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孟子思想을 통해 본 체육학의 道:사회윤리를 중심으로

        주동진,김성일 한국스포츠학회 2016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4 No.2

        孔孟思想은 동양의 제1사상으로써 동양 2,500여년의 지배 사상이었다. 孔孟思想 중, 孔子思想은 「論語」에서 孟子思想 은 「孟子」를 근거로 한다. 이 연구는 ‘孟子思想을 통해 본 體育學의 道’를 연구하는 것이므로 「孟子」를 중심으로 연구한 문헌연구이다. 孟子는 「孟子」에서 반복과 실천 그리고 반성의 피드백을 교육의 중요한 틀로 여겼다. 특히 그는 교육을 강조하였다. ‘敎育’이란 용어가 「孟子」에서부터 비롯됨이 이를 증명한다. 이 연구에서는 孟子思想이 孔子思想보다 특히 사회윤리의 측면이 강하는 입장에서 ‘仁義禮智에 비춰본 스포츠윤리’, ‘浩然之氣에 비춰본 心身論’, ‘교육사상에 비춰본 체육교육’, ‘民本정치에서 비춰본 국민체육’ 등, 孟子思想을 통해본 體育의 道를 스케치해 본 試論이다. Confucianism was ruling idea as the first ideology of the Orient for 2,500 years. The Confucius's thought and Mencius's thought are based on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Mencius], respectively. This study is to research 'Tao of Physical Education through Mencius's thought' and is literature review focusing [Mencius]. Mencius considered repetition, practice, and feedback of self-reflection well as something very important. Especially, he emphasized education. It is proved that the term “education” is stemmed from [Mencius]. This study is contemporary opinion to sketch Tao(sport ethic through benevolence,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 mind-body theory through vast spirit, and physical education through educational thought) of physical education through Mencius's thought in that social ethics of Mencius's thought is stronger than that of Confucius's thought.

      • KCI등재

        三國史記에서 찾아본 弓道문화 : 矢, 箭, 弩

        주동진,이창수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3

        우리나라 전통 弓矢(弓箭), 즉 角弓과 竹矢는 傳承文化로서 세계 제일이다. 왜냐하면 角弓은 다양한 재료를 혼합 한 複合弓으로 그 성능이 매우 우수하며, 竹矢 역시 대나무를 기술적으로 제조하여 매우 뛰어난 기능을 가졌기 때문이다. 우리 활은 최대사거리가 340m-360m이며, 크기가 적당하고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우리 활은 기술적인 면(스포츠과학) 에서도 세계적이며, 정신문화적 입장(스포츠윤리와 도덕)에서도 특별하다. 세계의 민족전통활 문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 되는 이때, 우리나라 최초의 文獻 史料인 삼국사기에 숨겨져 있는 우리 궁도문화를 잘 활용하면 우리나라 체육사의 자부심 을 치켜세울 수 있다. 이 연구는 三國史記의 ‘활(弓) 문화’에 이어서, ‘화살(矢, 箭)문화’를 연구하였다. 삼국사기에는 화살 을 한자어로 ‘矢’, ‘箭’, 대나무 화살은 竹箭, 싸리나무로 만든 화살은 楛矢로 쓰였다. 竹箭은 주로 新羅, 楛矢는 高句麗의 기사와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百濟는 竹矢와 楛矢 모두 사용하였다. 이는 대나무의 生長環境과 관련되어 보인다. 流矢와 飛矢가 여러 차례 기술되고 있는데 이는 矢石과 같이 ‘전쟁’ 혹은 ‘전쟁터’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矢石暫交와 矢石之間, 飛矢如雨과 飛矢雨集가 바로 그 예이다. 한편, 張弓挾矢는 ‘활을 쏜다는 뜻’이며, 千鈞之弩는 ‘대단히 무겁다’는 四字成語이다. 그리고 弓矢는 평상시에는 心身修養의 의미이지만, 非常時에는 전쟁준비를 뜻한다. 삼국사기의 화살문화 는 주로 전쟁과 관련되어 등장하였다. Korea's traditional bow(Gug-Gung, 國弓) is world-famous in the technical side. Moreover, Korea Gug-Gung (國弓) is a very special in terms of moral culture. The Archery culture was inherent in the Korea's first literature called the name of Samguk-Sagi(三國史記;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If we use that contents, we will pull up our pride in the ares of Korea's physical education history. This study was concentrated on the arrow culture (Si (矢), Jeon (箭) culture) as the following up study of the bow culture of Samguk-Sagi (三國史記). In the contents of Samguk-Sagi (三國史記), arrows are written as Si (矢) and Jeon (箭) in Chinese characters. Arrows were made of bamboo called ‘Jugjeon’ (竹箭), and arrows were made of bush clover called ‘Hosi’ (楛矢). Lyusi (流矢) and Bisi (飛矢) were described several times in Samguk-Sagi(三 國史記), which were used the meaning of war or battleground. Siseogjamgyo (矢石暫交), Siseogjigan (矢石之 間), Bisiyeou (飛矢如雨) and Bisiujib (飛矢雨集) were some examples. Meanwhile, Janggunghyeobsi(張弓挾矢) had the meaning of ‘shoot a bow’, and Cheongyunjino(千鈞之弩) had the meaning of ‘very heavy’ called Sajaseongeo(四字成語). And Gungsi(弓矢; Bow and arrow) had usually the meaning of ‘mental and physical training’ (心身修養), however, during the emergency time, it had the meaning of ‘preparation for war’. The arrows culture of Samguk-Sagi (三國史記) were closely related with War and appeared many times in the historical record.

      • KCI등재

        조례에 의한 상수도 시설분담금 부과의 위법성 -대법원 2021. 4. 29. 선고 2016두57359 판결-

        주동진 한국행정판례연구회 2022 행정판례연구 Vol.27 No.2

        대상판결은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에 근거한 상수도 시설분담금의 부과가 허용되는지에 관한 법리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고, 여러 법원에 산재되어 있는 유사한 분쟁에서 지침이 되는 선례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또한 구 지방자치법 제138조 분담금 조항의 각 요건의 해석과 적용에 대한 법리를 구체적으로 밝힌 판결이라는 점에서도 상당한 의의가 있다. 이처럼 대상판결이 갖는 의미와 중요성은 높이 평가하지만, 지방자치단체가 구 지방자치법 제138조를 근거로 상수도 시설분담금을 부과하는 내용의 조례를 제정할 수 있다고 본 대상판결의 판단에는 동의하지 않는다. 시설분담금 조례는 수도법에 위배되는 것으로서 무효라고 보아야 한다. 수도법 제70조에서는 수도사업자가 수도시설의 설치비용을 부담하도록 정하고 있다. 이는 수돗물의 보편적 공급 원칙에 따라 수도사업자가 부담하는 급수의무를 이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고, 한편으로 공용의 수도시설을 설치하는 비용을 일단 수도사업자가 부담한 후에 이를 수도요금에 반영하여 수요자 일반에게 안분함으로써 부담의 공평원칙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수도법 제70조는 반드시 준수되어야 한다. 이에 반하는 내용을 정하고있는 시설분담금 조례는 위법하다. 또한, 대상판결은 시설분담금 조례가 구 지방자치법 제138조에 법적 근거를 두고 있다고 보았으나, 급수신청인은 수도시설의 설치로 인해 ‘특히 이익을 받는 자’가 아니므로 구 지방자치법 제138조에서 정하고 있는 분담금의 부과대상이 될 수 없다. 그러므로 급수신청인에게 분담금을 부과하는 내용의 시설분담금 조례는 구 지방자치법 제138조의 내용에도 부합하지 않고, 이러한 측면에서도 시설분담금 조례는 위법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대상판결의 사안에서는 시설분담금 조례가 위와 같은 이유로 무효이고, 무효인 조례에 근거한 상수도 시설분담금 부과처분도 위법하다고 판단하는 것이 간명하면서도 타당한 결론이었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蔚珍精神의 文化地圖에 대한 豫備的 試論 : 忠孝烈의 길(道)

        주동진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4 민족문화논총 Vol.56 No.-

        This study is a preliminary analysis on Uljin spirit found in the local cultural atlas. A literature review of Uljin annals was conducted, followed by an investigation into the existing monuments and pavilions built to commemorate the Chung(忠)-Hoi(孝)-Yeul'(烈) virtues that occurred in the local area. In addition, interviews about these virtues were made with the descendants of the people who did the virtues. The findings from this investigation are to be used to design a cultural atlas reflecting the circumstances of Uljin, which made it necessary for the scope of this study to be cross-disciplinary to a great degree. The virtue of Chung(忠)-Hoi(孝)-Yeul(烈) presented in Uljin cultural atlas in this study is the core of Uljin spirit, giving insight into what Uljin spirit was like in the past and what it should in the future. The monuments and pavilions designated in this study are not only valuable resources of Uljin spirit but also give a historical identity to Uljin. 이 연구는 울진정신의 문화지도에 대한 豫備的 試論이다. 따라서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우선, 울진 郡誌 등에 대한 문헌조사를 하고 다음으로, 현존하고 있는 忠孝烈 碑·閣을 踏査하였다. 끝으로 관련 내용을 연계 후손 및 군민들과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울진의 실정에 어울리는 문화지도와 그에 대한 향후계획을 설계해 본 것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다양한 학문을 아우르는 교차연구로써 그 범위가 매우 넓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울진정신 문화지도로써 忠孝烈의 길(道)은 울진정신의 DNA(正體性; 現在)로써, 지나온 울진정신의 길(集積; 過去)이었고, 또한 향후 울진정신이 나아가야할 길(방법과 방향 설계; 未來)이다. 이 연구에서 선정된 忠孝烈 碑·閣은 울진의 전통문화와 울진정신의 寶庫이자 울진의 역사적 아이덴티티를 지켜주는 堡壘이다.

      • KCI등재

        전통문화의 보존과 세계적 소통의 의미에서 살펴본 세계민족궁대축전(世界民族弓大祝典)(WTAF)의 의의: 다민족,다문화 전통스포츠축제구

        주동진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3 다문화와 평화 Vol.7 No.1

        This study looks at the traditional sports as the vehicles able to display national cultures and spirits. Nowadays, we`re experiencing a fast and steady process of uniformization and homogenization of different traditional cultures, and this process applies also to different sports which seem to lose their traditional character. While appreciating the bridging of different cultures through uniformed forms of sport, I wish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protection of its traditional tenets, communicating them in the public debate, and showing the new roles of traditional sports in the future world. Each national sport culture offers its own specific values, which can be easily adapted by and contribute to the global modern society. Thus, in my opinion, it is rather crucial to hold traditional sports festivals by using diverse rules rather than to succumb to the uniform ones. In the contemporary world traditional sports cultures have to be preserved by all available means. Our goal should be unity in difference.

      • KCI등재

        ?活人心方?에서 살펴본 퇴계의 건강(養生)론

        주동진,김한철 영남퇴계학연구원 2013 퇴계학논집 Vol.- No.13

        이 연구는 退溪가 지은 ?活人心方?의 내용을 건강(養生)을 위한 ‘心의 방법’과 ‘身의 방법’으로 나누어 살펴본 것이다. 退溪의 ?活人心方?은 몸 과 마음이 하나라는 입장이었지만, 마음이 중심이고 몸은 관리의 대상이 라고 보았다. 이는 동양의 대표적인 철학인 儒家와 道家의 입장과 같다. 退溪는 최고의 朱子學者로 불린다. 그런 그가 儒學이 아닌 道家의 醫書 라 불리는 ?活人心?을 필사하여 ?活人心方?을 지었으니 儒學과 道學의 統攝(Consilience)學者라고도 할 수 있다. ?活人心方?은 오늘날의 입장 에서 살펴보면 외과수술과 약제처방이 없는 ‘人文學的 想像力 (Humanistic imagination)’으로써의 건강(養生)을 위한 ‘예방과 관리’ 그 리고 질병치료에 관한 醫書이다. 이것이 ?活人心方?에서 살펴본 退溪의 건강(養生)론이다.

      • KCI등재

        고대 동양 弓문화의 가치와 의의 - 논어를 중심으로 -

        주동진,정연택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人文硏究 Vol.- No.61

        This study was to inquire into the value and the significance of the archery culture focused on the Analects of Confucius which considered as the best in the field of human education in the Oriental societies for thousands of years. The importance of history and the research on the historical importance can not be overemphasized in view of the sociocultural aspects of the past and the present. In the absence of thoughts and culture today, the research on classical literatures in itself has an importance, in which we can get a sense of the life and way of thinking of the wise in old times who watched the great spectacles of a history. The Analects of Confucius emphasizes a human education in discussing the archery custom, the competition of the Oriental gentleman and the manners in the archery site, and the spirit of traditional archery. It can be said that the historical consideration for the research of physical education thoughts through the classical literatures is a spectral work of physical education․humanities, which seek for value of the principles of physical education in various aspects. The interest on the archery as one of the essential subjects in the education of human nature and etiquette will be a catalyst to discuss the educational thoughts of physical education and the Oriental philosophy together. 역사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인문학의 중요한 과제이다. 특히 과학이 최고라고 蔓延해 있는 오늘날 인류의 사유체계에 대응해서는 더욱 필요하다. 따라서 사상과 문화의 부재로 볼 수 있는 현 시대에 이르러, 역사라는 거대한 스펙터클(spectacle)을 바라보면서 옛 성현들의 삶과 사유방식을 엿볼 수 있는 古典연구는 그 자체로써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 연구는 수 천 년 동안 동양에서 인간교육의 으뜸으로 여겨 왔던 論語를 중심으로 활쏘기(弓문화)의 가치와 의미를 찾는 것이다. 공자의 언행을 기술한 논어에서 활쏘기는 첫째, 활 쏘는 문화(leisure)의 法道 둘째, 군자의 경쟁과 활터의 禮法 셋째, 전통 활쏘기의 氣風 등을 논하면서 인간적인 교육을 역설하고 있었다. 체육사상을 연구하는데 고전을 통한 역사적 성찰은 오늘날 체육학의 가치를 다양한 각도로 찾아보는 체육 인문학적 스펙트럼(spectrum)작업이라고 볼 수 있다. 인성과 예절교육으로써 고대 동양의 필수 교과목이었던 弓에 대한 관심은 체육의 교육사상과 동양철학을 함께 논할 수 있는 촉매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