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치은의 biotype이 결합조직이식 후 치근피개도에 미치는 영향

        주지영,이주연,김성조,최점일,Joo, Ji-Young,Lee, Ju-Youn,Kim, Sung-Jo,Choi, Jeom-Il 대한치주과학회 2009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39 No.2

        Purpose: The integrity of interproximal hard/soft tissue has been widely accepted as the key determinant for success or degree of root coverage following the connective tissue graft. However, we reason that the gingival biotype of an individual, defined as the distance from the interproximal papilla to gingiva margin, may be the key determinant that influence the extent of root coverage regardless of traditional classification of gingival recession. Hence,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with an aim to verify that individual gingival scalloping pattern inherent from biotype influence the level of gingival margin following the connective tissue graft for root coverage. Methods: Test group consisted of 43 single-rooted teeth from 21 patients (5 male and 16 female patients, mean age: 36.6 years) with varying degrees of gingival recession requiring connective tissue graft; 20 teeth of Miller class I and 23 teeth of Miller class III gingival recession, respectively.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contralateral teeth which did not demonstrate apparent gingival recession, and thus not requiring root coverage. For a biotype determination, an imaginary line connecting two adjacent papillae of a test tooth was drawn. The distance from this line to gingival margin at mid-buccal point and this distance (P-M distance) was designated as "gingival biotype" for a given individual. The distance was measured at baseline and 3 to 6 months examinations postoperatively both in test and control groups. The differences in the distance between Miller class I and III were subject to statistical analysis by using Student.s t-test while those between the test and control groups within a given patient were by using paired t-test. Results: The P-M distance at 3 to 6 months postoperativel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iller class I and Miller class III.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est and control group in a given patient, either, both in Miller class I and III. Conclusions: The amount of root coverage following the connective tissue graft was not dependent on Miller's classification, but rather was dependent on P-M distance, strongly implying that the gingival biotype of a given patient may play a critical impact on the level of gingival margin following connective tissue graft.

      • KCI등재

        한강의 「아기부처」에 나타난 혐오의 폭력성과 공거의 윤리

        주지영(Joo, Jiyoung) 한국현대소설학회 2022 현대소설연구 Vol.- No.86

        This articl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in the Han Gang’s novel “Baby Buddha” and the aspect of ethics. This article used Judith Butlers concept of ethical subject. The ethical subject reflects on his/her own condition of establishment, universal norms, and aims to cohabitation with others while being aware of the subjects physical vulnerability and other natural inertia. In Chapter 2, focusing on his burn scar, the process in which the abnormalities is differentiated by universal norms, becomes an object of disgust, and only the normal is composed of the subject was examined. In Chapter 3, the process of eradicating otherness by the self-identical subject “I” and suppressing others was examined in the order of “sympathy,” “hate,” and “favor and punishment.” In Chapter 4, we looked at the process in which the subject “I” realizes the subjects fundamental vulnerability and interdependence with others through reflective reflection, recognizes otherness, and aims to cohabitation with others.

      • KCI등재

        두 개의 태양, 그리고 여왕봉과 미망인의 거리 : 이상의 〈날개〉를 중심으로

        주지영(Joo Ji-young) 한국현대문학회 200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7

        본 논문은 이상의 〈날개〉를 고찰함으로써 이상의 작품에 나타나는 ‘연애’와 ‘생활’의 의미를 구명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다음 세가지 점에 주목하여 이상의 〈날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하나는 〈날개〉의 에피그램과 본 서사와의 관련성을 풀어내기 위해 구조적인 측면에서 접근하는 방식이다. 이 작품의 서두에 제시된 에피그램은 크게 세부분으로 나뉜다. 작품의 중심내용과 기법, 독자에게 요구되는 독법, 작가의 의도가 그것이다. 이 세 개의 의미망에 기반을 두고 작품의 내용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보자면 여인과의 생활이 중심내용이 되고 있는 이 작품에서 작가는 위트와 아이러니, 패러독스를 기법으로 삼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이 세상을 바라보는 안목을 독자에게 보여주고자 했다고 파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날개〉는 ‘거울 이미지’가 두드러진다. 〈날개〉의 공간은 거울과 관련된 주체의 상황에 따라 분리된다. 거울을 보는 나(나), 거울에 비친 나(안해), 거울에 보이는 나(방 안의 나), 거울에 보이지 않는 나(방 밖의 나)로 각각의 공간이 나뉘게 된다. 이러한 가정을 통해 ‘두 개의 태양’은 태양이 거울에 비친 상황을 의미하며, 안해에 의해 길들여지는 ‘나’의 관계를 시사한다. 그렇지만 안해 역시 모방하는 자에 불과하다. 마지막으로 〈날개〉에 등장하는 ‘여인’의 의미이다. 이 작품에는 ‘여인’과 관련된 여러 기표가 등장한다. ‘여왕봉’, ‘미망인’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기표의 의미는 ‘여인과의 생활’을 설계한다고 표명한 작품 서두의 에피그램을 참고하여 유추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여왕봉’, ‘미망인’ 등은 생물학적인 여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여왕봉은 경제적인 주도권을 쥐고 있는 가장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인간을 표상하며, 미망인은 그러한 가장으로서의 역할에 충실하여 다른 한 쪽을 배제하는 폭력적인 인간을 환기시킨다. 이러한 인물들은 모두 일상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생활인으로서, 20세기의 시공간 속에서 19세기적 근대를 무비판적으로 추종하는 인물들을 표상한다. 이상과 같은 논의는 이상의 다른 작품들과의 관련성을 토대로 하여 더 연구될 필요가 있다. 특히 ‘연애’와 ‘생활’의 문제가 함께 논의될 때 〈날개〉가 갖는 의미는 더욱 풍부해질 것이다. This writing analyzed Lee-Sang's The Wings. The result of this writing will be make a possibility of revealing meaning of 'love' and 'life' which appears in Lee-Sang's literature. This writing assumes the next three kind. First, the narrative is connected in epigram next parts, epigram and the narrative closely ties a relation from the text structure. The epigram divided in three parts. It is said that core contents and technique, the method reading, intention of the author. When trying to be like this, The Wings is regarded that put in the life with a woman with core contents, used a wit, irony and paradox with technique, as a result, the reader will be able to guess the view of the world of the author. Second, 'the mirror image' appears prominently. The space of the text is divided according to situation of the subject which relates with the mirror. Each space gets divided : the subject who sees the mirror (I), the subject who shines in the mirror (wife), the subject who is visible in the mirror (the hero was inside the room), the subject who is not visible in the mirror (the hero was outside the room). When assumes like this, we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two suns' means the situation where the sun is visible in the mirror. The hero comes to tame in compliance with the wife. However the wife learns and imitates the method from relationship with the others. There is a necessity which last, we will pay attention in meaning 'woman'. In this text, some signifiant appears, for example 'queen bee', 'widow', it is relation with the woman. It does not mean the woman as the biological sex. 'Queen bee' means the head of family that has a right economic activity, so to say a patriarch or a matriarch. 'Widow' means the violent person that is faithful to the role head of a family and excludes one´s spouse from a place, activity or right. Like this people could not get out the little ordinaries. Those signifiant represent that they follow uncritically 19th century modern times, even though they are living in 20th century. There is a necessity which research magnifies the scope with the Lee-Sang's literature. If includes that subject, the meaning of The wings has become more abundantly.

      • 한국 전력시장 환경을 고려한 소형열병합발전기의 요금 기반 기동정지계획

        주지영(Jhi-Young Joo),안상호(Sang-Ho Ahn),김동현(Dong-Hyeon Kim),박근표(Geun Pyo Park),윤용태(Yong Tae Yoon) 대한전기학회 2006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6 No.7

        발전기의 기동정지계획(unit commitment)에 있어서 전통적인 방식은 발전기를 기동/정지하는 데 드는 비용(cost)을 기반으로 결정해 왔다. 그러나 전력시장의 변화에 따라 발전기의 기동정지계획에 전력 요금(price)의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요금에 기반한 기동정지계획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요금 기반 기동정지계획을 한국의 전력시장 환경에서 소형열병합발전기(micro-CHP(combined heat and power))에 적용해 본다. 한국의 전력시장에서 주택에 사용되는 전력 요금에 대해서는 누진제가 적용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아파트에 설치된 소형열병합발전기의 요금 기반 기동정지계획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전력 요금의 누진제가 기동정지계획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 KCI등재

        전광용 단편소설에 나타난 서사구조의 유형화

        주지영 ( Joo Ji-young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6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2

        이 글은 전광용 단편소설에 나타난 서사구조에 주목하여, 서사구조를 유형화하여 그 특성을 검토함으로써 전광용의 작품 세계의 한 특징을 밝히고자 한다. 전광용 소설은 기본적으로 기본 서사, 회상 서사로 이루어진다. 기본 서사는 인물이 현재 경험하는 내용을 다루는 단위(A단위)로 이루어져 있다. 회상 서사는 기본 서사의 시간 밖에 있는 외적 회상이 주를 이룬다. 외적 회상은 회상의 내용이 기본 서사와 연결되지 않고 고립된 정보를 제공하는 부분적 회상에 해당하는 단위(B단위)와, 기본 서사와 밀접하게 연결되면서 서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완결된 회상에 해당하는 단위(C단위)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주인공이 처한 상황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운명론적 체념이 제시되고 있다. 첫 번째 유형의 작품들은 A단위, B단위를 지니고 있다. A단위는 인물들의 현재 상황을 다루고 있다. B단위는 일제시대, 해방공간, 6.25 전쟁, 피난 시기까지를 다루고 있다. 여기서 B단위의 회상은 A단위와 긴밀하게 연결되지 않고 B단위의 시간과 관련된 단순한 정보를 제시하는데, 일종의 시대적 배경을 제시하는 역할만 할 뿐이다. 그리고 인물들은 자신이 처한 상황을 운명으로 받아들이고 체념한다.두 번째 유형은 첫 번째 유형처럼 A단위, B단위를 모두 지니고 있다. 여기에 C단위가 삽입된다. 곧 기본 서사 A단위와 밀접하게 연결되면서 서사에 중요한 부분을 형성하는 `완결된 회상`에 해당하는 C단위가 삽입된다. 이 C단위가 개입해 A단위와 B단위를 매개한다. 그로 인해 이유형의 작품은 A단위, B단위, C단위가 긴밀하게 연결되면서 첫 번째 유형의 작품보다 1950년대 한국사회의 현실을 보다 구체적으로 다루게된다. 그리고 상황에 대한 인물의 운명론적 체념은 첫 번째 유형에 비해 현저히 약화된다. 세 번째 유형에 해당하는 작품은 B단위에서 일제시대, 해방, 6·25전쟁 시기를 다루는 내용이 거의 미미해지고 C단위도 약화되면서, A단위에서 인물이 처한 현재 상황만을 다루는 쪽으로 나아간다. 이 유형에 해당하는 작품은, B단위에서 미미하나마 일제시대, 해방, 6·25전쟁을 끌 고 오는 경우와, 해방과 6·25전쟁 시기를 배제하고 `신라 시대`, `조선 시대` 등으로 대체하는 경우로 구분된다. B단위의 이러한 측면으로 인해 A단위는 단편적 현실을 다루거나, 현실 자체를 추상화한다. 그리고 인물들은 자신이 처한 상황으로부터 도피하거나 추상적 깨달음으로 나아간다. This study has an intention of researching the characteristic of narrative structure and it`s changeable aspects and the meaning of his works on Jeon Gwang-yong`s short novels. Jeon Gwang-yong`s short novels has been composed of three narrative levels. The first narrative level is composed of the unit of the contents that characters experience in the present(A unit). The second narrative level is composed of the unit of the contents that characters experience in the past(B unit). The third narrative level is composed of the unit of the contents that characters handle the present problem. The first type is made up of this three unites. A unit treats events that characters experience in the present. B unit treats events that characters experience in the past like Japanese colonial era, the liberation, the Korean War. C unit treats events that characters put their present state of affairs as fate. The second type is made up of this three unites like the first type and add the unit(D unit) connecting A unit and B unit. The third type excludes B unit and D unit and C unit. As a result, the third type treats only A unit.

      • KCI등재
      • KCI등재

        漢詩에 나타난 江原道 高城의 심상 : 『新增東國輿地勝覽』 소재 題詠詩를 중심으로

        주지영(Joo Ji-young) 어문연구학회 2022 어문연구 Vol.111 No.-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literary image of Goseong, Gangwon-do, and discuss how the image of the region is related to the area s identity. Goseong is a Gun-level administrative district located in the northeastern part of Gangwon-do. In a situation where the Korean Peninsula was divided into North and South Korea, it is located in the northernmost part of Korea. After the division of Goseong, about half of the area belonged to South Korea, and the other half belonged to North Korea. Goseong has not received relatively much social attention compared to neighboring regions and has been marginalized in literary research. As part of an attempt to focus on the unique character of Goseong, which evokes a sense and emo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o incorporate a region that has been neglected in regional literature studies in the past into the realm of discu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age of Goseong in Korean poetry literature.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Jeyoung Poetry(題詠詩) of Goseong recorded in 『Shinjeung Dongguk Yeoji Se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Shinjeung Dongguk Yeoji Seungram』 contains poems in various articles describing local information. The poem expresses specific places belonging to each category, such as Sancheone, Nujeong, Yeokwon, and Bulwoo, and plays a role in revealing the entire region in the Jeyoung category. Jeyoung and other items show a difference in the form and aspect of the poem. Jeyoung Poetry reciting various places in the Goseong area was analyzed to show three images: a bizarre unseen scene reminiscent of another world, a pleasant scenery that evokes a sense of style, and a tranquil view that transforms consciousness. The images of Goseong in the poems included in the section of Jeyoung are condensed into two images: the blessed land and the desolate area. The two contrasting images show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et s moment of contact with the object, the relationship he/she has with the thing, and his/her inner state. The image of a regio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an individual s individual experiences and inclinations. Different personal experiences appear chaotic and inhomogeneous, but they are shared by people and build a coherent image in the process of being integrated or separated. The image clearly present in mind is established as the region s identity. Through Jeyoung poetry of Goseong, we can examine the process of regional understanding in which experiences are gathered to form images, and images are connected back to identity. 이 논문은 강원도 고성의 문학적 심상을 분석하고 지역의 심상이 지역의 정체성과 어떻게 연관되는지에 대해 논하고자 한 글이다. 고성은 강원도 동북부에 위치한 군 단위의 행정구역이다. 한반도가 남북으로 분단된 상황에서 사실상 한국 최북단에 위치한 지역이다. 분단 이후 절반 정도의 면적은 남한에, 나머지 절반 정도의 면적은 북한에 속하게 되었다. 고성은 인근 지역에 비해서도 상대적으로 사회적 주목을 받지 못했고, 문학 연구 분야에서도 소외되어 왔다. 한반도에 대한 감각과 감회를 불러일으키는 고성의 독특한 성격에 주목하고, 그동안 지역 문학 연구에서 소외되었던 한 지역을 논의의 영역으로 편입하려는 시도의 일환으로, 한시 문학에 나타난 고성의 심상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수록되어 있는 고성 제영시(題詠詩)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신증동국여지승람』은 지역 정보를 서술하는 다양한 항목에 시를 실어 두고 있다. 시는 산천, 누정, 역원, 불우 등의 항목에서 각 항목에 속하는 구체적 장소들을 표현하고, 제영 항목에서는 지역 전체를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제영과 그 외 다른 항목들은 시를 수록한 형식과 양상에서 차이를 보인다. 고성 지역 내 다양한 장소들을 읊은 제영시들은 이계를 연상시키는 기이한 비경, 풍류를 일으키는 장쾌한 풍광, 의식을 전환시키는 고요한 풍경의 세 가지 심상을 보여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영 항목에 수록된 시에서 고성의 심상은 천혜의 승지와 적막한 벽지라는 두 심상으로 집약되었다. 대비되는 두 심상은 시인이 대상을 접한 계기, 대상과 맺고 있는 관계, 내면의 상태 등의 차이를 보여주는 것이다. 지역에 대한 심상은 개인의 개별적 경험과 성향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개인의 서로 다른 경험들은 무질서하고 불균질해 보이지만, 그것들이 사람들에게 공유되며 통합되거나 대별되어 가는 과정 속에서 일관된 심상을 구축한다. 마음속에 뚜렷이 존재하는 심상은 지역의 정체성으로 정립된다. 경험이 모여 심상이 되고 심상이 다시 정체성으로 연결되는 지역 이해의 과정을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고성 제영시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 KCI등재

        여성 인물의 질적 전회, 윤리적 주체로 거듭나기 : 이혜경 「그리고, 축제」, 김인숙 「바다와 나비」를 중심으로

        주지영(Joo, Jiyoung) 구보학회 2021 구보학보 Vol.- No.29

        2000년대 이후 한국 소설에서 여성은 희생당하는 삶을 살아가는 데 머물지 않고, 지배담론의 다양한 폭력에 맞서면서 윤리적 주체로 거듭나는 쪽으로 나아간다. 이 점을 고려해 본고는, 남성중심주의와 가부장제 모순은 물론이고 지배담론의 제반 모순을 입체적이고 다차원적으로 접근해 이를 소설화하는 단계, ‘타자를 살리는 윤리’를 지향하는 윤리적 주체로서의 여성 인물을 치열하게 모색하고 또 그런 인물을 형상화하는 방향으로 질적 전회를 꾀하는 단계를 오늘날 여성 문제를 다루는 소설이 나아갈 방향이라 판단하였다. 이런 관점에서 다음 두 작품에 주목하였다. 이혜경의 「그리고 축제」는 열두 살에 성폭행을 당한 ‘나’를 화자로 내세워 가부장제와 남성중심주의를 일차적으로 비판하고 있다. 나아가 이 작품은 한국에서 인도네시아로의 공간 이동과 병치를 통해, 성폭력 문제를 지배담론의 또다른 폭력, 가령 부패한 정부와 권력 집단, 반체제 집단의 폭력 등과 연결해 그 모든 폭력이 동질적임을 강조하고, 한국과 아시아에서 그러한 폭력으로 인해 희생당하는 여성은 물론이고 여러 소수자들을 문제 삼으면서, 이들이 비폭력적 연대를 통해 타자의 윤리를 살리는 윤리적 주체로 거듭남을 다루고 있다. 김인숙의 「바다와 나비」는 과거 군사독재정권 하에서 민주화 운동을 주도하였고, 세계화 담론이 지배하는 2000년대에는 아들을 ‘세계인’으로 만들기 위해 중국으로 건너온 여성 인물 ‘나’를 화자로 내세워, 지배담론의 여러 형태의 폭력을 비판하면서, 인간다운 삶을 지향하는 반성적 주체로 거듭나는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여성 문제를 다루는 소설의 지평을 심화, 확장하고 있다. Since the 2000s, in Korean novels, women do not stop at living a life of sacrifice, but move toward becoming an ethical subject by confronting various violence in the dominant discourse. Considering this, this paper judged that the novel’s direction is to take a three-dimensional and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the contradictions of masculinity and patriarchy, as well as to fiercely seek female figures as ethical subjects aiming for “ethics to save other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the following two works. Lee Hye-kyung’s “And, Festival” primarily criticizes patriarchy and male-centeredism by putting “I,” who was sexually assaulted at the age of 12, as the speaker. Furthermore, this work emphasizes that all violence is homogeneous by linking the issue of sexual violence from Korea to Indonesia, such as violence from corrupt governments, power groups, and dissidents. In addition, while taking issue with not only women victims of such violence in Korea and Asia, but also with several minorities, it deals with them being reborn as ethical subjects that revive the ethics of others through non-violent solidarity. Kim In-sook’s “Sea and Butterfly” features a female figure who participated in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under the military dictatorship in the past, and moved to China in the 2000s when globalization discourse dominated, she to make her son a “world person.” It is deepening and expanding the horizon of novels dealing with women’s issues by criticizing various forms of violence in the dominant discourses and showing the process of being reborn as a reflective subject aiming for a human life.

      • KCI등재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의 서사 구조와 실어증의 관계 양상

        주지영 ( Ji Young Joo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4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5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을 내용과 형식의 양 측면에서 동시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작품에 나타나는 현실 비판과 무의식적 욕망이 서사구조의 측면과 어떤 상관성을 지니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이를 위해 인접성 장애와 유사성 장애에 대한 야콥슨의 실어증 논의와, 욕망의 기표의 은유 대체와 환유 결합에 대한 라캉의 욕망 이론을 원용할 필요가 있다.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에 실린 작품들의 경우, 인접성 장애나 유사성 장애 중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그것을 강렬하게 드러내는 작품은 드물고, 대신 두 측면이 서로 혼재되어 있으면서 어느 한 쪽이 보다 우세하게 드러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다음 세 가지 유형으로 작품을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유사성 장애가 보다 우세하게 나타나는 작품으로 「기계도시」, 「은강노동자 생계비」, 「잘못은 신에게도 있다」를 들 수 있다. 이 작품들에서 단편적인 사건들이 내적 필연성을 지니면서 전체적인 통일성을 이뤄내는 것이 아니라, 도표, 가계부, 회의록 등에서 보듯 유사성 장애에 의해 인접한 사건 단위로 연결되고 있다. 이로 인해 이들 작품들에 나타나는 현실 인식의 측면은 단편적이고 피상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을 뿐이며, 이들을 전체적인 현실의 문맥과 연결시켜 그 본질적인 통찰을 하는 데까지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둘째, 인접성 장애가 보다 우세하게 나타나는 작품으로 「뫼비우스 띠」, 「에필로그」, 「클라인씨의 병」을 들 수 있다. 이 유형의 작품에서 이질적인 서사 단위는 앞의 유사성 장애가 우세한 작품에 비해 그 단위수가 현저히 약화된다. 대신 무의식의 욕망에 의해 선택된 서사 내의 여러 요소들이 낯선 기표들로 작동하면서 은유 대체되는 측면이 강화되어 있다. 현실의 모순 극복의 지향점으로 설정된 욕망의 기표는 관념적 지식에 바탕을 둔 추상적인 것이기에, 현실에서는 실현 불가능한 측면을 띠고 있다. 셋째, 인접성 장애와 유사성 장애가 부분적으로 나타나는 작품으로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을 들 수 있다. 총 3장으로 구성된 이 작품은 1장을 중심으로 유사성 장애와 인접성 장애가 부분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1장에는 이질적 사건을 단순 결합하는 것을 중심으로 하여 단편적인 과거 기억, 꿈, ‘철거계고장’이나 ‘철거확인원’ 등의 도표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면서 유사성 장애가 일어나고 있다. 한편 인접성 장애는 ‘난장이’를 중심으로 해서 부분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달나라’, ‘머리카락좌의 성운’, ‘오십억 광년 저쪽’, ‘미국 휴스턴에 있는 존슨 우주 센터’ 등의 낯선 기표가 그것이다. 이처럼 부분적으로 일어나는 유사성 장애와 인접성 장애로 인해 이 작품은 현실적 설득력의 측면에서 일정한 한계를 지니면서 동시에 무의식적인 욕망의 기표 역시 추상성을 띠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work out at the same time the sides of the content and format of A Small Ball Shot Up by A Dwarf written by Cho Se-hee that appears in reality to see whether the correlation with some criticism and narrative structure and unconscious desires. This article is of Jacobson`s aphasia and Lacan`s Desire Theory as by the methodology. First, the similarity disorder is more dominant as items that appear 「The machine city」,「Subsistence labor eungang」,「The fault is the gods, too」. Event connection is not inner necessity but contiguity. These texts that appears in the reality is fragmentary and superficial. Therefore, they did not go on to essential insight into the reality. Second, the contiguity disorder is more dominant as items that appear 「Mobius band」,「The epilogue」,「Klein`s bottle」. Several factors chosen by unconscious desires of the narrative are alternative metaphor. Signifier of the desire based on abstract knowledge. Therefore, in reality it is not feasible. Third, the contiguity disorder and similarity disorder are partly shown in the「A Small Ball Shot Up by A Dwarf」. This text is not convincing. At the same time, the unconscious desire is too abstract.

      • KCI등재

        오정희의 「옛우물」에 나타난 젠더 탈주의 계보학 : 모성, 여성의 이분법을 넘어서는 정화와 재생의 현자-되기

        주지영(Joo Ji-Young) 구보학회 2020 구보학보 Vol.0 No.24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author’s intentions and strategies that the narratives of “Old well” are woven according to changes in the speaker’s inner consciousness. To this end, the narratives were divided according to whom narrator observes. As a result, this text shows the following process; the subject seeks to flight from the territory of the patriarchal order and toward de-territorialization. In doing so, the subject relapses the history of the oppressed women with counter-memory and rewrites it as re-territorialization. The narrator “I” looks back on her situation or looks inside herself in her relationship with each character, moving the focused on her husband, him, ‘fool’ and Jung-ok. “I”’s husband and “he” were drawn contrastively; home/small house, complacency/deviation, mother/woman, system/outside customs and order, legal/unlawful. This contrast shows that ‘I’s body and desire are repeatedly stylized within the territory with phallogocentrism and patriarchal ideologies and are shown by its effect. But as “I” takes “minority” such as “fool” and “jeong-ok” as the focus, “I”’s thinking is directed to reason for the outside of the territory. Fool or Jung-ok is a medial figure that makes me realize that I have locked myself in a separate body called “motherhood” and “femininity.” “I” seek to discover two different attitudes of life in which they respond to each other’s own world through them, thereby becoming aware of her situation as a “minor” outside the order. This inverted conception is named ‘becoming-the sage’ which is implied by the dream of an ‘old well’, which means the restoration of purifying and regenerating ability. It is to break down the boundaries of desires placed on the motherhood, affirming the various spectra of women’s bodies and desires, and then to re-territorialization the human bodies and desires with mythical imagination. This is reinforced by the following strategic descriptions; like this “I know, but.” The author emphasizes that this re-territorialization is not the end of the quest for women’s identity, but the process, that is placed by the first sentence of ‘old well story’ at the end of the text “Old well.” 본고는 「옛우물」의 서사가 직조되는 방식이 화자의 내면 의식의 변화와 밀접하게 관련된다는 점에 주목하여 서사를 초점화대상의 이동에 따른 인물 관계로 나누고, 작품에 나타난 작가의 의도와 전략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들뢰즈와 가타리의 유목주의와 욕망론에 관한 논의에 주목하였다. 「옛우물」에서 화자 ‘나’는 남편, 그, 바보, 정옥으로 초점화대상을 이동시키면서 각 인물과의 관계에서 자신의 처지를 돌아보거나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본다. ‘나’는 현재의 시공간에서 ‘나-남편’의 관계 속에 놓여 있는데, 여기에 과거의 ‘나-그’의 관계가 대비적으로 회상되면서 서로 다른 욕망의 자리가 각각 ‘집/작은집’, ‘안주/일탈’, ‘모성/여성’, ‘관습과 질서/제도 바깥’이라는 대립항으로 의미화된다. 그렇지만 안주와 일탈과 같은 대립적 의미항에 의해 규정되는 ‘나’는 인간이성중심주의와 가부장적 질서에 의해 영토화된 영역 안에서 반복적으로 양식화된 효과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나’가 ‘바보’와 ‘정옥’과 같은 ‘소수자’를 초점화대상으로 삼으면서 ‘나’의 사고는 영토화된 영역의 외부에 대한 사유로 전도된다. 바보나 정옥은 ‘나’가 스스로를 가부장제 질서에 길들여진 ‘모성’과 분자적 욕망을 지닌 ‘여성’이라는 분리된 몸에 가두었음을 깨닫게 해주는 매개적 인물이다. ‘나’는 바보나 정옥을 통해, 남편의 질서에 길들여진 인식에서 벗어나 영토화된 영역 바깥의 ‘소수자’로서의 자신의 처지를 자각하게 되는 인식의 전회를 꾀한다. 현자의 시선으로 명명되는 이러한 인식의 전회는 정화와 재생 능력의 회복을 의미하는 ‘옛우물’ 꿈을 통해 암시된다. 곧 가부장제 질서에 길들여진 ‘모성’의 몸에 가둔 욕망의 경계를 해체하고, ‘여성’의 몸과 욕망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긍정함으로써 여성의 몸 더 나아가 인간의 몸과 욕망의 한계를 탈구축하고 신화적 상상력으로 재영토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작가는 ‘옛우물 이야기’의 전반부를 서사의 마지막 부분에, 후반부를 서사의 중간 부분에 배치함으로써 이러한 재영토화가 여성의 정체성 탐구의 종착지가 아니라 과정임을 강조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