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GML 정보검색을 위한 인덱스 관리자의 설계 및 구현

        장재우,이희주,손정한,심부성,주종철(Jae-Woo Chang),Hee-Ju Lee,Jeong-Han Son,Bu-Seong Shim,Zong-Cheol Zhoo 한국정보과학회 1999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5 No.2

        SGML 정보검색을 위한 인덱스 관리자는 SGML 정보 표현의 기본 단위인 엘리먼트 단위의 검색과 문서의 논리적인 구조에 기반한 검색을 지원해야 하며, 아울러 우수한 검색 시간과 낮은 부가 저장 공간을 보장하여야 한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SGML 정보검색을 위한 사용자 질의를 형태별로 분류하여 이를 토대로 SGML 정보검색 인덱스 관리자를 설계한다. 아울러 인덱스 관리자를 UNIX 운영체제하에서 표준 C 언어를 가지고 O2 Store 하부저장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현한다. 마지막으로 저장 시간, 삭제 시간, 검색 시간, 부가 저장 공간 측면에서 구현된 인덱스 관리자의 성능 평가를 수행한다. An index manager for SGML information retrieval (SIR) should support not only retrieval based on elements, i.e. primitives of SGML documents, but also retrieval based on logical structures of SGML documents. It also should guarantee good retrieval performance and low storage overhead. In order to support the requirements, we, in this paper, design a SIR index manager based on the types of user queries for SIR and implement it with the standard C language using the O2 Store storage system under UNIX OS environment. Finally, we make a performance analysis of our SIR index manager in terms of insertion time, deletion time, retrieval time, and storage overhead.

      • KCI등재

        항생제 대체 생균제가 자돈의 생산성,영양소 이용률, 유해가스 발생량 및 분내 미생물 수에 미치는 영향

        김종덕,정흥우,심금섭,박승용,주종철,송재준,이경호,박중국,박도연,김창현,Kim, Jong-Duk,Chung, Heung-Woo,Shim, Kum-Seob,Park, Seung-Young,Ju, Jong-Cheol,Song, Jae-Jun,Lee, Kyung-Ho,Park, Joong-Kook,Park, Do-Yun,Kim, Chang-Hyun 한국유기농업학회 2010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18 No.4

        본 시험은 생균제를 자돈 사료에 첨가하여 자돈의 성장능력, 영양소 이용률, 유해가스 및 분내 미생물 발생정도를 비교하여 항생제 대체효과를 규명하여 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시험은 삼원교잡종(Landrace${\times}$Large White${\times}$Duroc) 자돈(22.5kg) 96두를 선발하여 28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본 시험은 3처리 4반복의 난괴법 배치로 T1 처리구 항생제, T2 처리구는 무항생제에 복합생균제 0.2% 첨가, T3 처리구는 무항생제에 단일생균제 0.3%를 첨가하였다. 자돈의 일당 증체량, 일일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건물,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의 소화율은 처리간에 유의성이 있었으며, 특히 복합생균제와 Bacillus subtillis natto 생균제가 대조구인 항생제 처리구보다 소화율이 높았다. 돈 분뇨의 유해가스 발생량에서는 암모니아($NH_3$), 아민(R-$NH_2$), 황화수소($H_2S$) 및 멜캅탄($CH_2$-SH)의 발생량은 항생제 처리구보다 생균제 첨가구가 적어 돈사내 가스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분의 수분함량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돈분내 총균, 대장균 및 내열성균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즉 총균과 대장균의 수는 생균제 첨가에 의하여 감소하였으며, 내열성 포자의 수는 T3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많았다. 따라서 생균제를 항생제 대체물질로 급여한 결과 자돈의 장내 환경을 개선하고 돈사 내 유해가스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자돈의 생산성 향상에도 기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probiotics as an alternative for antibiotics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noxious gas emission and fecal microbial population in growing piglets. A total of 96 piglets ($22.5{\pm}1.3$kg average body weight) were allotted to 3 different treatment groups and replicated 4 times with 8 piglets per replicate in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Treatments were T1) (Control, basal diet+0.2% antibiotics), T2) 0.2% probiotics complex and T3) 0.3% Bacillus probiotics. During the whole experiment period, there were no differences (p>0.05) in average daily gain (ADG),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and feed efficiency. However, digestibility of dry matter, crude protein, ether extract, nitrogen free extract and crude ash were showed higher in probiotics groups (T2 and T3) than those of control. In noxious gas emission, ammonia, amine, hydrogen sulfide and mercaptan were significantly (p<0.05) reduced in T2 and T3 treatments compared to those in control. Moisture content of fece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The colony forming units (CFU) of total bacteria, E. coli and thermoduric bacteria in fec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The CFU of total bacteria, E. coli and thermoduric bacteria in T3 treatment were reduced by feeding probiotics B. From this study, we suggest that probiotics A and B are likely able to improve the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s digestibility, reduce noxious gas emission and change the fecal microbial composition in growing piglets.

      • 구조화 문서를 위한 정보 검색 인덱스의 설계

        이희주(Hee-Ju Lee),장재우(Jae-Woo Chang),심부성(Bu-Seong Shim),주종철(Zong-Cheol Zhoo) 한국정보과학회 199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2Ⅰ

        문서는 본질적으로 제목이나 문단과 같은 논리적인 계층 구조로 구성된다. 이러한 문서의 논리적인 구조는 SGML과 같은 마크업 언어로서 기술되어 진다. SGML 정보 검색을 위해 지원되어야 하는 기능으로 첫째, SGML 정보 표현의 기본 단위인 엘리먼트 단위의 검색이 가능하여야 하며 둘째, 문서의 논리적인 구조에 기반한 검색이 지원되어야 한다. 셋째, 인덱스 구조가 효율적인 저장공간과 탐색시간을 보장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SGML 질의를 형태별로 분석한 후 이를 토대로 SGML 질의 처리를 위한 정보 검색 인덱스를 설계한다.

      • SGML 정보 검색 인덱스 설계를 위한 K - ary 트리, 문서 단위 구문 트리와 엘리먼트 단위 구문 트리의 비교

        손정한(Jeong-han Son),한성근(Sung-geun Han),장재우(Jae-Woo Chang),주종철(Zong-Cheol Zhoo) 한국정보과학회 199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Ⅰ

        ISO에서 문서 교환에 대한 표준을 제시된 SGML(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은 논문이나 보고서와 같이 내부적으로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 문서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매우 융통성 있는 문법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각 기업체나 행정기관에서는 기존의 전자 문서들을 SGML 문서로 변환하는 작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문서의 논리적 구조에 기반한 검색에 대한 요구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GML 문서의 기본단위인 엘리먼트 단위의 검색과 문서의 논리적인 구조에 기반한 검색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인덱스를 설계하기 위해, K-ary 트리, 문서단위 구문트리와 엘리먼트단위 구문 트리의 3가지 방법에 대해 저장 시간, 삭제 시간, 검색 시간, 부가 저장 공간 측면에서 수학적 모델로서 성능평가를 수행한다.

      • 구조화 문서를 위한 정보 검색 인덱스의 구현과 성능 평가

        손정한(Jeong-han Son),이희주(Hee-Ju Lee),장재우(Jae-Woo Chang),심부성(Bu-Seong Shim),주종철(Zong-Cheol Zhoo) 한국정보과학회 199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1B

        문서의 논리적 구조를 표현하는데 매우 융통성 있는 문법을 제공하는 SGML(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 ISO 8879)은 이기종간의 문서교환 및 처리를 목적으로 개발되었다[1]. SGML 의 효용성 때문에 미국방성의 CALS(Commece At Light Speed)프로젝트, Digital Library등에서 정보 관리의 표준으로 채택되어 그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GML 문서에 대한 효율적인 정보 검색을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자 질의를 형태별로 분류하여 이를 토대로 SGML 문서의 기본단위인 엘리먼트 단위의 검색과 문서의 논리적인 구조에 기반한 검색을 지원하기 위한 인덱스관리자를 설계하였고 UNIX 운영체제하에서 표준 C 언어를 사용하여 O1 Store 하부 저장 시스템 위에서 구현하였다. 구현된 인덱스 관리자의 성능평가를 위해 저장 시간, 삭제 시간, 검색 시간, 부가 저장 공간 측면에서 성능평가를 수행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