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부모의 미취학아동 돌봄시간에 관한 연구

        주은선 ( Eun Sun Joo ),김사현 ( Sa Hyun Kim ),김민성 ( Min Seong Kim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4 사회보장연구 Vol.30 No.2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arenting time focused on the gender inequality and the time use gap according to the labor status considering the skewness in the distribution of time resources. From 1999 to 2009, total parenting time for preschool children and the gender gap of the time had been increased. To analyze the Korean time use data 2009, the effects of the economic activity on the child care time changes according to the gender. For mothers, to work or not has decisive effects on the child care time, however for fathers, to work or not and to be part-tmer or full timer had not significant effects. More important thing is that two earner family or male breadwinner family also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male child care time in the family. For adequate distribution of child care responsibilities in the family, gender role change is most important. Th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economic activity and employment status are also should be considered related with gender gap. In Korea, on the child care the double-burden model still works. So Korean social policies for parenting time should be focused on the policies to attract and support increase of the father`s child care time. Considering the relations between the income and child care time of Korean mothers, it is needed to make time adjustment policies and care leave programs with adequate income compensation generous especially for middle and low wage mothers.

      • KCI등재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가 유아교사의 창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포커싱적 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주은선 ( Eun Sun Joo ),김주영 ( Joo Young Kim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4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1 No.2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eachers` efficacy and occupational stress on creative attitude among 280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Gyenggido were examined. Furthermore, the researchers attempted to assess the mediating effect of Focusing Manner among those. Focusing Manner means paying attention to one``s body, appreciating the felt sense and having appropriate stance with everyday life ev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ccupational stress among teacher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relation to the creative attitude and Focusing Manner. However, first, the teachers` efficacy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Focusing Manner and creative attitude. Second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when Focusing Manner mediated the teachers` efficacy, it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creative attitude and showed that kindergarten teachers with high teachers` efficacy with Focusing Manner were likely to have higher creative attitude.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Focusing Manner can be one of an important factor in the improvement of creative attitude among kindergarten teachers.

      • KCI등재

        노동시간이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주은선(Eun-Sun Joo)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7

        이 연구는 노동시간이 노동자의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한국 장시간 노동체제가 가지는 의미의 일단을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이 연구의 분석자료는 통계청의 2014년 생활시간조사자료이며, 노동시간 요인은 ‘하루 노동시간 길이’와 ‘주당 휴일 수준’ 두가지이다. 먼저 노동시간이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어서 돌봄을 필요로 하는 가족원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노동시간이 삶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지 여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통상 행복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소득, 교육, 고용형태, 성별 등의 요인들을 통제하는 경우에도 노동시간 길이가 길수록, 휴가 수준이 낮을수록 한국인의 삶 만족도는 저하된다. 그러나 돌봄을 요하는 가족원이 있는 경우 노동시간이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달라진다. 돌봄을 필요로 하는 가족원이 있는 경우, 노동시간 길이와 휴가 수준은 삶 만족도에 더 이상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성별이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유의미성 역시 사라진다. 이는 돌봄을 요하는 가족원이 없는 경우에, 노동시간이 미치는 영향 및 여성이 남성보다 삶 만족도가 높은 것과 대조된다. 이는 한국 가족의 돌봄시간 성별 격차와 깊이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effects of working hour on the workers’ subjective wellbeing. Working hour, in this study, means working time per a day and the generosity of weekly holiday. Firstly, the effects of working hour on the worker’s well-being will be analyzed. Secondly, it will be investigated if the effects of working hour on the worker’s well-being change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the family member who needs ca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longer working hour and the lower generosity of weekly holiday decrease workers’ well being. If workers have family member who needs care, the effects of working hour and the generosity of weekly holiday on the worker’s well-being are not significant. It contrasts to the result that women are more satisfactory to their lives than men in cases they don’t have family member who needs care. It is supposed that these results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enormous gender gap of care time in Korea.

      • KCI등재

        포커싱 시화작업을 통한 상담자들의 자기성찰에 대한 탐색적 연구

        주은선(Joo, Eun-Sun)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21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상담자 전문성 발달에 있어 중요한 요소인 자기성찰 작업을 위한 포커싱 시화 작업 프로그램에 참가한 상담자 경험의 본질을 파악하고자 한다. 10명의 상담자를 대상으로 하여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하고, 심층 면접과 개인 작업물을 바탕으로 분석했다. 연구참여자들의 진술 내용을 분석한 결과 나타나는 의미있는 진술을 토대로 6개의 하위구성요소와 3개의 중심주제가 도출되었다. 중심주제는 ‘자기수용’, ‘공감받기’, ‘자신에게 필요한 것을 알아차림’ 총 3가지 영역으로 구성된다. 하위구성요소는 ‘보고 싶지 않은 것도 직면’, ‘자신에 대한 다양한 면을 정리’, ‘누군가와 함께 한다는 느낌’, ‘오롯이 나에게 집중할 수 있는 경험’, ‘표현하여 확인하기’, ‘필요한 것 알아차리기’가 있다. 본 연구에서 포커싱 시화 작업이 있는 그대로 자신을 수용, 공감하고 알아차림으로써 상담자의 자기성찰 능력을 발달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포커싱 체험치료에 관심이 있는 상담자를 대상으로 진행됐기에, 후속연구로 다른 접근법에 관심 있는 상담자를 모집하여 포커싱 시화 작업 경험을 알아보는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intended to understand the nature of counselors experiences who participated focusing poetry-picture making program for self-reflection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counselors’ professional development. Using phenomenological method, in-depth interview and personal records of 10 counselors were analyzed. Based on the meaningful statements obtained from the analysis of the participants’ statements, six sub-components and three central themes were derived. Central themes were consisted of three areas: ‘Self acceptance’, ‘Received empathy’, and ‘Able to know what one needs’ and sub-components were ‘Confronting uncomfortable parts’, ‘Able to organize various parts’, ‘Feeling companionship’, ‘Able to focus on oneself’, ‘Confirmation by expressing’, ‘Aware one’s need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focusing poetry-picture making work enhanced the self-reflection of counselors by accepting oneself as he/she is, able to empathize and have awareness. Sinc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counselors who are interested in focusing experiential therapy, follow-up study of experiences of counselors who are interested in different approach of focusing poetry-picture making work is suggested.

      • KCI등재

        포커싱 체험심리치료 접근관련 국내연구의 내용분석

        주은선(Joo, Eun-Sun),고은별(Ko, Eun-Byul),김은혜(Kim, Eun-Hye)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7 No.3

        본 연구는 국내 포커싱 체험심리치료 접근관련 연구의 내용분석을 실시함으로써 국내 포커싱 체험심리치료 관련 연구의 경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98년부터 2016년까지의 국내 학술지, 석 ․ 박사논문에 게재된 포커싱 체험 심리치료 접근 논문 총 43편을 수집,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도별에 관한 사항들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주제는 성격 및 적응 문제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성과연구, 성과 및 과정연구가 동일한 비율로 나타났 다. 이어서 이론개발연구, 상담자 훈련 및 수퍼비전, 측정 및 개발연구, 개관연구, 진로 및 적성연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은 일반 성인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대학생 및 대학원생, 청소년, 상담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양적 연구가 과반수이상을 차지하였다. 연구논문의 수는 2013년도를 제외하면 2010년부터 2015년까지 늘어나는 추이를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가 가지는 시사점과 포커싱 체험심리치료 접근 국내연구의 발전을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rends in Focusing-oriented Psychotherapy research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spanning from 1998 to 2016. We reviewed 43 journal articles on a year-by-year basis, based on research topics, subjects, methodology and year of publication. Results are presented based on research themes. Personality & Adjustment research accounts for the largest portion at 46.51%. This is followed by Process research and Performance research, comprising 11.63%. In terms of research subjects, adults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at 32.56%, following in order by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18.60%), and then adolescents and counselors. In terms of research methodology, quantitative analysis was by far the most common at 69.77%. We also found a trend showing that research on Focusing Experience psychotherapy has increased over the past three years.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meaning and implications of such trends and provides sugges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Focusing-oriented Psychotherapy research in Korea.

      • KCI등재

        한국 퇴직연금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주은선(Eun Sun Joo),정해식(Hae Sik Jung) 한국사회정책학회 2010 한국사회정책 Vol.17 No.1

        이 연구는 2005년의 퇴직연금제도 도입의 의미를 역사적 제도주의의 관점에서 살펴본 것으로서, 행위자의 선택과 제도의 상호작용, 그리고 제도적 유산이 제도 개혁에 미친 영향에 관해 설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기존 퇴직금 제도의 역사성과 제도 내용은 개혁과정에서 주요 행위자였던 노동, 자본, 정부의 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중층화(layring)를 통한 점진적 제도 전환에 핵심적인 기제인 차별적 성장(differential growth)에는 제도의 유인 구조뿐만 아니라 기존 제도의 유산이 중요하다. 셋째, 기존 제도의 특성과 내용은 제도 개혁 진행과 그 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퇴직금 제도 변화의 이러한 특징은 자본과 노동 양자가 보장성과 비용 절감이라는 대조적인 이슈를 행위 동기로 했음에도 불구하고 모두 중간정산제 강화와 퇴직금 사내적립 등을 강조하게 된 배경을 설명해준다. 퇴직금 중간정산제가 확산되던 중 기존 제도를 유지시키는 중층화 방식의 제도 전환이 이루어짐에 따라, 개혁 이후에도 한국 기업연금 부문에서는 기존 퇴직금제도가 갖는 문제점이 지속되는 동시에 퇴직연금제도로의 미비한 전환으로 인한 문제가 중첩되어 나타나고 있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meaning of Korean retirement allowance reform in 2005 focusing on the interactions between actors and institutions, and the effects of institutional legacy on the results of the reform. The retirement pension system was layered to the old retirement allowance at the same time when paying-out the retirement allowance during employment was introduced. Though the Labor and the Capital each emphasized the benefit security and cost curtailment oppositely, both of them supported paying-out the retirement allowance during employment and financial asset accumulation together.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historical legacy and the contents of the retirement allowance had been working during about 50 years have affected the strategies of main actors, the Capital, the Labor and the government. Second, the differential growth mechanism to eventual transformation is affected by not only incentive structure also by the institutional legacy. To summarize results, how the institution had been before reform is related with the reform process and results of the reform.

      • KCI등재

        노동인가, 돌봄인가, 여가인가? -전일제 임노동자 맞벌이 부모의 시간배분에 대한 젠더 영향과 학력의 조절효과-

        주은선 ( Eun Sun Joo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4 사회복지연구 Vol.45 No.3

        This study investigates time allocation among paid work, child care and leisure of dual earner parents of pre-school child. The focuses of this study are time allocation of full-time dual earner parents which can be affected by traditional gender role ideology, and if the gender effects can be diminished or not. So the analysis were about gender effects in the time alloc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education on gender effect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hypothesis are partly corroborated. Even though gender is not effective on paid working time(production time), it affects the time allocation for child care and leisure. There are significant gender gaps in time share for child care(family time) and time share for leisure(private time). The education has moderating effects on gender effects. When education years getting longer, gender gap in child care time becomes narrow, however gender gap in leisure time becomes wide. Because the education is expected to cultivate the sense of value of child care, it can bring decrease of gender gap in care time. According to the result on leisure time share, the education is not expected to make changes in patriarchical gender role in terms of leisure and it doesn`t contribute work and life balance.

      • KCI등재후보

        인간중심 상담의 교육 및 수련프로그램에 관한 국제적 동향

        주은선 ( Eun Sun Joo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1 人間理解 Vol.32 No.2

        본 연구는 한국의 인간중심 상담의 활성화와 한국적 인간중심상담 교육 및 수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예비연구로 활용할 목적을 가지고 인간중심 상담의 국제적 동향을 심도있게 분석하고자 한다. 최근 한국에서의 인간중심 상담관련 연구에 의하면 상담전문가들이나 훈련생들은 인간중심 상담이 강조하는 공감과 관계, 조화의 중요성 등이 한국문화와 적합하다고 제시하였지만 인간중심을 상담현장에 적용하는데 있어서 뚜렷한 훈련 프로그램이나 상담기법의 부재를 어려움으로 호소하고 있다. 이는 한국에서 인간중심 상담을 상담 장면에 적용하는데 있어서 명확한 교육 및 수련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절실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외국의 경우 인간중심 상담과 관련해서 최근 동향은 어떠한지, 구체적인 학위 과정, 주요 수련 프로그램 및 학회 활동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외국의 인간중심 상담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들은 실습과 수퍼비젼을 강조하고 치료관계와 태도를 중점으로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조사를 통해 한국형 인간중심 상담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제안을 하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 preliminary groundwork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of the person-centered psychotherapy in Korea. Current studies on the experts and trainees in the field of psychotherapy agree that the tenets of the person-centered psychotherapy such as empathy, relationship, and harmony are well suited to Korean culture. As such, there is a clear need for developing specific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that are based on the person-centered psychotherapy. To aid this cause, this research presents the current trend, the education curriculum, main training programs and academic activities of the person-centered psychotherapy in an international context. Recommendations are given towards developing a person-centered psychotherapy program suitable to the Korean context.

      • KCI등재

        국민연금 재정안정화의 두 가지 패러다임

        주은선(Joo, Eun-Sun),이은주(Lee, Eun-Joo)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6 비판사회정책 Vol.- No.50

        이 연구는 국민연금 재정안정정책의 패러다임을 수지균형 패러다임과 사회적 지속성 패러다임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논리를 비교하고, 이를 통해 사회적 지속성 중심의 국민연금 재정안정 논리를 발전시키고자 한 것이다. 그동안 국민연금 개혁의 배경이었던 수지균형 중심 연금재정 패러다임에서는 국민연금의 사회적 부양 원리를 위축시키고, 보험수리적 관점에서 세대간 형평성을 계산하며, 연기금 적립을 최대화시키는 것이 연금제도의 지속가능성을 보증한다고 간주한다. 반면 사회적 지속성 패러다임에서는 세대간 수지불균형이나 국민연금기금 규모를 통해 연금제도의 지속성을 판단하기보다는, 공적연금에서 세대 간 부양 원리를 복원하고 인구구조 및 고용, 성장, 분배 등의 요소들과 정치적 동의가 연금제도의 지속성에 중요하다고 바라본다. 두 가지 국민연금 재정안정론은 공적연금의 자원배분 논리, 세대간 공평성과 세대 간 부양, 연기금의 역할에 대한 인식 차이 측면에서 비교검토될 것이다. 이어서 두 정책 패러다임 각각의 연금재정 안정화 방안들을 살펴보는데, 본고에서는 국민연금의 재정안정화를 위해서는 연기금 대규모화로 연기금 고갈을 계속 늦추는 전략보다는 제도의 사회적 지속성을 높이도록 연금보험료 부과기반을 강화하는 대안을 추구해야 함을 강조한다.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theory of public pension finance based on social sustainability by comparing with public pension financial stability logic focused on contribution-benefit balance of the pension system. Recent public pension reforms have been leaded by the paradigm of public pension stability centered on contributions-benefits balance. It has brought out shrinked intergenerational redistribution and intergenerational inequity with a view of actuarial principle, and has made pursue maximization of the public pension fund as the object of public pension policy. Social sustainability paradigm, however, makes to judge the financial stability of the public pension from the social fundamentals affecting sustainability of public pension like population structure, aside from the size of public pension fund. We examine main contents of the two policy paradigms of public pension finance about distribution principles of the public pension, intergenerational equity and dependency, and the role of the public pension fund. Finally, we compare policy alternatives from the two paradigms. To enhance stabilities of the National Pension, it is needed to seek policy alternatives to expand foundations of social sustainability rather than to raise contribution rate early just to defer timing of exhaustion of public pension f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