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방적 동형화 압력이 다국적기업 자회사의 자선활동에 미치는 영향 : 외국인비용과 출신국비용의 조절효과

        박철형,진규호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21 국제경영리뷰 Vol.25 No.2

        현지 정당성 확보를 위한 다국적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CSR)에 관한 연구가 선행연구들을 통해 활발히 이루어져왔음에도 불구하 고, 이에 대한 결정요인으로서 조직필드와 같은 제도적 환경의 영향은 간과되어 왔다. 다국적기업이 직면하는 정당성 문제는 외국기 업이기 때문에 부담하게 되는 정당성 문제와 조직필드의 구성원으로서 직면하게 되는 정당성 문제를 구분해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 에 본 연구는 제도적 환경으로서 자선활동에 대한 조직필드 내 모방적 동형화 압력이 다국적기업의 현지 자선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 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에 진출한 다국적기업 자회사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선활동 수행에 대한 업종 내 동형화 압력은 다국적기업 자회사의 자선활동 수행 확률을 높이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지시장에 진출한 다국적기업이 조직필드 내 구성원으로서 제도적 정당성 확보를 위해 현지 자선활동을 선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외국인비용의 동태성을 나타내는 자회사 업령은 자선활동 수행에 대한 모방적 동형화 압력의 영향 을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령의 증가는 현지시장에 대한 학습과 현지 이해관계자들과의 관계 형성을 통하여 외국인비용과 관 련한 정당성 요구의 감소를 의미하므로 다국적기업이 직면하는 모방적 동형화 압력에 대한 민감도를 낮추게 된다. 셋째, 출신국비용 의 대위변수로서 본국 경제수준과 제도수준이 높을수록, 즉 다국적기업의 출신국비용이 낮을수록 현지 모방적 동형화 압력의 영향이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국적기업의 본국 경제수준과 제도수준이 선진화될수록, 현지 경영관행 도입에 대한 압력이 낮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다국적기업을 조직필드의 구성원으로 간주하고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모방적 동형화 압력에 초점을 맞추어 다국적기업의 현지 사회공헌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을 지닌다. 또한 본 연구는 제도적 동형화 압력에 대한 외국인비용과 출신국비용에 대한 대위변수의 조절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이들이 동형화 압력에 따른 정당성 획득 과정(legitimating processes)을 어떻게 가속화하는지 규명하고 있다. 더불어 본 연구는 다국적기업이라는 실증적 맥락에서 작게는 동형화 압력, 크게는 제도이론과 외국인비용이 “정당성”이라는 개념을 통하여 이론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이론적으 로는 제도이론의 핵심개념인 동형화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다국적기업의 맥락에서 제공하고, 더불어 한국진출 다국적기업의 현지 자선활동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 burgeoning literature on international management examines the antecedents of foreign firm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ctivities. However, little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role of the local country’s mimetic isomorphic pressure in determining foreign firms’ CSR decisions. By drawing on the neo-institutional theory together with the conception of the liabilities of foreignness and origin, this study seeks to fill this void. Using the sample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MNCs) subsidiaries operating in Korea between 2000 and 2016, we find that the mimetic isomorphic pressure increases the subsidiaries’ probability of engaging in corporate philanthropy. We also find that the main relationship is negatively moderated by subsidiary age and its home country’s economic and institutional development. This study adds to the literature in several ways. First, it advances our understanding of foreign firm behavior by situating it in the often neglected institutional environment of the local country. Specifically, it empirically shows the extent to which a foreign firm confronts institutional pressure for isomorphism of the local country. Second, it demarcates the boundaries within which such institutional pressure is in operation by introducing the liability of foreignness and origin as moderators of the mimetic pressure that accelerates or decelerates the foreign firm’s legitimating process in the local country. Last but not least, it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the neo-institutional theory is integrated into the liability of foreignness argument through the conception of legitimacy.

      • KCI등재

        한국진출 다국적기업 자회사의 업령이 자선활동에 미치는 영향: 동태적 외국인 비용 관점

        박철형,진규호 한국전략경영학회 2019 전략경영연구 Vol.22 No.3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has attracted scholarly attention as a strategic means to mitigate the liability of foreignness facing multinational corporations (MNC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nure of MNC subsidiaries in the host country and corporate philanthropy and conducts an empirical analysis using the sample of MNC subsidiaries founded in Korea during periods between 2002 and 2016. The results reveal that the relationship represents an inverted U shape, suggesting that corporate philanthropy initially increases with the tenure, but reverses itself at higher levels when the liability of foreignness is alleviated enough at which point corporate philanthropy is no longer required as much. We hold that this is because both the liability of foreignness confronting newly founded MNC subsidiaries and their ability to address the liability change over time. We also find that this main relationship is moderated by advertising intensity, such that the underlying legitimating process is both accelerated and reinforced at the same time as advertising intensity increases. This finding implies that advertising serves as a double-edged sword: increasing sales at the cost of triggering the social sensemaking process that heightens the legitimating pressure for MNCs by raising visibility of their profit-maximizing behaviors. This study contributes to literature by shedding light on how CSR activities of MNCs purported to address the liability of foreignness can change dynamically with reference to organizational attributes. 다국적기업의 현지 사회공헌활동은 외국인 비용을 극복하고 현지사회로부터 정당성을 획득할 수 있는 전략적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다국적기업 자회사의 업령에 따른 외국인 비용의 변화와 현지 자선활동 간의 동태적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한국진출 다국적기업 자회사의 2002년부터 2016년까지 기부금 지출 자료를 이용해 실증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다국적기업 자회사의 업령은 자선활동과 역U자(inverted U shape)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회사 설립 이후 자회사 업령과 자선활동이 정(+)의 관계를 가지다가 일정 시점부터는 업령과 자선활동이 부(-)의 관계로 전환되는 것이다. 이는 다국적기업 자회사의 업령에 따라 외국인 비용 극복을 위한 자선활동 수행의 필요성과 능력 모두 동태적으로 변화함을 의미한다. 또한, 자회사의 광고집중도는 자회사 업령과 자선활동 간의 관계를 더욱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집중도가 높을수록 정당성 획득 압력이 증가하여 자선활동 수준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정당성 획득 과정(legitimating processes) 또한 가속화되어 외국인 비용 극복 시점이 빨라지는 것으로 확인된다. 본 연구는 외국인 비용 극복의 동태적 메커니즘에 주목하여 현지 정당성 획득을 위한 다국적기업 자회사의 자선활동이 업령에 따라 어떻게 증감하는지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미를 가진다. 또한 본 연구는 한국진출 다국적기업 자회사의 자선활동 결정요인을 자회사 조직특성변수를 중심으로 실증분석함으로써 정책적·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