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trategic Partnership under the Modi Government

        Ji, Yeon-Jung(지연정) 한국인도학회 2015 印度硏究 Vol.20 No.1

        1990년대 이후 인도는 전략적 자율성과 비동맹 정신의 계보를 이을 적절한 외교정책 수단을 찾기 위해 힘써왔다. 2014년 5월에 출범한 나렌드라 모디(Narendra Modi) 정권 이전 많은 총리들이 인도 외교정책의 전략적 자율성 및 외교정책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선택한 가운데, 모디 총리는 전략적 동반자 관계의 활용성을 높여 인도가 오랫동안 유지한 비동맹 기조와 실용주의 사이의 균형을 맞추고자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전략적 동반자 관계가 인도 외교정책 기구로서 어떻게 자리 잡았는지, 또한 모디 정권 하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살펴 보고자 한다. 우선, 모디 정권은 인도의 재기(Resurgent India)를 정책 아젠다로 잡고 세부적으로는 액트 아시아(Act Asia), 인도-태평양 해양 협력(Indo-Pacific Maritime Cooperation)과 메이크 인 인디아(Make in India) 등 세 가지를 인도 외교의 핵심정책으로 내세우고,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통하여 협상 주제 및 협력 정도에 관하여 유연성을 추구하고 있다. 미국, 일본, 호주 등과는 아시아 힘의 재편성을 위하여 국방협력에 가속도를 붙이고 있는 한편, 역사적으로 국경분쟁 등을 통해 외교관계가 경색된 중국과는 경제협력 문제를 분리하여 전략적 동반자 관계가 점진적으로 향상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따라서 인도는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현존하는 군사적 동맹 관계에 가입하지 않고도 군사협력을 유지할 수 있는 유용한 소통장치로 이해해서 사용하고 있으며, 정치적 대립 관계에 있는 주변 국가들과의 경제협력 확대에도 유용한 정책적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Since the 1990s, India has struggled to find the most suitable foreign policy instrument for serving its strategic autonomy and spirit of non-alignment. While India’s former prime ministers conducted successful experiments on applying strategic partnership, the current Modi government seems to have maximized the utility of this quality tool. Strategic partnership as a foreign policy instrument provides leeway for foreign policy decision-making regarding the scope and the extent of the cooperation. In this regard, this paper endeavors to examine how strategic partnership has become an appropriate and quality tool of India’s foreign policy that serves India’s interests, especially under the Modi government. An analysis reveals that the government is effectively articulating and deploying strategic partnership to serve Prime Minister Modi’s foreign policy goals and strategies, such as Act Asia, Make in India, and the Indo-Pacific Maritime Cooperation. Under the Modi government, strategic partnership tool provides flexibility in India’s foreign policy in terms of determining the scope and the extent of the cooperation. Thus, forging strategic partnership not only enables India to be closer to the United States and its allies without losing strategic autonomy, but also creates a space for collaborating with unfriendly neighbors like China.

      • KCI등재

        Possibilities Revisited: Perils of Nuclear Terrorism in South Asia

        Ji, Yeon-Jung(지연정)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23 남아시아연구 Vol.28 No.4

        많은 선행연구에서 핵테러리즘의 가능성에 대한 다양한 이견이 있어왔으나, 많은 학자들은 국제테러조직의 성장과 확장세가 핵테러리즘의 가능성을 연계해서 연구해왔다. 남아시아는 전통적으로 테러리즘에 취약한 지역이자 핵무기 개발 경쟁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으로서, 대량살상무기의 제조와 획득에 관심을 가지는 국제테러조직의 주요 관심 지역이 되어 왔다. 이 연구는 기존에 핵무기 제조, 기술확보 및 핵물질 획득에 관심을 가져온 알카에다 및 알카에다와 연계된 여러 국제테러조직들의 활동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들 조직의 핵테러리즘에 관한 관심이 어떻게 확장되고 지속되고 있는지 알아본다. 특히 핵분열물질을 이용한 대량살상무기 사용 대비 조직의 생존성을 높이기 위한 테러리즘 파이낸싱 시스템을 어떻게 확보하고 있으며, 핵테러 관련 과학기술 지식의 축적 및 테러리스트-범죄자 단체의 긴밀한 관계가 어떻게 지속되고 있는지 살펴본다. 이 세 가지 요소를 바탕으로 주요 테러리즘 조직은 단체가 장기적으로 핵테러리즘을 전략적 옵션을 가질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The probability of terrorists’ acquiring nuclear weapons is much lower than that of conventional weaponry; however, the growing terrorists’ capacity may erode this confidence. Over the last decade, the level of fear has been high because of the reported insider collusions on the theft of nuclear materials, confronts to penetrate nuclear facilities, and voluntary knowledge transfer in that nuclear experts consider threatening. While India, Pakistan and other countries attempts to counter such activities, the vulnerabilities are related to the supply-side risks of terrorist groups increases. Global terrorists in South Asia are prone to be reinforced by regional terrorist–criminal groups that helps to strengthen their financing stability and their assessment to the scientific knowledge. Such elements enhance the possibility of sourcing large scale attack with nuclear explosives. This piece of research explores the combination of the vulnerabilities on the supply chain management based on the growing capabilities of terrorist groups. Such weaknesses can potentially offer terrorists groups continued to have strategic options for nuclear attack.

      • KCI등재

        역사적 장소를 어떻게 읽고 해석할 것인가?- 덕수궁을 사례로 -

        지연정(Ji Yeon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5

        본 연구는 역사적 장소에 담긴 역사적 의미를 학생들이 스스로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장적용을 통해 그 특징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역사적 장소로는 당시의 지배이념이 내재되어 있는 곳이며, 고종과 대한제국에 대한 평가가 상이한 결과 여러 관점에서 역사적 해석이 존재하는 곳인 덕수궁을 선정하였다. 먼저 덕수궁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은 관찰-조사-해석의 단계로 구성하였으며 학생들의 활동지 및 학습결과물, 사전․사후 설문지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은 2019년 1월 서울 지역의 중학교 학생 12명이 참여해 현장 적용되었다. 학생들은 덕수궁의 주요 건축물인 중화전, 석조전, 중명전을 ‘자주국권’, ‘국권침탈(일제침략)’, ‘서양문물의 수용’, ‘일제에 대한 저항’이라는 키워드로 당시 시대상황과 자료의 내용과 연관시켜 맥락화 했다. 덕수궁을 ‘고종과 대한제국의 자주개혁’이라는 기존의 결과론적 역사 해석을 그대로 수용하지 않고, 스스로 덕수궁의 역사적 의미를 해석하였다. 자신을 고종에 감정이입해서 평가하기도 하고, 자료에 제시된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사전 지식과의 맥락에 따라 고종에 대해 평가를 내리기도 하였다. 이것은 학생들이 역사적 장소에서 본 실재와 자료들을 토대로 분석하여 역사해석을 시도한 것이다. 다만 본 연구 결과가 연구 참여자 12명의 활동을 분석한 것으로 추후 역사적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학생들의 역사해석 경험을 축적하여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gram for interpreting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historical place, Deoksugung Palace, and to explore how students understand and interpret Deoksugung Palace through on-site application. Deoksugung Palace is the place where the ruling ideology of its time is embedded, and it has been historically interpreted from various viewpoints due to different evaluations of Gojong and the Korean Empire. For this study, students observed and investigated the major buildings of Deoksugung Palace and derived historical significance based on given data. In January 2019, 12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on-site application. Through thei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the students contextualized the major buildings by connecting key words of “independent national rights,” “pillage of national rights (Japanese invasion),” “acceptance of Western civilization” and “resistance against the Japanese invasion” with the data of the circumstances during that time. The students interpreted the historical meaning of Deoksugung Palace by themselves without accepting the existing historical interpretation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Gojong and the Korean Empire.” They empathized with Gojong for the evaluation, and they also gave the evaluation of Gojong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he times and prior knowledge. The students attempted to interpret the historical palace by analyzing what they had actually seen and the given data.

      • KCI등재

        The Nuclear Factor in India’s Foreign Policy

        Mishra Sitakanta,Ji Yeon-Jung(지연정) 한국인도학회 2009 印度硏究 Vol.14 No.2

        인도의 핵 정책과 대외 정책에 관한 논의는 독립 후부터 지금까지 끊임없이 이슈가 되고 있다. 특히 핵 보유와 사용 및 발전에 대한 문제는 여러 시기를 거쳐서 다양한 범위에서 다루어졌는데 크게 3가지 범주로 나누어볼 수 있다. 1947년부터 1962년까지는 핵 문제가 주로 비동맹과 군축이라는 큰 틀을 중심으로 논의되었으나, 1962년 중-인 전쟁 이후에는 핵무기 제조의 필요성과 핵 비확산이라는 세계적인 추세가 맞물려 핵무기 보유가 범국가적인 의제로 급부상하였다. 이후 1998년 제 2차 핵실험 이후를 기점으로 인도의 핵 문제는 인도 외교의 핵심이자 대외정책의 기조를 재검토하게 하는 다른 국면을 맞이하였다. 특히 인도-미국간 체결된 민간 핵 협정은 인도의 대외 정책 전반에 관해 재고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후 핵 문제는 인도 내 주요한 두 학파간의 쟁점이 되었다. 우파 성향의 학자들은 인도가 핵실험과 2차 핵실험 이후 상황을 통하여 인도의 대외 정책 방향과 외교 전략 사이의 접합점을 찾는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했다고 평가하고 있으나, 반미(反美) 성향의 좌파학자들은 인도와 미국의 전략적 협력 관계가 그간 인도의 핵무기 정책의 연장선에 있다기보다 미국의 국익에 종속되는 정책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독립 이후 인도의 대외 정책의 행보를 살펴보면 국가 안보의 큰축이 핵 보유 및 핵무기를 중심으로 움직이고 있으며 이는 수십 년간에 걸친 인도 정부 와 교섭단체들 사이의 수많은 논쟁과 이를 해결하려는 국가적 시스템을 통하여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인도의 핵 문제가 국가 안보 인식 및 외교 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쟁을 토대로 대외 정책 논의 구조상에 가져온 변화를 살펴보고 인도 대외정책의 변화 과정 중 핵이라는 요소가 가지는 중요성에 주목하였다. Throughout the history of independent India, nuclear and foreign policy issues have been democratically debated in the country. The nuclear debate, particularly, may be seen in four phases. The debate soon after independence was marked by the country’s concerns for disarmament and nonalignment. After China’s attack on India in 1962, the debate centered around India’s concerns about nuclear proliferation, loopholes in the nonproliferation regime and the dilemma whether India should manufacture its own nuclear weapons. The third phase of the debate commenced in 1998, after India successfully tested its nuclear weapons at Pokhran. (The earlier test in 1974 was avowedly a Peaceful Nuclear Explosion.) The focus in the current phase of the nuclear debate (the fourth phase) is whether nuclear weaponization is a continuity or departure from India’s long-held policy of nuclear ambiguity. India’s engagement with the US in the post-Pokhran-II period and the recently concluded Indo-US civilian nuclear deal has brought the debate of “continuity or change” in India’s foreign policy to the fore. One school is of the view that the nuclear tests and post-Pokhran-II diplomacy have changed the way the Indian elite began to think about external relations; that nuclear diplomacy has inevitably brought maturity and self-assurance to India’s foreign policy. The other school, while viewing the policy of nuclear weaponization not as continuity but a “reactionary departure”, considers the burgeoning Indo-US strategic partnership as a euphemism for India’s joining the “US Empire” as a junior partner, unmindful of its long-term national interest. While India’s domestic nuclear debate is prominent in academic and media discourse, the intrinsic link between the country’s nuclear policy and its foreign policy and how nuclear policy has impinged upon the foreign policy discourse has not been enquired adequately. Indian diplomacy has always shouldered the responsibility of propagating the country’s beliefs, concerns, and agenda in the nuclear domain and allaying misapprehensions regarding its nuclear policy. In turn, the nuclear factor has sufficiently influenced the structure, nature and strategy of Indian diplomatic undertakings. This paper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the nuclear factor in India’s foreign policy discourse and how it has remained a major determinant in its diplomatic endeav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