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고등학교 학생들의 교사인식 분석

        지봉환 韓國敎員大學校 敎育硏究院 2009 敎員敎育 Vol.25 No.3

        교사는 학생을 전제로 의미를 부여받고 교사의 존재가치는 학생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교사-학생 간 관계의 건강을 점검하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다. 건강한 관계가 서로의 존재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교사와 학생은 서로 함께하는 환경 속에서만 존재할 수 있고 존재의미를 지닌다. 교사와 학생간의 건강한 관계가 요구되는 이유이다. 관계의 건강은 서로를 어떻게 판단하고 어떤 존재로 인식하느냐하는 문제와 관련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교사에 대한 학생의 인식을 통해 양자관계의 건강을 점검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교사에 대한 전통적 관점을 고찰하고,학생의 교사에 대한 기본적 인식과 그러한 인식이 형성된 맥락을 조사하였다. 특히 학생들이 생각하는 교사의 역할과 학생과의 바람직한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고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가 부정적으로 형성되는 원인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교사의 역할로는 '학습을 도와주는 일’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으며,학생과의 관계는 '스승과 제자’를 바람직한 모델로 생각하고 있었다. 그리고 교사의 비인간적 행위와 교과에 대한 능력 부족을 바라보는 시각이 매우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러한 교사에 대한 학생의 인식과 관련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eachers are given meaning from students, and their values are formed with the relationship of students. Therefore, checking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s a meaningful work. For good relationships improve values of each other. Teachers and students can exist only under the environment of going together and have existing meaning. This is why good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re needed. A condition of a goo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s combined with a problem about judgement and recognition of each other.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intend to check the condition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through students' recognition for teachers. To do this, I considered a traditional point of view about teachers and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 also investigated carefully students' fundamental recognition about teachers and connection about formation of such recognition. Especially, I looked at the role of teachers, good relationships with students, and causes of forming negative relationships with other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generally, students were affirmative to their teachers, but their negative point of view was also high. Particularly this study shows that the students' view about teachers is very negative when teachers do immoral acts and reveal their poor teaching ability. Finally, I dealt with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cognition of students regarding such bad teachers.

      • KCI등재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교육관― 선조이후를 중심으로 ―

        지봉환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8 No.-

        이 글은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교육과 관련된 내용들을 중심으로 그들이 생각하고 행했던 교육의 목적과 방법 그리고 교육내용과 바람직한 교사상, 기타 교육에 대해 기울인 다양한 관심들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 국사편찬위원회가 국역한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의 범위는 선조부터 순조까지로 국한했다. 먼저 그들이 생각한 교육의 목적은 인재양성을 가장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장 기본적이면서 중시한 교육내용은 「소학」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교육방법으로는 개별화교육을 강조하고 암기식 교육을 지양했으며, 상벌로 격려해주어야 한다는 등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훌륭한 교사상으로는 어진사람과 행실에 있어 사표가 되는 사람 그리고 노성한 사람이 적절하다고 생각했다. 그 외 가정교육을 중시했다거나 외국인을 활용한 교육을 권했다는 점 그리고 교사와 학생간의 도리를 강조하고 교육에 귀천이 있을 수 없으며 직임을 못하는 교사는 도태시켜야 한다는 등 요즘 우리가 안고 있는 교육문제 혹은 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내용들에 대해 이미 밝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들의 이러한 교육적 관점들은 오늘 우리 교육을 이해하고 평가하며 우리의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analyses many types of specifics regarding education, which is represented in Joseonwangjosilok(「조선왕조실록」). Especially focused on purposes, methods, contents of education and desirable teacher at that times, this study analyse various ideas on education. The range of this analysis is limited from the era of King Seonjo(선조) to the era of King Sunjo(순조), and materials, which is translated into korean,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국사편찬위원회) were used for this study. At that eras, the cultivating human resources was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education. And the book, Sohak(소학)was considered as the most essential and most valuable contents of teaching. The ideal methods of education at that times were individualized education and leaning on memorizing rather than understanding. The desirable teacher should be benevolent and have wide experience as well as be a model in behaving. Also, at that eras, people were considering home education serious, encouraging teachers to educate through foreigners. And they emphasized dutie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stressed all students are equally honorable and wished all teachers to have a sense of responsibility to their students. Their attitude to education like these closely resembles what we are emphasizing about education now and offers solutions to our educational problems we have had. Therefore their many types of ideas on education at that times can be guidance for understanding and resolving our education as well as educational problems.

      • KCI등재

        Pictorial Identification Key for Blowflies (Diptera, Calliphoridae) of Potential Forensic Importance in Korea

        지봉환,박상현,문태영 대한법의학회 2021 대한법의학회지 Vol.45 No.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necrophagous blowflies to confirm their forensic importance in criminal investigations and to produce a pictorial key to easily identify blowflies that are likely to be present at the scene of death. Of the 26 calliphorid species recorded in Korea, 16 species were sampled from 103 animal cadavers including 63 rabbits and 40 pigs. We identified 13 species in Calliphorinae, Aldrichina grahami (Aldrich), Calliphora nigribarbis Vollenhoven (= C. lata Coquillett), C. subalpina (Ringdahl), C. vicina (RobineauDesvoidy), C. vomitoria (L.), Hemipyrellia ligurriens (Wiedemann), Lucilia ampullacea Villeneuve, L. caesar (L.), L. cuprina (Wiedemann), L. illustris (Meigen), L. papuensis Macquart, L. porphyrina (Walker), and L. sericata (Meigen), and three species in Chrysomyinae, Chrysomya megacephala (F.), Ch. pinguis (Walker), and Ch. rufifacies (Macquart). They were repeatedly recorded from various localities in different habitats and seasons. These species should be given importance in approaches to forensic science particularly as their ecological implications are well understood. An identification key for these forensically essential species is prepared in a user-friendly manner using characteristics easily visible to the bare eye or at least under a magnifying glass.

      • KCI등재

        大衆音樂의 敎育的 責任과 役割

        지봉환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48 No.-

        Popular music isn't a tool about amusement that carries out only one function for us to listen and enjoy. It is also education to juvenile and symbol of moral life. This study recognizes that popular music is not only a education toward the mass of people, but culture forming virtue, and pays attention to the educational duty and role of popular music. Considering the passion to popular song from juvenile, the capacity and role of popular song, like this, is problem that cannot be never overlooked. But it is difficult for us to neglect that popular song of present days go on following up pleasures, losing the moral, educational capacity and role. In not any security, most of teenagers are exposed to the situation like that violent or sexual words, expressions and gestures are rampant. And even anyone can't stand that things. At first the popular music appears with 'masses' as the slogan. But nowadays the popular music of this kinds are looking away from masses and even bad for them even. And such a popular music makes us feel that popular music is the changed artistic activities tarnished by commercialism and only chasing their profits even if they made masses slogan of them. But ,unfortunately, we have to focus on this situation is not in connection only with musical problem. Because this musical problem will lead the problems to confusion of community and corruption of masses. So, this study proposes the cognition about educational duty and role of popular music and necessity of effort about recovery from educational, moral ability, also tries to find alternative on musical problems. 대중음악은 듣고 즐기는 단 한가지의 기능만 수행하는 단순한 유희의 도구가 아니다. 그것은 청소년을 상대로 이루어지는 교육활동이고 윤리적 삶의 표상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대중음악을 대중을 상대로 이루어지는 교육활동이고 도덕성을 형성하는 문화임을 인식하고 대중음악의 교육적 역할과 책임에 대해 주목하였다. 특히 청소년들의 대중음악에 대한 열정적 관심을 고려할 때 대중음악의 이러한 기능과 역할은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요즘 대중음악은 교육적․윤리적 기능과 역할을 상실한 채 쾌락만을 추구한다는 느낌을 지우기 어렵다. 견디기 힘들만큼 폭력적이고 선정적인 말과 표현 그리고 몸짓들이 난무하고 이러한 상황에 청소년들은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다. 이것은 ‘대중’을 기치로 내걸고 등장한 대중음악으로서 대중을 외면하는 처사이며 나아가 대중에 대한 예가 아니다. 마치 대중이라는 간판만 걸고 속으로는 자신들의 이익만을 쫓는 상업주의에 찌든 변질된 예술 활동이라는 느낌마저 들게 한다. 그러나 문제는 이러한 현상이 단지 음악만의 문제로 그치지 않고 사회의 혼란과 대중의 타락으로 이어진다는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중음악이 지니는 교육적 책임과 역할에 대한 인식과 교육적․윤리적 기능 회복을 위한 노력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모색한다.

      • 중고등학교 국어·윤리도덕과 교과서에 나타난 효 관련 내용 분석

        지봉환 ( Ji Bong-hwan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2019 韓國의 靑少年文化 Vol.33 No.-

        본 논문은 중고등학교 국어와 윤리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효 관련 내용의 수록 정도와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 국어 교과에는 다양한 방식으로 효내용이 실려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물론 국어 교육을 위한 것이기는 하지만 효를 생각하고 느끼고 실천의 필요성을 깨달을 수 있는 내용이라는 점에서 의미있는 기술이다. 윤리도덕교과에서는 독립단원으로 효를 다루고는 있었으나 내용은 단순히 부모와 자녀 사이에 필요한 덕목으로서의 효를 강조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었다. 효의 의미는 무엇이고 현대 사회에서 효를 강조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이며 효의 실천을 위해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등 효의 생활화를 위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관심이 부족했다. 교과서는 아이들의 삶을 형성하는 토대고 삶의 방향을 일러주는 지침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교육적 요소이다. 이런 점에서 교과서에 실려 있는 효 교육을 위한 내용을 살펴보는 일은 의미 있는 일이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of Korean and ethics. More specifically, it’s about how much those books are relevant to the filial piety and what kind of content they have. As a result, there’s a variety of filial piety-content in Korean textbooks. Although most of them are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t’s meaningful in that it can make students realize how precious filial piety is and help them think, feel about it. The textbooks of ethics and morals, meanwhile, discuss filial piety as an independent chapter. But most of the content is simply emphasizing filial piety as necessary virtue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There has been a lack of concrete and systematic interest in the practice of filial piety, such as what the true meaning of filial piety is, why it should be emphasized in modern society, and what should be done in order to practice filial piety. Textbooks are an important factor of education in that they are considered as the basics of living and they can also provide students with a better way of life. In this regard, it is meaningful to analyze the contents of filial piety education in those textbooks.

      • 현대 시(詩)에 나타난 효(孝) 의식

        지봉환 ( Bong Hwan Ji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 2015 韓國의 靑少年文化 Vol.26 No.-

        This study aims at searching for filial piety consciousness of modern poetry. Literature is not only repository of ideas but condensed emotions. Poets are interested in their lives, the lives of others and various lifcstyks which arc based on relationship. They also point Out problems in their lives. Filial piety is one of those problems. A famine of filial piety is especially singled Out as the culprit behind social problems by them. They want a recovery of filial piety. Plus, they think a lot of people stray away from the right path as a human being. Many poems arc put under this study, including 「Worry For Mother」 「Christmas Tide」「In Nostalgia」「Mother」「Tears Of Mother」「Parents」and 「Mother`s Day」 A subject of filial piety is the child. Attitudes toward parents are entirely determinedby unilateral decision of their child. Poets think the child can treat their parents more properly when they are culturally mature. And that tt·quires much attention to parents. If children treat their parents not like a human being but like a sort of object, they cannot help being undutiful . 111e valuc of parents are totally rdiant on children``s needs. Poets attach great importance to the fact that children``s way to look at their parents serves as the foundation for genuine identity of parents and makts thtr lives meaningful. l bere arc longing for parents and memories of parents in all of those poems. Yt-arning for parents is a kind of repentance for the failure to meet their obligations, gratitude for the love and devotion of their parents and tme recognition for where they came from. Poets`` Realization is the same with the warning that shows a departure from ordinary ways of human being. An interest in filial piety, which appear in modern poetry, is the same with paying careful attention to warning for modern society as well as guiding onto right path. This why this study pay attention to the piety consciousness of modern poetry.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그림에 나타난 교육적 의미

        지봉환 ( Ji Bong-hwa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8 韓國思想과 文化 Vol.92 No.-

        본 연구는 그림에 나타나는 교육적 의미를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그림은 인간다운 삶을 지지한다. 그림은 삶을 위한 삶의 이야기다. 그림은 지나온 자신을 돌아보고 지금의 자신을 바라보며 앞으로 전개될 자신의 삶을 내다보는 창이다. 그림은 어제와 오늘을 깨닫고 걸어야 할 내일을 제시한다. 그림은 삶을 가꾸고 삶을 이끈다. 어떻게 살았는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삶을 성찰하고 가다듬게 한다. 그림은 단순히 선과 색의 나열이 아니다. 사람들의 세계관과 가치관의 집적이다. 그림은 선과 색으로 펼치는 사상의 세계다. 그림 속에서 교육적 의미를 찾고자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림 속에는 다양한 사상이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림 속 교육이야기는 인간다운 삶에 대한 요구다. 교육은 인간다운 삶을 위한 사회적 장치다. 그림은 인간다움을 표현하고 그를 위한 교육적 가치를 제시한다. 이런 관점에서 그림 속 교육 이야기를 살펴보았다. 살펴 본 작품으로는 <소상팔경도>, <악양루도>, <마상청앵도>, <모견도>, <동자견려도>, <점심>, <목기깎기>, <모계영자도>, <대장간>, <씨름>, <고누놀이>, <고사관수도>, <오수초족도>, <강산조어도>, <고사탁족도> 등이다. 이 작품 속 교육은 크게 세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자연지향이다. 선조들에게 자연은 교육의 장이었다. 둘째는 관계지향이다. 관계는 교육의 기본 조건이다. 셋째는 여유지향이다. 여유는 자신을 성숙케 하는 힘이다. 자연과 관계 그리고 여유는 교육의 토대다. 그림이 보여주고 들려주는 교육 이야기는 교육이 걸어야 할 길의 제시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ducational meaning of paintings. Paintings are useful to live like a human being. Painting is life story for our lives. Through the paintings, we can look back on ourselves, find out who we are now, and look far into the life that is to come. Painting shows the past, present and the future given to us. Paintings support and lead our lives. Paintings give us a chance to reflect on how we lived in the past and how we should live. Painting is not just a array of several lines and colors. Values and beliefs of our people are also contained in it. Painting is a world of ideas, made with lines and colors. This is why we can fi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in the paintings. It is because various thoughts about our lives are ingrained in it. The educational stories in the painting tell us about our demand for humanity. Education is a social device for human life. Painting expresses humanness and presents educational value for that. In this respect, this study concentrates on educational story in the painting. This study covers sosangphalkyengdo(소상팔경도)/agyangludo(악양루도)/masangcheongaengdo(마상청앵도)/daejanggan(대장간)/mogyeondo(모견도)/dongjagyeonlyedo(동자견려도)/jeomsim(점)/moggikkakgi(목기깎기)/mogyeyeongjado(모계영자도)/ssileum(씨름)/gonunoli(고누놀이)/gosagwansudo(고사관수도)/gangsanjoeodo(강산조어도)/osuchojogdo(오수초족도)/gosatagjogdo(고사탁족도) and so on. Educations in these classical arts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hree major types. The first of them is desire for nature. Nature was a place of education for our ancestors. The second is desire for relationship. Relationship is the basic condition of education. The third is desire for composure. Composure is a motive power to mature ourselves. Nature, relationship and composure are the elements based on the education. The educational stories that the paintings tell and show are meaningful, because they are a reminder of the path of education.

      • KCI등재

        죽음교육의 정당화와 그것의 교수방법 탐구

        지봉환 ( Ji Bong Hwan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08 중등교육연구 Vol.56 No.3

        본 연구는 우리의 문화 속에 등장하는 죽음을 교육의 중심에 두어보려는 시도에서 이루어졌다. 죽음은 삶에 대한 물음이며 삶에 대한 관심이다. 그리고 보다 나은 삶을 위한 모색이며 노력이다. 이것은 곧 교육의 방향이기도 하다. 교육은 자신의 삶을 살펴보고 자신에게 물어보고 자신의 삶의 문제를 생각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기 때문이다. 삶의 가치는 죽음에 대한 자각을 통해 더해진다. 삶은 죽음과 상호보완적이기 때문이다. 의미 있는 삶은 죽음에 대한 자각의 결과이다. 죽음은 삶과 유기적으로 연결되며 삶의 통합적 일부이다. ``죽음``은 가치 있는 삶을 위한 근간이다. 그러므로 삶의 이해와 가치를 위해서는 죽음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죽음은 단순히 부정적인 것으로 인식하여 논하는 것을 금기시하고 꺼리어 왔으며 교육의 장에서도 외면해 왔다. 죽음교육은 자신의 생명을 마지막 순간까지 소중하게 이어가도록 하기 위한 가르침이다. 그러므로 삶과 죽음의 관계를 바람직한 방향에서 모색하여 역동적이고 총체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 따라 우리 문화를 통해 계승되어 오는 죽음의식과 사상가들의 죽음에 대한 의식을 토대로 죽음이 지니는 교육적 필요를 제안한다. This study was tried to put death on the center of educational issues. Death is a question about existence, concern for life, grope and effort for life. It is namely a portion of education. Because the education helps someone consider his life, ask himself about it and have a think. Like this, education is interest and love about life, and also means to promote value of life. Value of life is added through consciousness of death. Consciousness about death is an energy for valuable life. Because life has complementary relation to death. Meaningful life is a result of consciousness about death. Death is connected organically with life and death is unitive part of life. There is no life without death and the life, too, is adding that meaning through the death. Thus ``death`` is the basis for valuable living. Therefore understanding about death have to be together in order to understand life and manage valuable life. You need looking squarely death and an effort for learning something in this point in order to look back value of life. However education from until now has disliked and forbid that simply understanding death by unclean thing and having been looked away from place of education. Death education is teaching to make supporting themselves carefully until the end. Now we must grope for relation of life and death in desirable direction and also approach to it wholly and dynamically, not any more malformed moral education that leaned to ``life``. Hereupon I propose death education`s necessity on the basis of culture about death that is inherited in our life.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대중음악(大衆音樂)의 교육적(敎育的) 책임(責任)과 역할(役割)

        지봉환 ( Bong Hwan Ji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48 No.-

        대중음악은 듣고 즐기는 단 한가지의 기능만 수행하는 단순한 유희의 도구가 아니다. 그것은 청소년을 상대로 이루어지는 교육활동이고 윤리적 삶의 표상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대중음악을 대중을 상대로 이루어지는 교육활동이고 도덕성을 형성하는 문화임을 인식하고 대중음악의 교육적 역할과 책임에 대해 주목하였다. 특히 청소년들의 대중음악에 대한 열정적 관심을 고려할 때 대중음악의 이러한 기능과 역할은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요즘 대중음악은 교육적·윤리적 기능과 역할을 상실한 채 쾌락만을 추구한다는 느낌을 지우기 어렵다. 견디기 힘들만큼 폭력적이고 선정적인 말과 표현 그리고 몸짓들이 난무하고 이러한 상황에 청소년들은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다. 이것은 `대중`을 기치로 내걸고 등장한 대중음악으로서 대중을 외면하는 처사이며 나아가 대중에 대한 예가 아니다. 마치 대중이라는 간판만 걸고 속으로는 자신들의 이익만을 쫓는 상업주의에 찌든 변질된 예술 활동이라는 느낌마저 들게 한다. 그러나 문제는 이러한 현상이 단지 음악만의 문제로 그치지 않고 사회의 혼란과 대중의 타락으로 이어진다는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중음악이 지니는 교육적 책임과 역할에 대한 인식과 교육적·윤리적 기능 회복을 위한 노력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모색한다. Popular music isn`t a tool about amusement that carries out only one function for us to listen and enjoy. It is also education to juvenile and symbol of moral life. This study recognizes that popular music is not only a education toward the mass of people, but culture forming virtue, and pays attention to the educational duty and role of popular music. Considering the passion to popular song from juvenile, the capacity and role of popular song, like this, is problem that cannot be never overlooked. But it is difficult for us to neglect that popular song of present days go on following up pleasures, losing the moral, educational capacity and role. In not any security, most of teenagers are exposed to the situation like that violent or sexual words, expressions and gestures are rampant. And even anyone can`t stand that things. At first the popular music appears with `masses` as the slogan. But nowadays the popular music of this kinds are looking away from masses and even bad for them even. And such a popular music makes us feel that popular music is the changed artistic activities tarnished by commercialism and only chasing their profits even if they made masses slogan of them. But, unfortunately, we have to focus on this situation is not in connection only with musical problem. Because this musical problem will lead the problems to confusion of community and corruption of masses. So, this study proposes the cognition about educational duty and role of popular music and necessity of effort about recovery from educational, moral ability, also tries to find alternative on musical problems.

      • KCI등재

        청소년의 죽음의식 연구

        지봉환(Ji Bong Hwa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7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5

        청소년들의 자의식에 대한 문제의식은 항상 있어 왔다. 본 연구는 자의식의 본질을 삶과 죽음의식으로 설정하고 이를 규명하려는 의도에서 이루어졌다. 삶과 죽음에 대한 청소년 의식은 건강한 삶을 추구하는 청소년 정책 수립과 교육을 위한 단초가 될 것이다. 의식 조사 결과, 청소년들은 삶과 죽음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고, 삶의 태도와 죽음의 연관성에 대해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죽음교육은 삶의 가치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했다. 또한 죽음 이후의 세계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견해가 많았으나, 많은 청소년들이 죽음 후에 천국이나 극락에 가고 싶다고 응답해 대조를 보였다. 삶과 죽음에 대한 청소년들의 의식은 그들의 삶을 이끌어가는 중요한 원동력이다. 따라서 그들의 의식을 통해 드러난 의식의 부정성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려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이것은 청소년들이 자신들의 삶을 스스로 훼손하는 어리석음을 버리고 아름답고 가치있게 만들어 갈 수 있는 능력과 의지를 심어주는 길이기 때문이다. There has always been a critical mind about a teen's self-consciousness. This study is done with intent to set the essence of self-consciousness for the consciousness about life and death and then inquire about it. The consciousness about life and death will be the base to teach them. Teenagers are interested in life and death, and they have a positive attitude to the demeanor of life and the implication of death. They think death education contributes to their elevation of life's value. Also, they have a negative view of the world after death, but a lot of students want to go to paradise or heaven after they pass away. So, that research makes a contrast. A teen's consciousness about life and death is a powerful motive that leads their liv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an effort change their negative consciousness into cheerful thinking. This is the exact way which makes teenagers get rid of the ignorance that impairs their lives and plants an ability of dependence that makes their lives beautiful and valuable in their mi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