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엔트로피모형을 이용한 거리조락(distance-decay)의 추정

        지해명(Haemyoung Ji),백기창(Gichang Baek),황성일(Chengri Huang)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8 사회과학연구 Vol.47 No.2

        집적ㆍ외부성의 거리조락 현상은 공공재의 입지 및 공급규모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경제규모별로 달라지게 되므로 지역개발정책의 차별화 필요성을 제기하게 된다. 1995~2000년간 지역간 교역의 추정결과에 따르면 1995년에 비하여 2000년 에 거리조락이 비교적 심화된 것으로 나타난다. 경제총량(GRDP)을 기준으로 보면 GRDP가 큰 지역일수록, GRDP 성장규모가 클수록 거리조락 현상이 심화되는 현상을 보이며, 경제규모가 작고 총량의 증가규모가 작은 지역일수록 거리조락 현상이 완화되는 경향을 발견하게 된다. 이를 포괄적인 지역개발정책과 연계하면 경제규모가 큰 지역일수록 독자적인 지역개발정책을 구사하는 것이 비용측면에서 효과적이며, 경제규모가 작은 지역일수록 공공재의 입지결정에서 다른 지역과의 공간적 연계가 고려되어야 할 변수로서 대두된다. 이러한 요인이 고려될 경우 정책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며, 지역의 수요변화에 따른 누출규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보일 수 있을 것이다. Distance-decay influences on the location and coverage of public goods, thereby effects the effectiveness of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Based on the result of the trade estimation between 1995 and 2000, distance-decay was intensified during the period in Korea, particularly in the larger regions with respect to GRDP. The phenomena were lessened in the smaller regions. With relation to regional economic policy, larger regions had better make their development policy independently with other regions for decreasing development cost. Smaller regions may adopt development strategies linked with related regions in determining the location and the coverage of public goods. This approach may decrease the leakage of own injection and enhance the effectiveness the development policy.

      • KCI등재

        외생물가모형과 내외생변수전환 물가모형에 대한 비판 : RS 물가모형의 제안

        지해명 ( Haemyoung Ji ) 한국경제통상학회(구 한국경상학회,한국국민경제학회) 2017 경제연구 Vol.35 No.2

        산업연관승수를 기반으로 하는 외생물가모형(exogenous price model)과 내외생변수전환 물가모형(mixed exogenous-endogenous variable price model)의 이론적 정합성과 현실설명력을 평가하였다. 외생물가모형은 외생화되는 산업만큼 내상부문이 작아지므로 산업연관관계가 포착되지 못하며, 물가변화를 과소추정하는 경향을 보인다. 내외생변수전환 물가모형은 내생부문은 산업연관표와 동일하게 유지되지만 인관관계가 바뀜에 따라서 전환되는 산업의 물가는 고정되는 현상이 수반된다. 대안으로 이론적 정합성을 가지며, 산업연관표의 내생부문을 유지하여 산업간 연관관계를 구현하는 RS물가모형(Ritz-Spaulding price model)을 제안하였다. The structural problems of the exogenous price estimation model (the exogenous model) and the mixed exogenous-endogenous variable price estimation model (the conversion model) used in price estimations were evaluated. The occurrence of error was analyzed from both theoretical and empirical aspects. In the exogenous model, inter-industry relations were found to be weak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industries being converted exogenously. The conversion model encompasses all the input-output structures; however, as exogenous-endogenous variables are replaced with each other, causal relations are changed. As such, limitations were witnessed where the realistic price relations among industries could not be shown. In this type of analysis, proposed as an alternative to these two models is the Ritz-Spaulding type price estimation model (the RS model), the generalization is possible and the existing inter-industry relations can be maintain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4개 지역> 이상 확장된 LQ모형의 지역간 교역계수 추정의 불확정성 비판: 대안모형의 제안

        지해명 ( Haemyoung Ji ),정태연 ( Tai-youn Chung ),계해룡 ( Hailong Ji ) 한국경제학회 2016 經濟學硏究 Vol.64 No.4

        LQ모형을 <4개 지역> 이상의 지역간 교역구조 추정에 이용할 경우 지역간 교역이 불확정적이 되는 상황이 나타난다. 충분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지역간 교역계수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자의적으로 지역간 교역규모를 배분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한계에 더하여 LQ모형은 현실에서 나타나는 지역산업간 교차거래를 수용하지 못하며, 최종수요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수요제약이 발생하게 되고 따라서 기술구조 및 교역계수의 왜곡현상이 수반된다. 이는 지역간 교역을 제어하는 변수가 내생화되지 못한 모형의 한계에 기인한다. 이러한 분석에 근거하여 LQ모형은 지역간 교역계수를 추정하는데 있어서 이론적 정합성과 외적 적합성을 유지할 수 없다는 논지를 제시하였다. 엔트로피모형(생산수요제약 중력모형 포함)은 구조식이라 적용상의 어려움은 따르지만 수송비승수를 모형내에 제어변수로 포괄함으로써 무리한 가정이나 자의적인 배분이 없이 다지역으로 확장하여 교역계수를 추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LQ의 대안모형으로 제안한다. In estimating regional trade, LQ index is not proper in applying to more than 4 regions; first, the indeterministic nature of allocating regional trades among regions is shown; second, cross-hauling is not captured in the LQ method, which is generally induced in actual regional trade; third, demand constraints are imposed on regional industrial demands for holding demand-production equilibrium. Therefore the LQ index calculated based on the original data, is changed by the equilibrium condition.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LQ index does not include the distance-decay variables that control regional trade among regions. Thereby, the internal consistency in a model can not be held in LQ model. The estimates by the model may not be applicable to explain regional trade structures and can not be used as a general model to estimate regional trades. We suggest alternative models such as production-demand constraint gravity model and entropy maximization model for estimating the trade volume and structure.

      • KCI등재

        산업별 수요제약과 공급제약의 효과 : 산업연관분석의 RS모형과 내ㆍ외생변수 전환모형의 적용성 검토

        池海明(Haemyoung Ji) 한국경제연구학회 2011 한국경제연구 Vol.29 No.1

        수요제약과 공급제약의 효과분석에서 과대ㆍ과소 평가 경향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제약이 발생한 산업의 효과뿐만 아니라 제약이 발생하지 않은 산업에 의해서 발생되는 유발효과를 포함해야 한다. 산업연관모형의 분석에서 수요제약은 일반적인 최종수요-생산승수를 이용하면 분석이 가능하다. 공급제약의 분석에는 내ㆍ외생변수 전환모형보다는 RS모형이 적합하며, 과대ㆍ과소 평가 정향을 줄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약효과의 분석에서 내생변수인 산출은 외생조건보다 송수 배만큼의 격차를 보이며, 산업별 송수효과의 차이가 산업별 제약효과의 격차를 유발하게 된다. 수요제약에 따른 생산감소 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산업은 전기 및 전자기기, 수송장비, 건설, 교육 및 보건, 일반기계이며, 생산감소 효과가 작은 산업은 인쇄 및 복제, 광산품, 비금속광물, 목재 및 종이제품 등이다. 공급제약의 생산감소 효과가 큰 산업은 건설, 전기 및 전자기기, 수송장비,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 화학제품 등이며, 공급제약의 효과가 작은 산업은 광산품, 인쇄 및 복제, 정밀기기, 목재 및 종이제품, 기타 제조업 등이다. 이러한 분석을 감안할 때 일률적으로 생산능력을 확충하는 산업정책에서의 변화가 필요한데, 수요제약의 감소 효과가 큰 산업에서는 중소기업제품우선구매제도와 같은 수요 측면의 정책, 공급제약의 효과가 큰 산업에서는 투자, 고용, 자본재의 구입 등에 인센티브를 줄 수 있는 정책이 그 효과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The adverse effects induced by demand and supply constraints have to include not only the direct effects of own constraints, but also the indirect effects resulted from the non-constraint other industries for revising the over-estimation of the constraint effects. In the methodological aspects, the effects of demand constraints can be evaluated with the usual demand-output multiplier analysis in an Input-Output framework. Supply constraint effects would be estimated either by mixed exogenous-endogenous model or by Ritz-Spaulding(RS) multipliers. The former may fail to capture indirect effects, where as RS model is superior to the former in that it includes the indirect effects.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the total adverse effects of demand and supply constraints are different by industries. The difference by industry is basically caused by the disparity of intermediate input structures in the mentioned industries. The adverse effects by industry are different with those of constraints by industry because of the inclusion of the indirect effects induced by the other non-constraint industries. Since constraint effects are varied across industries, policy means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the adverse effects. If demand-side effects are greater than the supply-side ones, then policies may have to focus on the demand-side measures, like the promotion of demand, in alleviating the adverse effects, and vice versa.

      • KCI등재

        애그플레이션의 물가연관구조

        지해명(Haemyoung Ji) 한국경제연구학회 2012 한국경제연구 Vol.30 No.4

        기존 외생물가모형과 내외생변수 전환 물가모형은 두 산업 이상에서 물가변화가 나타나게 되면, "외생화된 산업 간 파급효과"와 "외생화된 산업으로의 환류효과"를 포착하지 못하게 되므로 물가파급효과를 과소평가하게 된다. 대안으로 정립된 RS물가모형은 파급·환류 효과를 포착할 수 있으므로 동 모형을 이용하여 1995~2005년간 애그플레이션의 물가연관구조를 분석하였다. 첫째, 애그플레이션은 전 산업 평균 이하의 물가유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 농산물이 직접적인 투입재로서 사용되는 비중이 낮아지고 있으므로 애그플레이션이 미치는 직접적인 물가파급효과는 점차 감소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셋째, 애그플레이션의 물가인상효고는 전 산업 평균에 미치지 못하지만 제조업 및 서비스업 전반에 걸쳐 포괄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넷째, 농산물의 직접적인 투입재로서의 기능에 비하여 화학산업(예: agrofuels)과 같은 산업에서 투입재로서 쓰이는 비중은 점차 높아지고 있는데 이러한 간접 투입에 따른 물가파급효과(농산물→화학산업→기타 산업)는 많이 증대될 것으로 평가된다. The models used for estimating the price effects are classified as three types as follows; the exogenous price model, the mixed exogenous-endogenous price model, and the RS price model. The exogenous price model does not include entire inter-industry relations compared with the original Input-Output structure due to the exogenized industries, thereby, it can not capture the indirect effect(feed-back). The mixed exogenous-endogenous price model, also can not capture the full effect, even if it maintains the entire system of the original Input-Output structure. Because the value-added components of concerned industries are included in endogenized price vector. The RS price model does not damage entire inter-industry structure. The model captures the inter-industry price relations, thereby the multiplier is greater than that of the exogenous price model and the mixed exogenous-endogenous price model. From the view of internal consistency and applicability, the RS price model may be superior to the exogenous price model and the mixed exogenous-endogenous price model. However, the same results of all price models are produced if the agflation, the inter-industry price effects of agflation have decreased since 1995 in Korea. However, indirect effects through the price change of chemical industry, such as agrofuels which use grains as inputs, have increased more than direct effects of raised price of grai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