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두부 외상 후 두개골 골절 환아의 두개내 출혈 위험요인

        지명희(Ji, Myoung-Hee),최혜란(Choi, Hye-Ran) 한국기초간호학회 2020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22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of intracranial hemorrhage in children with skull fractures from head trauma. Methods: The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205 patients diagnosed with a skull fracture in a pediatric emergency room. Data were analyzed using χ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WIN24.0 program. Results: Intracranial hemorrhage was diagnosed in 71 patien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hemorrhagic group and non-hemorrhagic group in age group, places of accident, type of accident, location of the fracture, and symptoms. Intracranial hemorrhage by age group was higher in school-age and adolescence than in infancy. The places of accidents of hemorrhage were higher in street and school than in the home. The types of an accident of bleeding were higher in the case of knock and traffic accident than in fall. Symptoms of nausea, headache, and loss of consciousnes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intracranial hemorrhage.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knock (OR=3.29, 95% CI=1.50-7.22), traffic accident (OR=4.78, 95% CI=1.31-17.43), nausea (OR=4.18, 95% CI=1.42-12.31), and loss of consciousness (OR=3.29, 95% CI=1.41-9.50) were risk factors for intracranial hemorrhage. Conclusion: In this study, the risk factors of intracranial hemorrhage were identified in pediatric patients with skull fractures caused by head trauma. It is recommend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be used to manage and educate patients, caregivers, and medical staff after head trauma hemorrhage.

      • KCI등재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죽음상실과 애도에 관한 연구동향 :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이민정,지명희,김해승,신주연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23 초등상담연구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죽음상실과 애도에 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 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 방향의 시사점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만 19세미만의 아동과 청소년으로 죽음, 사별, 상실, 애도의 주요 검색어를 통하여 2022년 12월까지 발행된 한국연구재단 학술지 논문 중 31편을 선정하고, 발행연도별 논문 수와 연구자 영역, 연구대 상, 연구방법, 연구내용으로 범주화하여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죽음상실과 애도에 관한 학술연구는 1998년에 처음 출판되 기 시작하여 2014년에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이후 감소하는 추세이고, 상담 및 심리치료 영역 에서 가장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연구대상별 분석결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44%)가 가장 많았고 초등학생 대상 연구(38%), 취학 전 아동 대상 연구(18%)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 분석결과, 질적연구(54.8%)가 가장 많이 수행되었고, 문헌연구(29%), 양적연구(13%), 혼합연구(3.2%)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죽음상실의 대상은 부모(69.6%)가 친구 나 또래관계(30.4%)보다 많았다. 죽음상실의 원인은 부모의 죽음상실인 경우 갑작스러운 죽음 이 가장 많았으며, 친구나 또래관계에서의 죽음상실의 원인은 자살과 갑작스러운 죽음이 있 었다. 치료적 개입방법으로는 놀이치료나 미술치료와 같은 매체활용기반의 치료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죽음상실과 애도에 관한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n death loss and mourning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to explor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on this basi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31 of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s academic papers published until December 2022 were selected through search terms for infants, childr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dolescents, death, loss, and mour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ademic research on death loss and mourning for children began to be published in 1998 and increased rapidly in 2014, but has been on the decline since then, and research is being conducted most actively in the field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y study subject, studies on adolescents were the most common (44%), followed by studie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38%) and studies on pre-school children (18%). Third, as a result of research method analysis, qualitative research was carried out the most (54.8%), followed by literature research (29%), and quantitative research (13%). Fourth, parents (69.6%) were more likely to lose death than friends or peer relationships (30.4%). Sudden death was the most common cause of death in the case of loss of parents, and suicide and sudden death were the causes of death in friends and peer relationships. As a therapeutic intervention method, media-based treatments such as play therapy and art therapy were actively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on death loss and mourning for children and the direction of subsequent studies were presented.

      • KCI등재

        청각장애 교사가 경험한 팬데믹 이후 학교에서의 변화와 지원요구 탐색

        김환희(Kim, Hwan-hee),송혜미(Song, Hyemi),지명희(Chi, Myounghee),이영선(Lee, Youngsun)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1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9 No.1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청각장애 교사가 경험하고 있는 학교에서의 변화와 지원요구를 탐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특수학교에서 근무하는 청각장애 교사를 대상으로 서면 인터뷰 및 비대면 온라인 면담을 활용하여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들을 지속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의미 있는 코드로 세분화하는 과정을 거쳐 총 6개의 상위주제와 13개의 부주제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청각장애 교사의 경험과 지원에 대한 경험 및 요구라는 두 가지 주제로 정리되었으며, 청각장애 교사의 경험으로는 학생들을 만나는 교사로서의 경험과 함께 일하는 동료로서의 경험으로 나누어 분석되었고, 지원에 대한 경험 및 요구로는 의사소통 지원, 온라인수업 준비지원, 행정적 지원 등 세 가지의 하위범주로 나누어 결과들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청각장애 교사의 의사소통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과 온라인 기반의 수업을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지원, 실효성 있는 장애인 보조공학기기 지원에 대한 필요성을 언급하였고, 이와 더불어 보조인력의 체계적인 운영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teachers of the deaf in special needs schools and the support they require in context of the COVID-19 pandemic. To achieve this objective, qualitative data was collected through written interviews and online interviews of the teachers, and analyzed into seven top-level topics and eleven sub-topics through a process of subdivision into meaningful codes using a constant comparison method. The findings were organized into the two main themes of “experience” and “needs for support” in terms of the teachers’ experiences and the support they require caused by the COVID-19 situation. For the theme of experience, the interactions of meeting students as a teacher and of working with colleagues were analyzed; under the theme of support requests, the results were presented in three subcategories of communication support, support for online class preparation, and other administrative support.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measures to help overcome communication problems encountered by teachers of the deaf and provide support to run quality online classes as well as support for more effective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for these groups. Additionally, the study reveals the need for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support personn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