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훈육의 구조에 관한 연구

        주향란 ( Hyang Lan Ju ),손경원 ( Kyung Won So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3 윤리교육연구 Vol.0 No.29

        본 연구는 초등학교 훈육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훈육의 실태를 조사하여 훈육의 구조(훈육의 지원체계, 훈육 유형, 목표행동)를 도출하였다. 3~6학년 초등학교 교사 16명을 대상으로 학급운영과 훈육방법에 관한 면접과 설문을 실시하고, 각 교사들의 학급운영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4~6학년 12개 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사의 훈육유형과 학급규칙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전사 기록, 설문지, 문서, 학급 일상생활 관찰 기록 자료를 토대이론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의 세 가지이다. 첫째, 훈육의 지원체계는 교실 훈육의 원활한 실시를 위해 필요한 인적요소, 관리영역, 환경요소로 구성되었다. 둘째, 교사의 훈육유형은 교사의 훈육 방향을 결정짓는 주요 요소로서 문제 상황 인식, 동기부여 방법, 훈육계획에 있어 접근하는 관점에 따른 교사의 8가지 훈육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셋째, 목표행동은 학급규칙과 보상 및 결과 시행으로 구분되며, 학생과 상호소통하며 목표행동을 관리하는 교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of discipline for searching the plans of discipline according to each teacher`s tendency and sense of values.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discipline through understanding the discipline structure(supporting system, discipline type. achievement behavior). A qualitative study was performed about the actual conditions of discipline in school. Also a phenomenon was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 data. We conducted interviews and surveys targeting 16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3th~6th grade classes about classroom management and the strategy of discipline. Another survey was conducted by 4th~6th grade students about the types of each teacher`s discipline and classroom rules. Collected transcription records, questionnaires, documents, classroom life observation records were analyzed by grounded theory. From this we drew the conclusion of the structure of discipline in elementary school. The structure of discipline wa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upporting system that was composed of human resources factor, management factor, environment factor required for smooth discipline. Second, 8 types of discipline according to approaching views to understanding the problem situation, a way of motivation, the plans of discipline as the main factors that decided the direction of discipline, Third, classroom rules decided by achievement behavior, compensation and consequences. Students prefer the teacher who controls achievement behavior communicating with them.

      • KCI등재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인성교육 기반 긍정적 행동지원의 이론과 실제

        손경원(kyungwon Son),주향란(Ju Hyang La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7

        본 연구는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인성교육을 문제행동의 지도를 포함한 통합적 인성교육 으로 확대하고 환경과 개인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긍정적 행동지원의 초등학교 모델을 제안하 였다. 초등학교 시기의 문제행동은 환경과 개인 특성의 상호작용을 통해 청소년기의 일탈적 삶의 양식으로 고착된다. 학교폭력 예방 및 인성교육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초등학교 시기의 문제행동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지에 달려있다. 긍정적 행동지원은 학부모와 전문가들이 교사들과 협력하여 문제행동의 기능을 분석하고 환경조건을 바꾸고 대안적인 기술을 교육하여 학생의 문제행동을 개선하려한다. 본 연구는 1차 중재에 도덕교육을 포함시켜 생활지도와 교과교육의 연계를 확립하고 문제행동의 심각성 에 따라 위계적 중재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각 중재 단계와 활동을 초등학교 현장에서 실현 할 수 있을 정도로 구체화하였다. We would suggest the school-wide positive action support elementary school model considering interaction of environment and an individual that expands character education to prevent school bullying for integrated character education including guiding of misbehavior. The mis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period is sticked as deviate life style through interaction of environment and an individual quality. It depends on how effectively we could improve mis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period to raise practical effect of character education and prevent school bullying. School-wide positive action support has become known as a influential model of intervention based on analyzing the function of misbehavior by cooperating with parents of students and experts in order to decrease the misbehavior. This Study suggest Positive Action Support including moral education that not only expand first intervention to include moral education but also consisted with hierarchical intervention. Also, We developed three kinds of intervention in a concrete way which can be applied in the elementary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