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예술 분야의 방향성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일반대학원 ‘문화예술학과’ 교육과정 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주성희(Chu S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

        Ⅰ. 서 론 Ⅱ. 국내 일반대학원 ‘문화예술학과’ 교육과정 현황 분석 Ⅲ.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국내 일반대학원 ‘문화예술학과’의 교육과정 현황을 문화예술의 학문적 연구기반 구축의 관점에서 검토하고, 차후 본 분야의 방향 모색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 일반대학원에서 ‘문화예술학과’의 명칭으로 운영 중인 4개 학교 교육과정의 개설 현황, 교육목표, 교과과정 및 교과목, 담당 전임교원 및 졸업생 학위논문 유형 등을 분석한 결과, ‘문화예술 분야의 지도자 양성’을 공통 교육목표로 두고 학교마다 상이한 교육과정을 운영 중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각 대학 해당학과의 담당 전임교원들의 전공 및 연구영역은 예술을 바탕으로 경제, 행정, 공학, 철학 등의 넓은 범주에 걸쳐 있었으며 졸업생 학위논문에 있어서는 박사논문이 석사논문에 비해 현저히 높은 비중을 나타내는 가운데 ‘공연예술’ 장르와 복합적 연구방법, ‘문화예술경영’ 주제/내용에 의한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학문의 탐구’를 중심으로 하는 일반대학원으로서의 고유 기능과 역할 가치를 향상시켜 문화예술의 이론적, 학문적 정립을 이루기 위해서는 교육목표나 교과과정의 체계 및 방향성의 명확한 제시, 확립을 통해 자격증 취득과 기업 연계 등 실무측 면에 중점을 두는 특수대학원과의 차별화 도모가 필요하며, 문화예술 영역의 이론, 철학, 미학 등 인문학적 기반의 강화가 교과과정 제고에 필수요소라 판단된다.

      • KCI등재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석사논문의 주제유형 분류조사

        주성희(Chu, S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주제의 유형별 분류조사를 실시함으로써 현 예비음악교사들의 연구주제 선호도 및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음악교육연구의 질적 개선에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2011 년부터 2015년까지의 최근 5년간 수도권 14개 교육대학원의 음악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1104여 편의 주제를 유형별로 분류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교육대학원 음악교육’의 주제어로 검색, 수집된 논문편수는 동일 기간 전국 교육대학원 논문편 수의 약 50.8%에 해당하며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소폭의 증가 추세가 나타난 것으로 조사되었다. 2.총 9개로 개발된 분류 항목체계에 의해 주제유형을 분류한 결과 교수-학습 모형인 ‘지도안, 지도방안 작성’ 관련 주제유형이 약 41.5%, 국악 관련이 약 14.4%, 현장조사 방식인 ‘영향, 효과, 상관 및 실험사례’ 관련 주제유형이 약 13.9%의 빈도수 상위3개 항목으로 조사되었다. 3.‘지도안, 지도방안’ 유형의 세부항목별 재분류 결과 ‘연주법 및 연주지도’와 ‘감상’ 관련 주제가 약 59.2%로 조사되어 빈도수 1위를 나타내었고 ‘국악’에서는 ‘지도안, 지도방안 작성’ 관련 주제가 67.3%, ‘영향, 효과, 상관 및 실험사례’ 주제유형에서는 ‘음악치료 교육’ 관련이 32.0%로 각각 가장 많은 빈도수를 지니는 세부항목으로 조사되었다. 다양한 주제 개발을 통해 연구를 활성화시키고 나아가 음악교육 분야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교수, 학생 양측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며 본 연구의 결과가 음악교육 분야의 학문적인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help qualitatively improve the research of music education and to examine the preferences of research themes and research trends of current pre-service music teachers by categorizing the types of research themes in master’s degree dissertations of music education majors i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e results of categorizing 1,104 master’s dissertations by music education majors in 14 different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for the past five years between 2011 and 2015, by their thematic types a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dissertations searched and collected with the keyword ‘music education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ccounted for about 50.8% of national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issertations during the same period, and it appeared that a slight increase was observed centering on the metropolitan area. 2. The results categorizing thematic types according to a 9 category system revealed that about 41.% were related to the teaching-learning model of ‘guidance plane, guidance plan composition’, about 14.4% were related to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about 13.9% were related to field inquiry methods of ‘influence, effect, correlation, and experimental cases’, and these three took up the upper three items in terms of frequency. 3. Subcategories of the ‘guidance plan, and guidance plan composition’ type revealed that about 59.2% were related to ‘performance method and performance instruction’ and ‘appreciation’, the themes of which had the highest rate of frequency. In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guidance plan and guidance plan composition’ type accounted for 67.3% of themes, while in the thematic type of ‘influence, effect, correlation, and experimental cases’, themes related to “music therapy education’ accounted for 32.0%, and these were the themes that accounted for the highest frequency in the subcategories. In order to invigorate research through the development of various research themes, and furthermore, to develop the field of music education, both professors and students must take interest and put forth the effort. The researcher hopes that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used as basic data for the academic development of the music education field.

      • KCI등재

        국내 일반대학원 피아노 전공 학위논문 유형분석을 통한 연구동향의 파악

        이지은(jieun Lee),주성희(sunghee Chu)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8 음악교육공학 Vol.- No.35

        본 연구는 국내 일반대학원 피아노 전공 석·박사 학위논문의 연구동향을 파악하여 체계적인 기초자료를 제시함으로써 향후 연구의 발전에 도움을 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수도권의 14개 대학원을 선정하여 최근 5년간 배출 된 피아노 전공 학위논문의 연구유형을 분류, 고찰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검색을 통한 2013년~2017년 수도권지역 14개 일반대학원의 피아노 전공 학위논문은 총 420편으로, 논문편수에 있어 서울지역의 이화여대(72편), 숙명여대(53편), 한양대(43편)가 상위 3개교에 해당하였고 경기지역에서는 단국대(33편)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인 420개의 학위논문을 4개의 기준 항목에 의해 분류한 결과 악곡분석(73.3%), 졸업연주프로그램 해설(20.7%), 연주기법(5.0%), 기타(1.0%) 의 비율로 조사되었으며 연구된 작품의 시대(사조)별 동향은 낭만(36.9%), 20세기 및 현대(34.0%), 고전(15.6%), 인상(8.1%), 바로크(5.4%)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장 많은 빈도수를 나타낸 ‘악곡분석’유형의 세부항목별 재분류 결과 구체적 특징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한 유형이 47.7%, 일반적인 악곡 분석 유형이 40.6%인 것으로 파악되었고 ‘연주기법’의 경우 복수 주제를 지니거나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된 ‘기타’유형이 42.8%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넷째, 이상 분류결과로 보아 연구대상 14개교의 피아노 전공 학위논문의 유형은 ‘악곡분석’(73.3%)에 편중된 현상을 보였는데, 이론적 연구기반의 중요성 인식을 토대로 다양한 주제의 개발과 연구 범위의 확대가 필요하며 연구 환경 및 운영 체계의 개선 등이 향후 피아노 음악계의 균형성장을 위한 시사점으로 논의 될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to contribute to future studies in piano major by examining the research trends of piano major master’s thes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in domestic general graduate schools and presenting a systematic basic data thereof. To this end, the types of piano major theses and dissertations produced from 14 graduate schools around the capital area in the past five years were categorized and examined.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