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가정과 연계한 동화 극화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그리기 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지성애,김희정,김치곤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1 한국교육문제연구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 연계한 동화 극화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그리기 표상능력에 미 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5세 유아 50명이며, 평균 월령은 71.08개월이었 다. 실험집단에서는 가정과 연계한 동화 극화활동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에서는 유아들이 동화를 들은 후 관련 확장활동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창의성은 Torrance(1990)의 ‘창의적 사고력 검사도구(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중 도형 창의성 검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그리기 표상능력은 지성애(2001)의 ‘그리기 표상능력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측 정하였다. 수집된 연구 자료는 t-검증을 통해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 단이 비교집단보다 창의성 및 그리기 표상능력 점수가 높게 나타나, 가정과 연계한 동화 극 화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그리기 표상능력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home related dramatic activities based on storybook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fifty 5 year-old children who attended a kindergarten in Gyeonggi-do.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71.08 month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home related dramatic activities based on storybook while the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the related activities after listening to storybooks. 'The Figural Area of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Torrance, 1990)' and 'Drawing Representation Inventory(Chi, 2001)' were used in collection of data. It also used t-test to analyze the data.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in the post-test scores. The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cores of the comparative group.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home related dramatic activities based on storybooks are effective in promot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 KCI등재

        발달적 모델 중심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 프로그램 개발

        지성애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학논집 Vol.1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Development Model-centered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 linkage education program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at program on children’s elementary school adjustment. The Development Model centered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 linkage education program maintained objective, content, teaching-learning method, evaluation system and four areas of elementary school adjustment (academic performance, peer relation, teacher relation, school life). It also developed kindergarten-elementary linkage education activities based on the kindergarten life subject. The subjects used in this experimental study were 59 five-year-old children from two classes in a kindergarten in S city to prove validity of early childhood practice application of the Development Model-centered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 linkage education program. Two classe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Finally, the positive effects of the Development Model-centered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 linkage education program on children’s elementary school adjustment were revealed. These results proved validity of early childhood practice application of the Development Model-centered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 linkage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본 연구는 발달적 모델 중심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이 유아의 초등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유아교육 현장 적용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발달적 모델 중심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 프로그램 체계는 목표, 내용, 전개절차,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로 구성되었으며, ‘학업수행적응’, ‘또래적응’, ‘교사적응’, ‘학교생활적응’으로 프로그램의 내용 영역을 구분하고 유치원 생활주제에 맞춰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 활동을 개발하였다. 실험연구를 통해 프로그램의 유아교육 현장 적용 타당성을 검증한 결과, 발달적 모델 중심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입학 후 아동의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KCI등재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지성애,박찬옥,유구종,조형숙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학논집 Vol.14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wholistic ar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at program on children's language ability, space perceptual abil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al ability. The wholistic ar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maintains objective, education content, teaching-learning method, teacher's role, and evaluation system. It also develops the 100 wholistic art education activities based on five areas of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The subjects used in this experimental study were 46 young children whose mean age is 70.28months from two classes in a kindergarten to prove validity of early childhood practice application of the wholistic ar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Two classe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Finally, the positive effects of the program which is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revealed. These results proved validity of early childhood practice application of the wholistic ar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본 연구는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능력, 공간지각력 그리고 그리기표상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유아교육 현장 적용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의 체계는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교사의 역할 및 평가로 구성되었으며, 건강, 사회, 표현, 언어, 탐구로 프로그램의 내용 영역을 구분하고 미술과 통합하여 총 100개의 활동을 개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개발된 프로그램의 유아교육 현장 적용 타당성을 검증한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총체적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언어능력, 공각지각력 그리고 그리기표상능력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적용 타당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우리나라 유아 미술교육 현황과 실태 분석

        지성애,박찬옥,유구종,조형숙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학논집 Vol.14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current status and practices of visual ar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 questionair was developed to survey the current status and practices of art education activity and teaching metho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588 kindergarten teachers(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located in Seoul, Gangwon, Gyeongnam, Chunam provinc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Cross-tabs (x2test) and One-way ANOV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current status and practices of art education activity and teaching metho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various according to the types of institution and provinc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instructional media possession, supply of appreciation activity, group type and activity method in art activity, prior activity presentation, integration education with other subject area according to institution types.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supply of appreciation activity, group type and teaching method in art activity, integration education with other subject area, integration education in inquiry, appreciation and presentation activity according to provinces.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미술교육의 현황과 실태를 조사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대상은 공·사립 유치원 교사 588명이었으며, 유아 미술교육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지를 개발한 후, 이를 기초로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유치원 교사가 근무하고 있는 기관유형과 지역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x2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미술 교육활동 현황 및 실태 측면에서는 기관유형에 따른 교수매체 소유현황, 미술활동 중 감상활동제공 여부 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에 따라서는 감상활동제공 여부에 있어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술 교수방법 현황 및 실태 측면에서는 집단유형과 활동방법, 사전활동 제시, 미술교과와 타 교과영역과의 통합 지도여부 등에서 기관유형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지역에 따라서는 집단유형과 활동방법, 미술교과와 타 교과영역과의 통합 지도여부, 탐색, 감상, 표현의 연계 미술 교수방법 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미술활동 자료제시, 멀티미디어 활용, 견학, 감상 등의 사전활동의 경우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유아 운동교육 실태와 교사의 인식 분석

        지성애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8 유아교육학논집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atus and teacher's awareness of physical education and discuss about the way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physic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prior literature and research and used to collect data.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was .901.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211 early childhood teacher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Chi -test,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the status of physical education and the teacher's awareness. Finally, it was discussed about the way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physic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운동교육 실태와 교수방법 그리고 유치원교육과정 영역과의 연계 및 통합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유아 운동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있다. 유아 운동교육 실태와 교사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관련 문헌분석 및 전문가 협의를 통해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설문지는 운동교육 실태, 교수방법, 교육과정 연계의 3 하위영역의 44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신뢰도는 .901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은 국공립 및 사립 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211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Chi 검증, t-검증, ANOVA를 실시하고 추후분석은 Scheffe 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 운동교육의 실태, 교수방법 그리고 운동교육과 유치원교육과정과의 연계 실태 및 통합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KCI등재후보

        영유아교사의 현직교육과정 운영

        지성애,김미경,유구종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5 유아교육학논집 Vol.9 No.1

        This study examines and compares the current status of in-service education programs for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teachers.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early childhood teachers‘ responses regarding effective in-service education. The fina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ffective in-service education framework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for collection of the data.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wo hundred and twenty kindergarten teachers and two hundred and one day-care center teachers. Based upon the results, we discuss and present on appropriate in-service education framework for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teachers.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운영되고 있는 교원 연수 과정과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운영되고 있는 보수교육 과정 현황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현직교육과 보수교육에 관한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요구를 분석하기 위해 설문지를 구성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치원교사 220명과 보육교사 201명으로 총 421명이었다. 요구조사 분석을 통하여 영유아교원의 현직교육의 미래를 조명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앞으로 영유아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바람직한 현직교육 모형을 구성하였다. 특히 현재의 유치원과 보육시설 현직교육이 기능적, 내용적으로 부분 통합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여 현직교육 모형을 최종 구성하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학부모의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에 대한 인식과 현황

        지성애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학논집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kindergarten parents' recognition and current states of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 linkage education.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245 parents whose children are attending in kindergartens. A questionnaire using x2-test, t-test, ANOVA and Scheffé to analyze the data was developed and used in the collection of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kindergarten parent groups in parent's recognition and current states of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 linkage education. 본 연구는 학부모의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에 대한 인식과 현황을 조사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유치원 학부모 총 245명 이었으며 연구도구인 설문지를 개발하고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x2-검증, t-검증, ANOVA와 추후분석으로 Scheffé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분석된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학부모의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에 대한 인식과 초등학교 입학 사전준비, 연계교육에 대한 요구, 실제 그리고 연계교육 관련 부모교육 현황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

        문화 · 생활 중심 총체적 유아 운동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지성애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8 유아교육학논집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ulture and life centered wholistic physical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at program on young children's music proficiency, spatial-perception ability, and motor proficiency.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84 young children who attended one kindergarten.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70.6 months. PMMA, K-WPPSI, and MPTYC were used to collect of data. ANOVA and Scheffe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After experimental treatment,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experimental groups in the post-test scores. The post-test scores of music proficiency, spatial-perception ability, and motor proficiency of young children who were treated by a culture life centered wholistic physical education program (experimental group 1)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children (experimental groups 2 and 3).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trongly indicate that a culture life centered wholistic physical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developed in this study is an effective means of enhancing young children's music proficiency, spatial-perception ability, and motor proficiency. The results suggest that culture life centered wholistic physical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appli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본 연구는 유치원 유아들을 대상으로 생활주제를 선정하고, 대상통제운동과 명화감상 및 음악활동을 통합하여 감성·표현적 요소가 포함된 문화·생활 중심 총체적 유아 운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유아의 음악능력, 공간지각능력 그리고 운동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현장 적용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대상은 총 84명으로 평균 월령은 70.6개월이었고 유치원 3개 반을 실험집단 1, 2, 3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유아의 음악능력, 공간지각능력, 그리고 운동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PMMA, K-WPPSI, 그리고 MPTYC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ANOVA와 Scheffe 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문화·생활 중심 총체적 유아 운동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1 유아들의 음악능력, 공간지각능력 그리고 운동능력 점수가 명화감상 및 음악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2와 대상통제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 3에 참여하였던 유아들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문화·생활 중심 총체적 유아 운동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음악능력, 공간지각능력 그리고 운동능력 증진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서 유아교육 현장 적용 타당성을 입증한 것이라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