 개인적인 원한 때문에 다른 사람을 헐뜯는 풍자희극을 쓰게 되었다고 결론 내린다. 그래서 이를 치료하기 위하여 존슨을 대변하는 극중인물 호레이스의 옷을 벗기면서, 계속해서 그의 옷을 벗길 것을 다짐한다. 존슨은 자신을 공격하는 연극이 준비되는 것을 알고 이에 대응하고자 <엉터리 시인>이라는 작품을 쓰게 되었다고 밝힌다. 이 작품을 통하여 존슨은 자신에 대한 비난을 해명하면서 자신의 문학관을 피력한다. 우선 진정한 시인의 자세를 제시하여 ``엉터리 시인들``과 대조를 시킨다. 또 문학의 사회적 역할은 ``풍자희극``처럼 사회악을 교정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뿐만 아니라 표절을 비난하며, 표절을 한 ``엉터리 시인들``에게 강력한 알약을 투입하여 이들을 치료하고자 한다. 이처럼 ``극작가들의 대결``은 무대 위에서 벌어졌던 흥미로운 연극게임이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하여 극작가들의 문학에 대한 이론이 진지하게 논의되었던 토론의 장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작가정신에 투철한 벤 존슨은 작가 중심의 문학관을 피력하였다. The comical satire, a new sub-genre of drama, was introduced to the English theatre in the late 16th century by Ben Jonson. The new genre makes it clear that the aim of theatre is to reveal social follies in order to correct them. This new trend is against the established goal of the theatre, therefore, the new genre brought about vehement ridicules and attacks against Ben Jonson himself. This is the very starting point of the well known ``the War of the Poets`` between playwrights such as Thomas Dekker and Ben Jonson. Dekker directly attacks Jonson in Satiromastix, in which Jonson is personated under the name of Horace. In Satiromastix, Dekker ridicules all aspects of Jonson including his past vocation, his dramatic characters, incidents in which Jonson is associated, and even his theory of literature. In the end as a vicious satirist, Jonson is brought to the court and untrussed. It is evident that Jonson had information that a certain playwright was employed by an acting company to write a play script to attack him. In order to counter-attack the play and performance, he started writing Poetaster. In Poetaster, Jonson explains his position on poetry, which is based on his theory of humours. And the aim of poetry is to ridicule social misbehaviors to correct them. His theory of poetry is quite freshing in the age of Shakespeare. Jonson himself is very conscious of authority of poetry unlike his contemporaries. Through the War of the Poets, the audience enjoyed the interesting drama game on the stage. In the mean time, the War of the Poets played a role of a theoretical debate on the social function of drama and the standard of poetic authority carried out by playwrights.

      • KCI등재

        Theatre of the Audience

        Jin, Youngjong(진영종)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09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0 No.21

          The play texts of English early modern theatre and Korean ground theatre in 1970s and 1980s are primarily for performance. Theatrical performance inevitably presupposes the audience. Thus, both theatres might well understood as the theatre of the audience in this respect. Therefore, how to accommodate the audience to the world of play comes to be primary concern of performance.   To accommodate the audience to the play world, both theatres tried out new experimentation. In this paper, the new experimentation of both theatres are scrutinized to illustrate the similarities between two theatres. In Fulgens and Lucres and Jindongah Gut, a certain dramatic character plays a role of mediator between the world of play and the real world. In both plays, it is clearly demonstrated that the audience has an overall control over the performance and the moderator, as an actor as well as a member of the audience, are mediating the world of play and the real world of the audience from the viewpoint of the audience.   The Old Wife’s Tale and Jinohgui Gut ar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udience within the audience. The unique dramatic characters, the narrator in The Old Wife’s Tale and the commentator in Jinohgui Gut, dominate the general progress of the performance to a large extent. Both of the characters are neither the characters of the main play nor the audience of the main play. They move from the world of play and the real world, in other word, they are between the two worlds. They sit on the margin of the stage. Thus, the position of these two characters also reinforces their role from the audience’s viewpoint.   Two Shrew Plays are scrutinized to clarify the frame structure of Shakespearean theatre. Even though it is traced that the focus is moved from the audience to dramatic illusion, the audience perspective is still recognized in Shrew Plays. In Korean ground theatre, the general framing structure is very notable: Apuri, Bonpuri and Duepuri. The frame structure of Shakespearean theatre and Korean ground theatre also illustrate that their primary emphasis is put on the audience. Even though two theatres are very different in period and the subject matters, there are lots of similarities when they are approached from the viewpoint of the aud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