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들의 치과공포도와 심리적 강인성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련성

        지민경 중소기업융합학회 2018 융합정보논문지 Vol.8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치과공포도와 심리적 강인성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치과진료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접근성을 향상하고, 계속적인 구강건강관리 도모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7년 5월 1일부터 5월 30일까지 전북지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편의추출하여 자기기입식방법으로 설문을 작성하였다. 치과공포도와 심리적 강인성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주관적 안녕감과도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강인성과 주관적 안녕감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대학생들의 치과공포도, 심리적 강인성 및 주관적 안녕감은 서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치과에서는 구강건강증진을 위해 충분한 사전 의사소통을 통한 각 진료 역량에 맞는 심리적 대응을 고려하여 적극적인 대처법을 적용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university students’ dental fear and their psychological hardi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promote positive awareness of and access to dental service, and develop a plan for continuous oral health care. To collect data, convenience sampling of college students in North Jeolla Province was performed, and they were asked to complete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May 1 to 30, 2017. Dental fear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both psychological hardi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psychological hardi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University students’ dental fear, psychological hardi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were found to be correlated with one another; therefore, dental clinics need to apply a positive style of coping, taking into account psychological responses suitable for clinical competence on the basis of satisfactory communication, with the objective of promoting oral health.

      • KCI등재후보

        융복합시대 산업장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 및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지민경 중소기업융합학회 2017 융합정보논문지 Vol.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일부 산업장 근로자들의 직무 스트레스 및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과 주관적 행복감과의 관련성을 평가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근로자 22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조사는 2016년 8월 8일부터 9월 2일 까지 실시하였으며, 연구 도구는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본 연구에 적합하도록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WIN 18.0을 이용하여 t-test와 one way ANOVA, Scheffe'사후 검정 분석, Pearson correlation,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직무 스트레스와 구강건강영향지수, 직무 스트레스와 주관적 행복감과 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구강건강영향지수와 주관적 행복감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들은 성별, 주관적 경제 수준, 주관적 전신건강, 정기적 치과 검진, 직무 스트레스가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근로자의 주관적 행복감 향상을 위해 정기적인 산업 구강 중재 프로그램의 시행과 함께 긍정적으로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industrial workers' job stress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subjective happi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8 workers, from August 8 to September 2, 2016, research tool was the structured, anonymous,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WIN 18.0, t-test and one way ANOVA, Scheffe' post hoc test, Pearson correlation and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job stress and OHIP-14 and between job stress and subjective happiness and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OHIP-14 and subjective happiness. As for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affecting subjective happiness, gender, self-reported living status, self-reported general health, dental checkups, and job stress were significant variable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run an industrial oral intervention program on a regular basis and cope positively with stress with the objective of helping workers improve their subjective happiness.

      • KCI등재후보

        성인의 흡연과 치주질환의 관련성 - 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

        지민경,Ji, Min-Gyeong 한국전자통신학회 2012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7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19세 이상 성인의 흡연 상태와 치주질환 위험도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흡연이 치주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에서 전체 대상자의 CPI 평균은 1.92이었고, 전체 대상자 6989명 중 CPI가 0-2인 그룹은 4707명(67.3%), 3-4인 그룹은 2282명(32.7%)이었다. 혼란변수를 보정하지 않았을 때 CPI가 3 이상인 그룹에서는 전혀 흡연을 하지 않는 그룹에 비해 과거 흡연을 한 그룹에서의 치주질환의 유병율에 대한 위험도는 1.78배(95% CI:1.56-2.02), 현재 흡연을 하고 있는 그룹에서는 1.75배(95% CI:1.55-1.82)로 증가하였다. 성별, 연령, 교육수준과 당뇨병 유무를 보정하고도 치주질환의 유병율에 대한 위험도는 전혀 피우지 않는 그룹보다 과거 흡연한 그룹에서 1.28배 (95% CI:1.08-1.53), 현재 흡연하는 그룹에서는 1.82배(95% CI:1.54-2.16)로 높았다. 이에 흡연과 치주질환이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적극적인 홍보를 통한 환자 스스로의 확고한 인식확립과 더불어 치과위생사는 진료실 내 체계적인 금연교육지도를 함으로써 치주 건강향상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attempted in order to grasp the influence of smoking upon periodontal disease by analyz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moking realities and the periodontal disease risk in adults aged over 19 in our country. In the findings, the mean in CPI of the whole subjects was 1.92. Among 6989 whole subjects, the group whose CPI is 0-2 included 4707 people(67.3%). The group whose CPI is 3-4 included 2282 people(32.7%). As for the group whose CPI is more than 3 when confounder wasn't corrected, the risk on incidence of periodontal disease in the group with smoking in the past increased by 1.78 times(95% CI:1.56-2.02), compared to the group with no smoking. In the group with the current smoking, it increased by 1.75 times(95% CI:1.55-1.82). Even with correcting gender, age, educational level, and diabetes appearance, the risk on incidence of periodontal disease was higher by 1.28 times(95% CI:1.08-1.53) in the group with smoking in the past and by 1.82 times(95% CI:1.54-2.16) in the group with the current smoking than the group without smoking at all. Accordingly, smoking was indicated to be related to periodontal disease. Thus, the positive publicity needs to allow patients themselves to establish firm consciousness. In addition, dental hygienists need to perform systematic non-smoking educational guidance within doctor's office. Thus, it is thought to necessarily contribute to improving periodontal health.

      • KCI등재

        치석제거 건강보험 급여화에 대한 일부 지역주민의 인식도 및 만족도 융합연구

        지민경,이미라,정수진 중소기업융합학회 2018 융합정보논문지 Vol.8 No.1

        본 연구는 치석제거에 대한 인식과 치석제거 건강보험 급여화에 대한 인식도 및 만족도를 파악하여 치과건강보험의효율적인 보건정책을 위해 전북지역 거주민 389명을 대상으로 2016년 5월 30일부터 7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치석제거 적정횟수는 ‘연 2회’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적정 연령은 ‘20대부터’가 가장 높게나타났다. 둘째, 치석제거 급여화 인식도는 여자에서, 치주건강 관심도가 높은 경우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적용 만족도도 여자에서, 치주건강 관심도가 높은 경우 높게 나타났다. 넷째, 치석제거 인식도는 치석제거 급여화 인식도, 치석제거 급여화만족도와, 치석제거 급여화 인식도는 치석제거 급여화 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에 치석제거에 대한 지속적인인식 향상을 위해 올바른 정보 제공과 적극적으로 교육매체를 활용한 홍보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recognition of dental scaling and recognition of and satisfaction with health insurance coverage of dental scaling and make an efficient healthcare policy for dental health insurance; to do this, a survey was conducted in 389 residents in North Jeolla Province, drawing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he respondents were most likely to suggest that it was desirable to get dental scaling ‘twice a year’ and to start it ‘in their twenties’. Second, those who were female and who were more concerned about periodontal health were more likely to recognize coverage of dental scaling. Third, those who were female and who were more concerned about periodontal health were also more satisfied with the coverage.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make PRs by using teaching media positively as well as by giving correct information with the objective of improving recognition of dental scaling on a continuous basis.

      • KCI등재후보

        치과 병·의원에서의 구강보건교육업무에 대한 직무분석

        지민경,박영남,Ji, Min-Gyeong,Park, Young-Nam 한국전자통신학회 2012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7 No.5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들의 업무실태 및 비중을 조사함으로써 직무의 개선을 통한 체계적이고 바람직한 업무수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대상자의 일일 업무비중을 분석한 결과, 진료협조업무의 비율이 35.4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치주처치업무 21.54%, 행정 및 관리업무 16.08%, 구강보건교육업무 15.88%, 예방처치업무 11.23% 순으로 나타났다. 구강보건교육내용 및 구강보건교육자료의 종류별 활용비율에서는 대상자별 잇솔질 교육법이 3.70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구강보건위생용품사용법 3.51점, 정기검진에 대한 교육법 3.26점, 치과질환 예방교육법 3.13점, 식이조절교육법 1.39점 순으로 나타났으며, 악치모형물이 38.0%로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두로 설명 23.9%, 구강내 카메라 12.2%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치과위생사의 고유 업무라 할 수 있는 구강보건교육 및 구강질환의 예방관련 업무비율이 높이 않아 이에 지속적인 관심과 활용가치가 높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향후 환자의 구강보건교육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제도수립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attempted in order to offer basic data for performing systematic and desirable task through improving job by surveying the actual condition and the task weight in dental hygienists. As a result of analyzing daily task weight in subjects of this study, the ratio of medical-cure cooperation task was indicated to be highest with 35.45%. It was indicated to be in order of periodontal therapy service with 21.54%, of administration & management task with 16.08%, of oral health education task with 15.88%, and of preventive treatment service with 11.23%. As for kind-based utilization ratio of the oral health education contents and oral health education data, a toothbrushing education method by subject was indicated most highly with 3.70 points. It was indicated to be in order of usage on oral hygiene device with 3.51 points, of educational method on regular check-up with 3.26 points, of educational method of preventing dental disease with 3.13 points, and of educational method on diet control with 1.39 points. Jaw-plate model was indicated to be used the most with 38.0%. It was indicated to be in order of orally explaining with 23.9% and of camera inside the mouth with 12.2%. Thus, establishment of a system is considered to be necessary in order to promote quality of oral health education for patients in the future by performing diverse programs with high utilization value in addition to a steady interest.

      • 유아 정서조절능력, 유아-교사 관계의또래유능성과의 관련성 연구

        지민경,정계숙 한국생애학회 2011 생애학회지 Vol.1 No.1

        The study purposed to examine a relationship with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skills, child-teacher relationships and peer competence. The subjects were 211 five-year-old kindergarten children. The Emotional Regulation Skills Scale, Teacher-Child Relationship Scale. and Peer Competence Scale were all completed by teachers.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who have better emotional regulation skills for themselves and others excel more in peer competence, specifically involving sociality, pro-sociability and initiatives. Secondly, children who are on closer terms and in less conflicts with their teachers are better at competently dealing with their peers. Thirdly, overall peer competence is most greatly influenced by the child's emotional regulation skills toward others, then followed by the order of self-regulating skills, dependency and intimacy. The importance of teachers' guidance on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nd close child-teacher relationships which enhance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is discussed.

      • KCI등재후보

        일부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구취실태와 스트레스 및 강박증과의 관계 연구

        지민경,이미라,Ji, Min-Gyeong,Lee, Mi-Ra 한국전자통신학회 2012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7 No.5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본인자각구취의 관련요인과 스트레스 및 강박증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구취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전체 대상자의 스트레스 평균은 1.76점, 강박증의 평균은 1.62점, 본인자각구취도의 평균은 1.84점으로 나타났다. 혀에 흰 막이 가끔 끼는 군에서 스트레스 1.79점(p=0.003), 강박증 1.64점(p=0.042), 본인자각구취 1.89점(p=0.001), 본인의 구강 내 증상에서는 혀가 하얗고, 입안이 끈적인다고 느끼는 군에서 스트레스 2.02점(p=0.000), 본인자각구취 2.00점(p=0.000)으로 나타났다. 구강건조감에서는 자주 느끼는 군이 스트레스 2.23점(p=0.000), 강박증 1.95점(p=0.000), 본인자각구취 1.89점으로 나타났다(p=0.046). 본인자각구취는 강박증과 r=0.133으로 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스트레스와 강박증은 r=0.425로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에 구취의 다양한 원인을 파악함과 더불어 정서적 요인에 대해 관심을 가지며, 미래의 환자 구취 관리를 담당할 치과위생사로서 꾸준한 교육을 통한 인식의 고취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offer basic data for preventing halitosis by understanding about the factors related to self-awareness of halitosis and about the relationship with stress and compulsion targeting students for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As a result of research, the whole subjects were indicated to be 1.76 points for the mean in stress, 1.62 points for the mean in compulsion, and 1.84 points for the mean in self-awareness of halitosis. The group of feeling the tongue to be white and the inside of the mouth to be sticky in own symptom inside the mouth was indicated to be 2.02 points(p=0.000) for stress and 2.00 points(p=0.000) for self-awareness of halitosis. The group of often feeling a sense of oral dryness was indicated to be 2.23 points(p=0.000) for stress, 1.95 points(p=0.000) for compulsion, and 1.89 points(p=0.046) for self-awareness of halitosis. The self-awareness of halitosis stood at r=0.133 with compulsion, thereby having indicated slight positive correlation. Stress and compulsion showed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r=0.425. Accordingly, there is a need of infusing recognition through steady education as a dental hygienist who will have interest in emotional factor along with grasping diverse causes for halitosis, and who will be in charge of a future patients' halitosis.

      • KCI등재

        일부 치위생전공 대학생들의 외모만족도, 자아효능감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지민경,이미라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를 조절하고자 외모만족도, 자아효능감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교육적 방향 구축과 심리적 자원을 탐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 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9년 11월 25일부터 12월 13일까지 충청·전라도 치위생학과에 재학 중인 연구 에 동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편의추출하여 자기기입식 설문법을 작성하였다. 외모만족도는 자아효능감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취업스트레스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자아효능감과 취업스트레스는 음의 상관관 계를 나타내었다. 취업스트레스의 영향요인은 자아효능감, 외모만족도, 전공만족도로 나타났다. 이에 치위생전공 대학생들의 취업역량 집중강화를 위해 올바른 미적 가치관에 기반한 긍정적인 외모 수용과 자아효능감 증진을 융합한 실제적인 상담프로그램이 고려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is descriptive research aimed at determining the relations with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in controlling job-seeking stress and at providing basic data necessary to decide on an education direction for better career maturity and explore psychological resources. For data collection, convenience sampling was performed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consenting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in Chungcheong and Jeolla Provinces to complete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November 25 to December 13, 2019. Appearance satisfa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an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seeking stress; self-efficac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seeking stress. The factors affecting job-seeking stress were self-efficacy, appearance satisfaction, and major satisfaction.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a practical counseling program targeting the combination of positive appearance acceptance and improvement in self-efficacy on the basis of correct aesthetic values with the objective of reinforcing job-seeking competence intensively among dental hygiene majors.

      • KCI등재후보

        일부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자아탄력성과 구강건강증진 생활양식의 연관성

        지민경 중소기업융합학회 2017 융합정보논문지 Vol.7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일부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자아탄력성과 구강건강증진 생활양식의 연관성을 파악하 고, 관련요인을 규명하여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은 고등학생 287명으로 하였고, 연구도구는 본 목적에 적합하도록 수정·보완한 구조화된 무기명 개별자기기입법 설문지를 사용하 였으며, 자료는 SPSSWIN 18.0을 이용하여 Pearson correlation,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등으로 분석하였다.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과 구강건강증진 생활양식은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자아탄력 성과 구강건강증진 생활양식도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어머니 학력, 과거 구강건강행동,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 은 32.3%의 설명력으로 구강건강증진 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 이 구강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연관성이 있으므로 이를 접목하여 향상시킬 수 있는 구강보건교육 활성화 증대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ssocia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self-resilience, and oral health promotion lifestyle, identify relevant factors, and provide basic data for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7 students, research tool was the structured, anonymous,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WIN 18.0, Pearson correlation and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et al.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elf-efficacy and self-resilience and between self-efficacy and oral health promotion lifestyle and positive correlation was also found between self-resilience and oral health promotion lifestyle. Mother's education, past oral health behavior, self-efficacy, and self-resilience affected oral health promotion lifestyle, with the explanatory power of 32.3%. Since self-efficacy and self-resilience are correlated with oral health promotion lifestyl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lan for activating oral health education with the objective of improving the combination of these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