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잠재계층분석(LCA)을 이용한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 유형에 관한 연구

        진영선,조아미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잠재계층분석(LCA)을 활용하여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 유형을 살펴보고, 각 유형별로 자기결정성동기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지역의 중․고등학교 청소년 619명이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은 개인의 진로와 관련된 자기 자신 이해 및 탐색, 진로계획 및 결정, 진로정보탐색, 직업정보수집 및 구체적인 직업준비행동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은 4개의 잠재계층 모형이 최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첫 번째 그룹은 진로계획형으로 전체 청소년의 23.4%(145명), 두 번째 그룹은 행동부족형으로 전체 청소년의 13.7%(85명), 세 번째 그룹은 진로미계획형으로 전체 청소년의 9.4%(58명), 네 번째 그룹은 평균형으로 전체 청소년의 53.5%(331명)를 차지하고 있다. 셋째, 진로준비행동 유형에 따른 자기결정성동기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자기결정성동기와 진로준비행동 유형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잠재계층분석을 통해 새롭게 제시된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의 유형별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유형에 따라 각기 다른 진로지도를 해 줄 필요가 있으며, 적합한 진로프로그램 역시 제공해 줄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reer preparedness behavior types of adolescents using Latent Class Analysis(LCA),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self-determined motivation by the career preparedness behavior typ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619 high school students in the Seoul are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preparedness behavior types of adolescents were described as the individual's self understanding, career planning and decision making, career information search, and information gathering and specific vocational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4 latent classes were identified as the most suitable model for the career preparedness behavior types in adolescents. The first group was the career decision behavior type and 23.4%(145), and the second group was the insufficient preparedness behavior type and 13.7%(85) among the subjects. The third group was the career indecision type and 9.4%(58), and the fourth group was the average type, and 53.5%(331) among adolescent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determined motivation according to the career preparedness behavior types. Based on these results, a Latent Class Analysis of career preparedness behaviors types among adolescent through the newly proposed feature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career guidance needs to give, and need to provide a suiable course program also demonstrat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 인지심리학의 이해와 응용 : 교육과 신경인지 Education and Neurocognition

        진영선,이준석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1 社會科學硏究 Vol.7 No.-

        Cognitive psychology is a discipline which tries to delineate and to understand fundamental mechanisms of human thinking. The mechanisms that have been found by cognitive psychologists have such meaningful implications to other areas of social research that they now serve as important frameworks for research of a variety of social phenomena. In the first part of the paper, brief history of how cognitive psychology has evolved is presented in a very schcematic style for who dont have any background in psychology. Secondly, main part of the paper will be devoted to introduce a few basic topics in cognitive field, including attention, memory, schema and metacognition and discuss their implications in a couple of related fields. Finally, current interests both by novice people and experts on neurocognitive approach to human thinking and education is briefly highlighted, although the topics presented are far from exhaustiv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한 동아리활동 참여 수준 변화 및 유형과 특성 분석

        진영선,조아미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6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examine the changes of participation in club activities during adolescence, (2) to classify the latent class types using growth mixture modeling, and (3)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daptation and club activities by the latent classes based on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KCYPS). The following results came up from this study. First, the study observed increase in the participation rate of club activities among 7th grade to 11th grade. Especially, from 9th grade to 10th grade, the rate of club activity participation was almost doubled. While the participation rate of club activities during middle school was about 30%, it increased to approximately 70% during high schools. This implied that club activities in high school was vitalized. Second, the latent classes of club activity were 3. The latent class 1 showed dramatic changes in terms of club activity participation during 7th grade and 11th grade. The latent class 2 and 3 showed different initial status and slope, but there was increase in the participation rate of club activities by getting higher in their grade. Third, the study found difference in relationships between school adaptation and club activity by 3 latent class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limitation and implication were described. 본 연구에서는 아동․청소년패널데이터를 활용하여 (1) 청소년기 동아리활동 참여 수준의 변화를 살펴보고, (2) 성장혼합모형 분석을 이용하여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3) 잠재계층별 학교생활적응과 동아리활동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논의 및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중1부터 고2까지 청소년들의 동아리활동 참여 수준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3에서 고1의 기간 동안 청소년들의 동아리활동 참여 수준 증가는 거의 두 배에 달하였다. 중학교 시절 청소년의 동아리활동 참여 수준은 30%대인 반면, 고등학교 시절에는 70%대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고등학교에서의 동아리활동이 활성화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동아리활동의 잠재계층은 3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계층1은 중학교 때 동아리활동 참여율은 거의 없으나 고등학교에 올라가면서 동아리활동 참여율이 극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잠재계층2와 3은 초기치가 다르고 증가폭이 다르기는 하지만 학년이 올라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셋째, 동아리활동 잠재계층별 학교생활적응과 동아리활동의 관계는 다르게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와 관련하여 제한점 및 연구의 의의를 기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