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유기물의 고온호기성 분해에 미치는 미생물제재의 효과

        전병관,지준명,문병선 동신대학교 환경연구소 1999 환경연구 Vol.4 No.1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그리고 자체 개발한 미생물제재의 식종이 음식물찌꺼기의 고온호기성 생분해에 미치는 효과와 음식물찌꺼기의 고온호기성 분해산물이 토양의 pH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고온호기성 미생물제재를 식종한 경우에, 반응개시 후 12시간동안 시료의 PH는 미생물을 식종하지 않은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급속히 하락하였다. 시료의 C/N비는 반응개시 후 48시간동안 식종 및 미식종의 경우에 모두 큰 변화가 없었고, 분해산물중 미생물의 수는 24시간까지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이 후로 증가하여 48시간 후에 비슷한 수준에 도달했다. 결과적으로, 음식물찌꺼기의 고온호기성 생분해과정에 미치는 미생물제재의 식종 효과는 미미했다. 위의 고온호기성 분해산물은 별도의 부숙과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토양을 산성화시키지 않고 오히려 적절한 온도와 습도하에서 산성토양을 중화시켰다. The effect of addition of thermophilic oxic microorganisms(TOM) during thermophilic aerobic biodegradation(TAB) of food waste at 60°C was analyzed in terms of pH profile, C/N ratio, and microorganism count of food waste TAB products during the digestion. For the first 12 hours, pH of the products containing TOM decreased slightly faster than that of the products without TOM. Both pH profiles converged on around pH 4.3 after 12~24 hours and gradually climed up to pH 4.5~4.8 after 48 hours. C/N ratios of both TOM-treated and TOM-untreated food waste fluctuated minutely in between 15 and 17. The number of thermophilic aerobic microorganisms in the TAB products from the TOM-treated and TOM-untreated similarly increased 5~10 folds after 48 hours, which converts to merely 3~4 cell divisions during the 48 hour long process. Above results indicated only slight advantage of TOM treatment on TAB of food waste. However, due to rather costly process of TOM stock maintenance and mass culture, the need for the TOM treatment is not conclusive. Existing microorganisms within food waste from households and restaurants may be more than enough for the biodegradation process. Besides, the TAB product, whose pH is 4.39, neutralized the pH of garden soil from pH 5.42 to pH 7.0 or above after 14 days during summer months when both were mixed in equal parts.

      • SCOPUSKCI등재

        한국인 Xeroderma pigmentosum 세포계통 , XP2SE 의 유전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박상대,지준명 한국유전학회 1984 Genes & Genomics Vol.6 No.3

        Skin fibroblast cultures from a 40-year-old female patient with xeroderma pigmentosum were established in our laboratory. The cell strain was named as 'XP2SE' after the recommendation of the nomenclature of the XP cell strains by Cleaver and Bootsma (1975). Complementation assay of the XP2SE was performed against three XP groups (A, C and D) by Cleaver's (1982) method. The XP2SE showed no complementation against XP group A, C and D. So the XP2SE does not belong to complementation group A, C and D. Clinical symptoms (without neurological abnormalities) and level of excision repair (60-70% of normal) imply that the XP2SE could be a representative of complementation group E.

      • KCI등재

        밤속껍질에서 기능성 음료의 개발(I) : 밤속껍질차의 단당류, 아미노산 및 카페인 함량 분석 Analysis of Monosaccharides, Amino Acids and Caffeine Contents in Castanea crenata Tea Extract

        전병관,이종률,지준명 한국식품영양학회 2000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13 No.3

        본 연구에서는 밤차로부터 음출한 차액의 단당류, 아미노산 및 카페인을 시판중인 현미녹차와 결명자차의 차액과 비교분석함으로써 밤차의 기능성 건강음료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규명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믐과 같다. 1. 현미녹차의 차액에는 glucose와 galactose 약 20:1 정도의 비율로 검출되었으며 용출시간이나 용출온도에 따른 당류의 변화는 적다. 2. 밥차의 차액에는 glucose, galactose. mannose 등이 약 100:1:10의 비율로 존재하며 용출시간이나 용출온도에 의한 변화는 적다. 특히 mannose는 천연에서 유리상태로 존재하기 어려운 희귀한 유리당이다. 3. 결명자차 차액에는 당류를 확인할 수 없을 정도로 낮은 농도를 나타냈으며, 결명자차의 amino산 함량은 현미녹차나 밤속껍질차의 아미노산 함량에 비해 1/6∼1/7에 지나지 않았다. 4. 현미녹차의 차액 중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serine, methionine, alanine 등의 순서로 검출되었으며. 용출온도와 용출시간에 비례하여 농도가 증가하였고, 아미노산의 용출은 대부분 첫회에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 밤차의 차액 중에 아미노산은 alanina asparagine, aspartic acid, proline, valine 등의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고, alanine, asparagine, proline 등은 현미녹차에 비하여 함유량이 많으며 glutamic acid, serine, methionine, glutamime 등은 상대적으로 소량 함유되어 있었다. 용출온도와 용출시간에 비례하여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아미노산의 용출은 대부분 첫회에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6. 현미녹차는 카페인을 126∼162㎎/L정도로 다량 함유하고 있으나 밤차나 결명자차는 함유하지 않았다. Monosaccharides, amino acids and caffeine contents in tea extract from the inner skin of the chestnut, Castanea crenata, were compared to those in tea extracts from commercially available brown rice-green tea(Bosung) and Cassia tora tea(Dongse). 1. Chestnut inner skin tea(CIST) appears to contain significant amount of free mannose(0.10∼0.19 mM), which is quite exceptional because mannose has not been known to be stored in quantity in natural products. It contains 100 parts glucose, 1 part galactose, and 10 parts mannose, whose contents were not variant with brewing temperature and time. It also contains higher concentration of alanine > asparagine > aspartic acid > proline > valine, but less amount of glutamic acid, serine, methionine, and glutamine. Their concentrations generally increased with brewing temperature and time. Most amino acids were extracted during the first brewing. 2. The brown rice-green tea (BRGT) extract contains more glucose (20 parts) than galactose (1 part), whose contents are not variant with brewing temperature and time. It also contains higher concentrations of glutamic acid > aspartic acid > serine > methionine > alanine, whose concentrations generally increased with brewing temperature and time. Most amino acids were extracted during the first brewing. 3. The Cassia tora tea(CTT) extract contains undetectable amount of monosaccharides and only 1/6--1/7 of amino acids in BRGT and CIST. 4. BRGT contains higher concentration (126∼162.㎎/L) of caffeine but CIST and CTT contain no detectable caffeine.

      • KCI등재

        밤속껍질에서 기능성 음료의 개발(II) : 밤차, 현미녹차 및 결명자차가 생체기능활성화에 미치는 효과 Physiological Effects of Chestnut Inner Skin Tea, Brown Rice-green Tea and Cassia tora Tea in Mouse and Rat

        전병관,정현우,이종률,지준명 한국식품영양학회 2000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13 No.5

        결명자차, 녹차 및 밤차가 인체의 생체기능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소뇌혈류량 및 혈압, in vitro상에서의 면역세포의 활성화, 그리고 암세포가 이식된 동물에서의 면역세포 활성화와 암세포의 증식억제 효과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단당류는 현미녹차와 결명자차에는 glucose, galactose등이 들어 있으나 밤차에는 glucose, galactose, mannose가 들어 있다. 2. 아미노산은 현미녹차, 밤차, 결명자차 순으로 들어 있다. 3. 카페인은 현미녹차에는 들어 있으나 밤차와 결명자차에는 들어 있지 않았다. 4. 결명자 차는 국소뇌혈류량을 증가시킨 반면 밤차는 감소시켰다. 5. 녹차는 혈압을 증가시켰다. 6. 밤차는 in vitro상에서 흉선세포와 비장세포의 증식을 유의성있게 증가시켰다. 7. 결명자차와 녹차는 in vitro상에서 흉선세포의 증식을 감소시켰다. 8. 결명자차와 녹차는 L1210세포가 이식된 동물의 흉선세포 증식을 감소시켰다. 9. 밤차는 L1210세포가 이식된 동물의 비장세포 증식을 촉진시켰다. 10. 밤차와 결명자차는 L1210세포가 이식된 동물의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chestnut inner skin tea, brown rice-green tea and Cassia tora tea on the activation of physiological functions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mean arterial blood pressure, proliferation of immunocytes in vitro and in vivo, suppression of cancer cell proliferation) in mouse and rat. We used 8 weeks-old balb/c male mice, 300g ICR rats and L1210 cell lines. Regional cerebral blood flow(rCBF) and mean arterial blood pressure(BP) were measured using Leser-Doppler Flowmetry(LDF) and the proliferation of cells was measured using a colorimetric tetrazolium assay(MTT assay).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as follows ; 1, rCBF was increased by Cassia tora tea, but decreased by chestnut inner skin tea in rats. 2. BP was increased by brown rice-green tea in rats. 3. Proliferation of mouse thymocytes and splenocyt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chestnut inner skin tea in vitro. 4. Proliferation of mouse thymocytes was decreased by Cassia tora tea and brown rice-green tea in vitro. 5. Proliferation of mouse thymocytes was decreased by Cassia tora tea and brown rice-green tea in L1210 transplanted mice, 6. Proliferation of splenocytes was accelerated by chestnut inner skin tea in L1210 transplanted mice. 7. Proliferation of L1210 cells was inhibited by chestnut inner skin tea and Cassia tora tea in L1210 transplanted m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