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밥 의식 탐구 - 중앙일보 ‘시가 있는 아침’의 ‘밥의 시학’ 특집을 중심으로

        지현배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07 국어교육연구 Vol.0 No.41

        A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bab (boiled rice)’ in special poetic columns about ‘bab’ on daily newspaper and brighten the way how 'bab' has cultural meanings to the Koreans. To the Koreans, ‘bab’ keeps the central part of mentality. On this point, the poems that sing ‘bab’ are effective pathways to investigate the real state of Korean live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mentality. The result of investigation shows that ‘bab’ is a thing that heals wounds and troubles of the usual Koreans. ‘bab’ reminds a memory of hunger but it heals the wound. And a huger amplifies troubles in front of temptations of foods but ‘bab’ enables to overcome the temptations. And to the Koreans, ‘bab’ is a thing that sublimates the pain of routine lives to the world of rationality. ‘Bab’ is not only the main body of the most intense desire but also the starting point of temperance and share. And a meal of ‘bab’ makes a ground of meeting and leaving but new start begins through it.지현배소속: 금오공과대학교주소: [706-032] 대구시 수성구 수성2가 수성우체국 사서함 79호전화: 017-522-6808전자우편: jissam@hanmail.net

      • KCI등재

        현대시 작품을 통해 본 동학의 코드

        지현배 동학학회 2016 동학학보 Vol.0 No.39

        Code of Donghak on Korean Modern Poetry Hyun-bae J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odes in Donghak-related Korean modern Poetry. Donghak has many faces such as thoughts, religion, and revolution, and researchers have done discussions on various views. The subjects of this study is Donghak-related works among Korean modern literary ones. The works on 'Ode to Hwangtohyun' are focused and other works are covered comprehensively on demand. Main subjects on the literary works, the intention of a writer that was revealed on works, and the result of internal imagery of the work are main subjects of discussion.  Among Donghak-related works, there was a work focusing on the value of ‘life’.Innaecheon (the human is the heaven) is a movement of life recovery, and it is related to saving human movement. Donghak starts from an enlightenment about life, and self-awareness and practice about human life are center of it. It is characterized by an idea of life that reorganizes creatively the principles of life in Confucianism, Buddhism, the thoughts of Laotzu, and Christianity. Not only ‘life’ but also the will to ‘freedom’consists important network of meaning. Freedom makes the same context with equality etc, it is revealed with relation to hoping returning to human nature on Donghak-related works.  And the practice about ‘human being’ was extracted as a core code. This is connected to Suwoon Choi Jae Woo’s enlightenment. Serving is a core of ‘Sicheonju (Serving god within me)’, awareness about human being is within it. The human rights and human dignity are universal principles that are found not only in the orient but also in western renaissance and civil revolution. These codes were reproduced in independence movement and democracy movement in modern Korean history. It was found that the spirit of Donghak penetrates modern history. 이 논문은 한국 현대시 작품과 관련된 동학의 코드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동학은 사상, 종교, 혁명 등의 여러 측면이 있고, 연구자들도 그간 여러 관점에서 논의를 진행했다. 이번 연구의 대상은 한국 현대문학 작품 중에서 동학 관련 시다. 『황토현에 부치는 노래』에 실린 작품을 중심으로 하되 필요에 따라 다른 문헌의 것도 포괄적으로 다루도록 한다. 대상이 된 문학 작품에서 중심 소재로 다루어진 것과 작품에 드러난 작가의 의도, 그리고 작품 내적 형상화의 결과 등이 논의의 중심이다. 동학 관련 작품에서 ‘생명’에 대한 가치를 중심에 둔 작품이 있었다. 인내천(人乃天)은 생명 회복 운동에 다름 아니고, 그것은 활인(活人) 운동과 관련되었다. 동학이 생명에 대한 깨달음에서 출발하고, 인간의 생명에 대한 자각과 실천이 그 중심에 있다는 것이다. 이는 유교나 불교, 노장 사상, 기독교 등의 생명 원리를 창조적으로 재편한 생명 사상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생명과 함께 ‘자유’에 대한 의지도 중요한 의미망을 형성하고 있었다. 자유는 평등 등과 같은 맥락을 형성하는데, 동학 관련 작품에서 본성에 돌아가려는 것 등과 연관되어 나타났다. 또한 ‘인간’에 대한 실천이 핵심 코드로 추출되었다. 이는 수운 최제우 선생의 깨달음과도 연결되는 것이다. ‘시천주(侍天主)’는 섦김을 핵심으로 하는데, 여기에 인간에 대한 인식이 담겨 있다. 인간의 권리, 인간의 존엄 등은 동양은 물론이고 서구의 르네상스나 시민 혁명 등에서도 찾을 수 있는 보편적인 원리이다. 이들 코드들은 한국 근대사에서도 독립운동과 민주화운동 등에서 재현되었다. 동학 정신이 근대사를 관통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정완영의 시와 동학 소재 시의 코드 비교

        지현배 동학학회 2017 동학학보 Vol.0 No.42

        This paper attempts to compare the codes extracted from Korean contemporary poetry with subjects of Donghak and the codes revealed by the Jung Wan-young's works who represents Gimcheon district's artists.Pheonomenology is based on the belief that we can be resolve problems themselves by recognizing the essence of human consciousness. It has position of "a common perception of the contemporary spirit of each age" and "individual thoughts and feelings must be wrapped in this universal consciousness." It has the characteristic that it opens the way to see the universal spirit of the age through the writer. Personal consciousness is a part of society's universal consciousness at that time, and its distictivenesses are a unique interpretation of the common thoughts of the times. The comparison of the codes in poetry between Donghak and Baek Su Jeong Wan - Young was performed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reduction methodology. The codes extracted from modern poetry with subjects of Donghak and Jeong Wan - young's works are summarized as follows. Baek Su's works which attachment to the source and tradition expressed as hometown, was comfirned to be related to the works with subjects of Donghak which has stress on life and nature and emphasize the succession of the spirit. In addition, the world of Baeksoo's works that expressed the love of family and wife and unchanging interest in homeland, is could be confirmed that it is overlapped with the codes of Donghak which raises criticism of practical problem and difficulty of human being. In addition, Baeksoo 's efforts to change and develop the genre of traditional three-verse (Korean poem)with the force of not stopping creativeinnovation appeared to be in agreement with the Donghak's that showed passion for the change of freedom and equality. 이 논문은 동학 소재 한국 현대시 작품에서 추출한 코드와 김천 지역을 대표하는 작가 백수 정완영 선생의 작품에 드러난 코드를 비교하는 것이다. 현상학은 인간의 의식 속에 드러난 본질을 인식함으로써 사태 자체를 해결할 수 있다는 믿음에 기초한 것이다. “각 시대마다 동시대의 정신에 공통적인 인식” 이 있고, “개인의 사고나 감각은 이 보편적인 의식 속에 감싸여 있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는 작가를 통해서 그 시대의 보편적 정신을 바라볼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는 점이 특징이다. 개인의 의식은 그 시대 그 사회의 보편적 의식의 일부이며, 그 특수성은 그 시대의 공통적인 생각에 대한 독특한 해석이 된다. 현상학적 환원이라는 방법론을 통해 동학과 백수 정완영의 코드 비교를 진행하였다. 동학 소재 현대시 작품에서 추출한 코드와 정완영 선생의 작품에서 드러난 코드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근원과 전통에 대한 애착이 고향으로 표현된 백수의 작품은 생명과 본성을 중시하며 정신의 계승을 강조하는 동학의 코드와 연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가족과 아내에 대한 애정과 조국에 대한 변함없는 관심이 표현된 백수의 작품 세계는 인간의 실천 문제 고난의 현실에 대한 비판으로 이어지는 동학의 코드와 겹쳐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창의적 혁신을 멈추지 않은 동력으로 시조 장르의 변화와 발전을 모색한 백수의 노력은 자유와 평등으로 변화의 열망을 보인 동학의 코드와 맥락을 같이 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안도현의 『서울로 가는 전봉준』에 나타난 코드 연구

        지현배 동학학회 2014 동학학보 Vol.0 No.31

        이 논문의 목적은 안도현 시인의 『서울로 가는 전봉준』에 나타난 코드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시집 『서울로 가는 전봉준』에 실린 작품들이다. 주요 작품들은 <사월>, <초소에서>, <낙동강>, <젊은 북한 시인에게 1>, <부여 기행> 등과 시인의 데뷔작인 <서울로 가는 전봉준>이다. 연구 과정에서 이들 작품에 투여된 코드를 밝히고자 하였다. 일정한 대상에 부여하는 무의식적인 의미인 ‘코드’는 정보를 인식하는 방식이며, 경험과 감정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각인은 사고의 과정을 규정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연구의 결과 『서울로 가는 전봉준』의 코드는 ‘분열’과 ‘대립’, 그리고 ‘통합’과 ‘화해’였다. 이들은 한국의 1980년대라는 토대 위에서 생성된 것이었다. 한국 현대사에서 1980년대가 차지하는 비중이 적지 않은 점에서 본다면, 안도현의 시에서 1980년대는 ‘분열과 대립’으로 대표되었다. 1980년대에 대한 이러한 현실 인식은 ‘통합과 화해’를 지향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것은 ‘회귀’의 형태로 표현된 점이 특징이었다. 안도현 시인이 표현하고 있는 이런 태도는 신동엽의 시론에서 보여준 ‘귀수성(歸數性)’의 개념과도 맥을 같이 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서울로 가는 전봉준>의구조와 글쓰기 방식 연구

        지현배 동학학회 2014 동학학보 Vol.0 No.3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structure of the work and thewriting style used in <Jeon Bongjun who goes to Seoul>. The subject of thisresearch is centered around <Jeon Bongjun who goes to Seoul> on poetAn Dohyeon’s first book of the poet 『Jeon Bongjun who goes to Seouljeonbongjun』. Not only for determination the structure of the work but alsofor clarification of the features used in writing the work, starting point of thisresearch is a review of the notes of the poet on the circumstances at the time ofcreation <Jeon Bongjun who goes to Seoul>. The motif of the work, intentionof the writer at the time of creation and the phases of the times were exploredon the basis of the poet’s statement. The second chapter is about features of the world that is drawn on the work. It was explored focusing on the communication and given means betweena photographer and a creator of the poem that produced in intermediationof one picture with staggered in a century. For revealing the structure of thework, the main conceptional words that used in the work and coherence of thework were looked around. The third chapter is centered on the writing styleembodied on the work. For investigation of features that revealed on the writingstyle, historical facts and the poet’s literary devices were reviewed concretel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word ‘is forcibly brought’ in ahistorical record ‘Jeon Bongjun who is forcibly brought to Seoul’ has beenreplaced by the neutral expression ‘goes’ .The work is consist of total six units,and three units of meanings, that could be orgnizied as ‘a gap in the spirit ofthe age’, ‘growing abilities of the people’, and ‘expression of the future value’. And the poet’s imagination established ‘Snow’ on the historical fact of that Jeon Bongjun who is arrested and goes to Seoul. Contemporary people’s willand recognition of the writer were overlapped and evident on the work. Thefeatures which intersect the voice of the people and the voice of the writer werefound. 이 논문의 목적은 <서울로 가는 전봉준>의 작품 구조와 이 작품에 쓰인 글쓰기 방식을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안도현 시인의 첫 시집인『 서울로 가는 전봉준』에 실린 작품 중 <서울로 가는 전봉준>을 중심으로 한다. 작품의 구조를 파악하고자 하는 한편 작품에 쓰인 글쓰기 특징을 밝히고자하는이번 연구의 출발점은 <서울로 가는 전봉준>을 창작할 당시의 상황에 대한시인의 노트에 대한 검토이다. 시인이 진술하고 있는 내용을 토대로 하여 작품 창작의 모티브와 창작 당시의 작가의 의중, 그리고 시대상을 탐구하였다. 작품에 그려지고 있는 세계의 특징을 살핀 것이 제 2장이다. 한 장의 사진을 매개로 생성되는, 한 세기의 시차를 두고 사진의 촬영자와 시의 창작자 사이에 벌어지는 소통과 그것에 부여된 의미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작품에동원된 주요 개념어들, 그리고 작품의 맥락을 살핌으로써 작품의 구조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제 3장에서는 작품에 구현된 글쓰기 방식을 중심으로살폈다. 역사적 사실과 작가의 문학적 장치들을 구체적으로 살핌으로써 작가의 글쓰기 방식에 드러난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서울로 가는 전봉준>에서 역사적 기록인 ‘서울로 압송되는 전봉준’이 작품에서는 ‘압송’ 대신 ‘가는’이라는 가치중립적인 표현으로 대체되었음을 발견하였다. 작품은 총 6연으로, 3개의 의미 단위를 이루고 있었는데,그것은 ‘시대 정신의 괴리’, ‘민중 역량의 성장’, ‘미래 가치의 투영’으로 정리할수 있었다. 그리고 전봉준이 체포되어 서울로 가는 역사적 사실에 작가의 상상력으로 ‘눈[雪]’이 설정되었다. 작품에는 당대 민중의 의지와 작가의 인식이겹쳐지며 드러나고 있었다. 민중의 소리와 작가의 목소리가 교차되는 특징을발견하였다.

      • KCI등재

        <타는 목마름으로>에 나타난 동학의 코드

        지현배 동학학회 2017 동학학보 Vol.0 No.4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code of Donghak that appeared in <With a Burning Thirst>. It is a work of poet Kim Ji-ha in the 1980s that formed the important node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n Korea. The poet Kim Ji - ha is a poet who can not be omitted when discussing the 1980s, and has influenced the history of literature, ideology, and movement. This work contains the images of the time of '80s', expressing the emotions of the times and presenting the tasks at the same time. This work is typical of the 1980s and can be regarded as one of an excellent singing of modern Korean poetry.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follows. Three codes of freedom, life and human that revealed through a study of Donghak 's code in the works of modern Korean poetrywere compared with that in the <With a Burning Thirst>. This study is focusing on extracting codes inherent in <With a Burning Thirst> that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With a Burning Thirst> was a symbol of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in the 1980s and was also a life-recovery movement. In Donghak, awareness of human life and its practice are important values. Also, the will to freedom is an important value in Donghak.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revealed that the code revealed in <With a Burning Thirst> exists in common with the code of 'freedom, life, human' revealed by the code of contemporary poetry based on Donghak. It was found that the value given in Donghak for 'Human, Life and Freedom' functions in the same context in the <With a Burning Thirst>. In this respect, it was revealed that the code revealed through the works of modern poetry based on Donghak and the code of this work were shared. 이 연구의 목적은 <타는 목마름으로>에 나타난 동학의 코드를 밝히는 것이 다. <타는 목마름으로>는 김지하 시인의 작품으로 우리나라 근현대사의 중요한 마디를 형성한 1980년대의 작품이다. 김지하 시인은 1980년대를 논할 때 비켜갈 수 없는 시인이며, 문학사나 사상사, 그리고 운동사의 면에서 두루 영향을 끼친 인물이다. 이 작품은 ‘80년대’라는 시대의 모습을 담고 있으면서 그것을 통해 시대의 정서를 표현하고 동시에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이 작품은 1980년대의 전형이면서 한국 현대시의 절창의 하나라고 평가될 수 있다. 이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국 현대시의 작품에서 동학의 코드를 연구한 논문에서 밝혀진 ‘자유와 생명과 인간’의 세 코드와 <타는 목마름으로>의 코드를 비교하는 것이다. 이 논문의 연구 대상인 <타는 목마름으로>에 내재한 코드를 추출하는 것이 연구의 중심이다. <타는 목마름으로>는 1980년대 민주화 운동의 표상이면서 생명 회복 운동이기도 했다. 동학에서 인간의 생명에 대한 자각과 그것의 실천이 중요한 가치이다. 또한 자유에 대한 의지도 동학에서 중요한 가치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타는 목마름으로>에서 밝혀진 코드가 동학을 소재로 한 현대시 작품의 코드로 밝혀진 ‘자유, 생명, 인간’의 코드와 공통으로 존재함이 드러났다. ‘인간과 생명과 자유’에 대한 동학에서의 가치 부여가 <타는 목마름으로>에서 같은 맥락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런 점에서 동학을 소재로 한 현대시 작품을 통해 드러난 코드와 이 작품의 코드가 공유됨이 드러났다.

      • KCI등재

        신동엽 시에 나타난 동학사상과 글쓰기 방식-『 이야기하는 쟁기꾼의 大地』를 중심으로

        지현배 동학학회 2013 동학학보 Vol.0 No.27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explored Shin Dong Yeop's writer consciousness and subjects appeared in <Mother earth of story telling plowman(이야기하는 쟁기꾼의대지)> and tried to reveal the relevance of the poet, his works and Donghak spirit. Shin Dong Yeop is a poet who forming a large stem of our poetry in the 1960s, and recognized as leading writers of Korean participant poets with Kim Soo Young, by published works that present contemporary challenges based on subjective historical perceptions and historical facts. Several his works such as long epic <Geumgang(river)> which is known as a masterpiece have contained the basic idea of Donghak such as ‘Innaecheon(Me and the universe trinity)’. The results of this paper, through the study of the writer consciousness and the subject of the works, showed that his works had been projected 'Gaebyeok' spirit on the basis of innovativeness and eternity. And after reviewing his works focusing on writer consciousness which is the base of making works, the researcher I found Donghak's ideal country construction spirit that features on homing instinct and the ideas of this life that constructs heaven in the ground. And the poet's attempts to lyrical innovation for exploring new genres such as the feature-length epic was taken a look. Mix-up of the genre that is characterized by lyrical type of narrative deployment were combined organic rather than a simple copolymer, where relevance with Donghak spirit attempted to explore the creative grope based on reality could be found. 이 논문에서 연구자는 신동엽의 작가 의식과 <이야기하는 쟁기꾼의 대지>에 나타난 주제를 탐구함으로써 시인, 그리고 시인의 작품과 동학 사상과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신동엽은 1960년대 우리 시단의 큰 줄기를 형성한 시인으로, 역사에 대한 주체적 인식과 역사적 사실을 토대로 시대적 과제를 제시하는 작품을 발표해서 김수영과 함께 우리나라 참여 시인의 대표적인 작가로 평가 받고 있다. 시인의대표작으로 알려진 장편 서사시 <금강> 등 그의 여러 작품에 ‘인내천’ 등 동학의 기본 사상이 담겨 있기도 한다. 이 논문을 통해 작품의 주제와 작가의식을 연구한 결과, 그의 작품에는 혁신성과영원성을 토대로 하는 ‘개벽정신’이 투영되어 있었다. 그리고 작품 생성의 토대가 되는 작가 의식을 중심으로 검토한 결과 회귀성과 지상에서의 천국을 건설한다는 현세성을 특징으로 하는 동학적 이상국가의 정신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장편 서사시 등 새로운 장르에 대한 모색으로 서정시의 혁신을 시도한 시인의 시도를 살폈다. 서정적 형식의 서사적 전개를 특징으로 하는 장르의 혼효는 단순 합체가 아닌유기적 결합이었으며, 여기서 현실을 토대로 창조적 모색을 시도한 동학 정신과의연관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에듀테크 기반의 글쓰기 수업 설계

        지현배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0 리터러시 연구 Vol.11 No.4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a model that applies adaptive learning to writing subjects. Adaptive learning can be realiz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Edutech. In this model, instructor intervention is minimized in the learning process of a learner. Additionally, the learner’s learning content and scores are recorded and shared by students and instructors. Through this, the learner can be informed of their score, and the instructor can personalize the feedback through the score. The learning process will follow a custom designed track. This means that learners will be provided with suitable learning tools, which will be possible because the learner's learning process will be measured according to a consistent criterion and a system that determines the level of next learning. It is learnerfriendly compared to completing the same track for all learners with predetermined content. Since it is customized to reflect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the efficiency of learning also improves. This model can be customized for learners even if there are multiple learners. Learning takes place according to pre-designed steps and practice tools at each level, and the instructor can become a model while focusing on the feedback on learning results. Through this, the classroom can be turned into a discussion center, where questions and answers, thoughts and discussions are the main features. It can be used effectively in face-to-face classes as well as in non-face-to-face classes.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for learners to master basic skills by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Due to the learning information, customized education for students can be elaborated. This method can only succeed through content development. These include setting goals for the curriculum and developing diagnostic tools. The collaboration of the instructor community is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learning content and research of teaching methods. 이 논문의 목적은 적응형 학습을 글쓰기 교과에 적용하는 모형을 소개하는 것이다. 적응형 학습은 에듀테크의 발전을 통해서 실현할 수 있게 된 것이다.이 모형에서는학습자의 학습 과정에 교수자의 개입이 최소화된다.그리고 학습자의 학습 내용과 점수가 기록되어,학생과 교수자가 그것을 공유한다.이를 통해서 학습자는 자기 점수를 알 수 있고,교수자는 점수를 통해 피드백을 학생 맞춤형으로 할 수 있다. 학습의 과정은 맞춤형으로 설계된 트랙을 따르게 된다.이는 학습자에게 적합한 학습 도구가 제공되는 것을 의미한다.이것이 가능한 것은,학습자의 학습 과정이 일관된 기준에 따라서 측정되고,그것이 다음 학습의 수준을 결정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이다.미리 결정된 내용으로 학습자 전체가 동일한 트랙을 이수하는 것에 비해서 학습자 친화적이다.학습자의 특징이 반영된 맞춤형이 되므로,학습의 효율도 개선된다. 이 모델은 학습자가 많은 경우에도 학습자 맞춤형으로 운영할 수 있다.학습은 미리 설계된 단계와 각 레벨에서의 연습 도구에 따라 이루어지고,교수자는 학습 결과에 대한 피드백에 주력하는 모델이 될 수 있다.이를 통해서 강의실은 토론 중심으로바뀔 수 있다.질문과 대답,생각과 토론이 주된 모습이 된다.대면 수업에서는 물론이고,비대면 수업에서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것이 가능한 것은,ICT를 활용하여 학습자 스스로 기본능력을 숙달하는 것이기때문이다.학습정보 덕분에 학생 맞춤형 교육이 정교하게 될 수 있다.이 방법의 성공은 콘텐츠 개발을 통해서 이룰 수 있다.이들은 교과의 목표 설정과 진단 도구의 개발을 포함한다.학습 콘텐츠의 개발과 교수 방법의 연구를 위해서 교수자 공동체의 협업이 요구된다.

      • KCI등재

        ICT 활용 글쓰기 피드백 시스템의 현황과 전망

        지현배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7 리터러시 연구 Vol.- No.2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clinic system implemented on the web in college writing education, and to discuss with experts about its utilization plan and improvement plan. The reason for focusing on ICT-based systems is that it is the most appropriate form to serve as a tool to capture big data and collective intelligence. The sequence of the discussion examines the development background of the web-driven feedback system, examines the specific functions of the system, and then reviews the educational performance using the system. And suggestions for expanding and improving the utilization of ICT - based feedback system. We have come to the conclusion that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item of the annotation in the writing education and to develop the manual of the standard of the annotation and the method of the guidance. The system that is developed for this purpose and used mainly in the Dongguk University Gyeongju campus is based on standardization of diagnosis and customized prescription. This contributes to ‘universal education’ and ‘scientific teaching method’. It is used at Konkuk University’s local campus, Soongsil University, Hoseo University, and Handong University. The use of this system allows standardized feedback and reduces the time spent on clinics by a third. The challenge is to add process-based feedback and improve it for use in various devices. 이 논문의 목적은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웹 상에서 구현되는 클리닉 시스템에 대한 현황을 점검하고, 그것의 활용 방안과 개선안에 대하여 전문가들과 숙의하기 위한 것이다. ICT기반 시스템을 중심에 두는 이유는 이것이 빅데이터와 집단지성을 담아내는 도구로서 역할을 하기에 가장 적절한 형태이기 때문이다. 논의의 순서는 웹에서 구동되는 피드백 시스템의 개발 배경을 검토하고, 시스템의 구체적인 기능을 살핀 뒤에 시스템을 사용하여 교육한 성과를 검토한다. 그리고 ICT 기반 피드백 시스템의 활용 방안의 확장 및 개선을 위한 제언으로 구성된다. 글쓰기 교육에서 첨삭의 항목을 설계하고, 첨삭의 기준과 지도의 방법을 담은 매뉴얼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이를 위해 개발되어 현재 동국대 경주캠퍼스를 중심으로 사용되는 시스템은 진단의 표준화와 맞춤형 처방을 기반으로 한다. 이는 ‘보편 교육’과 ‘과학적 교수법’에 기여한다. 건국대 글로컬캠퍼스, 숭실대, 호서대, 한동대 등에서 사용하고 있다. 이 시스템의 사용으로 표준화된 피드백을 시행할 수 있으며, 클리닉에 소요되는 시간이 1/3로 줄었다. 과정 중심의 피드백 기능을 추가하고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활용할 수 있게 개선하는 것이 과제이다.

      • KCI등재

        에듀테크 기반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목표

        지현배,임택균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12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what should be the appropriate goal in college writing education. Edutech-based writing education is the main target, and the goal is to seek appropriateness. Subject education and non-subject education have different purposes and different contents, so the form of education should be different. With that in mind, we will conduct research in a way that reflectively considers realistic goals in actual education and the forms of education to achieve them. As a result of the discussion, it was reached the conclusion that the goal of writing education in universities needs to be divided into 'enhancing the completeness of documents' and 'nurturing the writing ability of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