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漢韓外來語對比硏究

        주효파,림승배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10 中國學論叢 Vol.29 No.-

        중국은 하나의 통일된 다민족 국가이다. 그러한 까닭에 중국어 가운데 외래어는 타국가민족의 언어에서 유래한 것 말고도 자국의 소수민족 언어에서 유래한 것이 아주 많다. 그러나 한국어의 외래어는 주로 중국어, 일어와 서방국가의 언어에서 유래한 것이 대부분이다. 이는 한국민족이 단일민족이라 하지만 역사적으로 볼 때 오래도록 중국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였고, 근대에 이르러 한 차례 일본에 강점되어 그 언어사용을 강요당한 시기가 있었으며, 그 이후에 현대 경제의 고도성장 과정에 있어 서방국가들과의 빈번한 교류와 큰 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이 외래어가 언어문화의 전파 과정 중에 상당히 중요한 작용을 일으켜 각종 언어들이 모두 적절하게 외래어를 수용하도록 하였을 것이다. 중국어는 고립어에 속하고 한국어는 교착어(첨가어)에 속한다. 한자는 표의문자이고 한글은 표음문자로서, 이 두 종류의 언어, 문자는 각기 다른 특징을 지녔다. 따라서 중국어와 한국어는 외래어를 차용하는 과정에 있어 각기 다른 특징이 출현할 수 있는 여지가 충분하였고, 각자 독특하게 지닌 매력을 표현해낼 수 있었다. 중국어와 한국어 가운데 모두 대량의 외래어가 존재하고 있으나 이 두 종류 언어의 외래어는 역사, 기원, 기본형식, 상용상황 등에 있어 비슷한 점을 지니거나 또는 다른 점을 지니기도 하는데, 이는 해당 두 종류 언어 자체의 특징과 다른 문화심리의 특징이 잘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基于认知语言学理论的汉语离合词现象分析 - 兼谈离合词的对外汉语教学

        주효파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3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4 No.1

        한어 이합사의 어법 범주에 관하여 세 가지 상이한 인식이 있다. 그것은 바로 단어설, 구설, 단어 및 구 병용설이다. 인지언어학에서는 다음과 같이 이를 본다. “어법 단위는 일종의 중요한 어법범주로서 비이산적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언어 가운데 비이산적 연속성이 존재하는 ‘단어-구 연속통’이다.” 본문에서는 ‘형태소’, ‘단어’, ‘구’라고 하는 원형의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합사는 바로 ‘단어-구’사이에 존재하는 연속통 중의 어법단위임을 증명하고, 아울러 언어란 복잡한 것이고, 언어 단위 간의 차이는 점진적으로 변하는 것임을 밝히고자 한다. 그래서 칼로 양분하는 식으로 언어 단위를 구분하는 것은 인식상 또는 실천상에서 모두 통할 수 없는 것이다. 동시에 대외한어 교학에서는 마땅히 명칭관련 논쟁을 피하고 语块교학법으로 이합사의 교학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본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基于认知语言学理论的汉语离合词现象分析

        周?波(주효파)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3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3 No.3

        한어 이합사의 어법 범주에 관하여 세 가지 상이한 인식이 있다. 그것은 바로 단어설, 구설, 단어 및 구 병용설이다. 인지언어학에서는 다음과 같이 이를 본다. “어법 단위는 일종의 중요한 어법범주로서 비이산적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언어 가운데 비이산적 연속성이 존재하는 ‘단어-구 연속통’이다.” 본문에서는 ‘형태소’, ‘단어’, ‘구’라고 하는 원형의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합사는 바로 ‘단어-구’사이에 존재하는 연속통중의 어법단위임을 증명하고, 아울러 언어란 복잡한 것이고, 언어 단위 간의 차이는 점진적으로 변하는 것임을 밝히고자 한다. 그래서 칼로 양분하는 식으로 언어 단위를 구분하는 것은 인식상 또는 실천상에서 모두 통할 수 없는 것이다. 동시에 대외한어 교학에서는 마땅히 명칭관련 논쟁을 피하고 ??교학법으로 이합사의 교학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본다.

      • KCI등재

        ≪로걸대 (老乞大)≫, 연구개황여개전신로(硏究槪況與開展新路)

        박병선,주효파,박용진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12 中國學論叢 Vol.38 No.-

        본 연구는 기존의 ≪老乞大≫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새로운 문제점과 대책을 모색하고자 함이 연구의 주요한 목적이다. 이에, 먼저 ≪老乞大≫연구에 관련하여 1979년에서 2011년 사이에 중국 CNKI에 수록된 기간논문 95편, 석사논문 5편, 박사논문 4편을 중심으로,≪老乞大≫연구를 개괄적으로 살펴보았고, 다시 각각의 연구 분야별로 세분화하여 그동안 연구된 연구현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老乞大≫연구의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지금까지 토론된 ≪老乞大≫연구의 특징은 (1) 지속성을 가진 연구 특성을 보였고,(2) 언어 위주의 연구 특성을 보였고, (3) 마지막으로 비교법을 사용하는 연구 특징을 보였다. ≪老乞大≫연구의 문제점으로는 분석이 너무 언어적인 면에 치우쳐 있다 는 것이며, 연구방법 역시 비교법이라는 한 가지 방법만을 사용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老乞大≫연구가 문화적인 시각(여행, 무역, 의학, 음식 등)을 가져야 하며, 연구방법 역시도 현장조사라는 좀 더 실제적인 방법도 사용하면 좋을 것 같다는 제안을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