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수자원 계획평가를 FAHP 의사결정기법의 적용

        최은혁 ( Eunhyuk Choi ),배상수 ( Sangsoo Bae ),이은성 ( Eunsung Lee ),지홍기 ( Hongkee Jee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농업용 저수지의 수자원계획 평가를 위해서는 공급자와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여 최종의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다수의 대안과 속성을 동시에 고려해서 최선의 대안을 선택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자원계획 평가항목에 대한 가중치 및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퍼지집합이론을 이용하여 요인들 간의 현실적 인과관계를 고려하여 최종 대안을 선정하는 방법론인 Fuzzy Analytic Hierarchy Process (FAHP) 기법을 적용하여 각각의 대안들에 대한 우선순위를 정하였다.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분석을 위해 평가항목의 선정은 크게 경제적, 물리적, 그리고 환경적 측면에서 저수지 추가저수량 확보시 고려해야 할 항목을 선정하였으며 평가자의 일관성 확보를 위해 평가항목은 7±2개의 범위에서 최소한의 항목을 선정하였다. 또한, 분석을 위한 응답결과의 신뢰도향상을 위해 대상 저수지의 지형적·환경적·사회적·경제적 특성에 대한 사전지식이 풍부한 수자원 설계 및 관리경력 10년 이상의 전문가그룹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의사결정 방법에 따른 분석결과 AHP와 FAHP에 의한 우선순위 산정시 설문응답 결과에 따라 각 항목별 가중치 편차가 발생하였으며, 이는 설문 응답자들의 언어적 판단에 따른 주관성 및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정량화시킨 Fuzzy 접근방법과 이를 고려하지 않는 Non-Fuzzy AHP 방법과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평가기준 및 대안의 수가 많아질수록 의사결정문제에서 나타나는 판단 및 평가의 모호성과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구조적인 한계점을 내포하는 기존의 AHP 기법을 보완하기 위해 삼각퍼지수를 이용하여 평가기준 및 대안간 쌍대비교 결과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고, 이를 통해 수자원계획 평가를 위한 보다 현실적인 의사결정과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뿐만 아니라 향후 FAHP 기법은 인간의 언어적 판단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모호성과 불확실성을 다양한 방법으로 고려하여 기존 AHP 분석의 신뢰도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며 주관적인 환경에서의 의사결정과정을 정량화·계량화하여 보다 합리적인 평가모델로써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 추가저수량 확보 우선순위 산정을 위한 의사결정모형

        최은혁 ( Eunhyuk Choi ),이현구 ( Hyungu Lee ),심좌근 ( Jwageun Sim ),지홍기 ( Hongkee Jee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수자원계획 평가를 위한 의사결정과정에서 유역 내외의 이해관계자 및 의사결정자들의 상충되는 의견들이 수자원의 개발 및 유지관리 계획에 부합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유역의 수자원 이용과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수문, 수질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 및 환경적인 요인들을 고려한 평가지수 및 평가절차가 필요하다. 또한, 의사결정자의 의사결정과정에서 여러 기준 및 속성의 상대적 중요도인 가중치를 정확히 계산하는 것은 만족할 만한 의사결정 결과 또는 최적의 의사결정 결과를 얻기 위해 필수적인 것이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의사결정자의 입장에서 여러 가지 대안 중 어떤 것이 자신의 문제해결에 가장 적절한 것인지 알 수 없다면 상당한 혼란이 초래될 수 있으므로 이를 해소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을 마련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큰 의의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분석을 위해 경제적, 물리적, 그리고 환경적 측면에서 저수지 추가저수량 확보시의 고려사항을 평가항목으로 선정하였으며 평가자의 일관성 확보를 위해 평가항목은 7±2개의 범위에서 최소한의 항목을 선정하였다. 또한, 분석을 위한 응답결과의 신뢰도향상을 위해 대상 저수지의 지형적·환경적·사회적·경제적 특성에 대한 사전지식이 풍부한 수자원 설계 및 관리경력 10년 이상의 전문가그룹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뿐만 아니라 수자원 계획수립의 다기준 의사결정문제에 대해서 평가요인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인 가중치 결정을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내용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평점모형, AHP, FAHP, PROMETHEE 및 PROMETHEE-AHP 혼합모형을 적용하여 각 분석기법별 비교·검토를 통해 기존 의사결정기법의 단점을 개선하고자 하였으며, 농업용 저수지 수자원 계획수립을 위해 안정성, 경제성, 환경성, 사회성 등을 고려한 평가지표를 제시하고 선정된 평가기준에 따라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가중치산정 과정을 통해 보다 객관적인 의사결정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 GIS를 이용한 유출시뮬레이션에 관한 연구

        김민영,지홍기,이순탁 嶺南大學校 環境問題硏究所 1999 環境硏究 Vol.19 No.1

        요약문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재래적인 방법에 의해 모의된 수문곡성과 GIS를 이용한 자료를 바탕 으로 모의된 수문곡선을 실제 수문곡선과 비교함으로써 수문학에 있어서 GIS의 적용성을 검토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결과를 바탕으로 두 방법을 통한 지형인자산출의 비교를 통 해 탱크모델의 매개 변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강우-유출 모델에 있어서 모델을 개발하거나 하나의 모델을 선정하는데는 사용목적의 적합 성, 구조의 단순성, 사용의 용이성 및 최소한의 입력자료 등을 생각하여 결정할 필요가 있 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다른 모델들에 비해 유출량을 추정하는데 있어서 구조의 단순성과 적은 양의 입력자료가 요구되는 점에서 탱크모델을 선정하여 IHP대표시험유역인 위천유역에 적용하였다. Abstract In this study, application of in runoff simulation is examined through the comparison of hydrographs which are simulated by classical method from GIS based data with actual hydrograph, and correlarion with parameters of tank model is analyzed through comparison of physiographic factors by two methods above on the base of the result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mpatability of purpose, the simplicity of structure, the convenience of usage, and minimum input data for developing a new model or selecting one model among various rainfall-runoff models. Based on this idea, this study selectstank model for it requires simpler structure and input data than dther models in estimation of runoff capacity and applies it to Wichun basin which is the representative area of IHP.

      • 雨水利用 시스템의 設計 및 運營技法의 開發

        전인배,김효준,지홍기,이순탁 영남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2000 環境硏究 Vol.19 No.2

        본 연구는 도서지역의 용수공급을 위한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해수의 담수화 방안, 상수도 이용방안 및 우수의 생활용수 이용방안 중에서 경제적, 지형학적으로 이들 지역에 가장 적합한 대체 수자원으로서 우수이용 시스템을 제시하고 재래적인 우수이용방법을 개선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제주도지역을 대상지역으로 선정하고 그 대상지역의 실제 강우 및 생활용수자료를 개별 우수이용 시스템과 공동 우수이용 시스템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본 시스템을 설계하였고 Bayes-Markov분석을 통하여 대상지역 강우량의 사후확률을 결정하여 운영자의 의사결정 기준으로 제공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rainwater harvesting system that is the most appropriate with the economical and topographical features among the usage of sea water, reuse sewage, and rainwater. Improving the inefficient domestic usage of rainwater in island is the anther purpose of this study. To accomplish this purposes, Cheju island was chosen as case study and the design for the roof area and tank size of rainwater harvesting system were performed by the result of the simulation of the private rainwater harvesting system and the public rainwater harvesting system with the actual precipitation and domestic water data. The posterior probabilities of rainfall at study area have been carried out by the Bayes-Markov analysis to offer the standard of decision ma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