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내 산업디자인 전공을 위한 순차적 연계 교과과정 설계와 사례 연구

        신창범(Shin, Chang Beom),종휘(Zhong, Hu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3

        세계 산업이 더 빠르게 진화하고 산업 간의 장벽도 허물어지고 있다. 지난 3차 산업혁명 시대에서는 제품개발 시 고객의 지갑을 여는데 디자인은 큰 역할을 하였고 여러 기업 내부의 디자인 부서나 대학의 디자인 전공들은 오랜 시간 성과와 경험으로 이미 업무체계가 시스템화 되었다. 하지만 제4차 산업혁명의 등장으로 기업들뿐만이 아니라 대학들 그리고 산업디자인 분야에도 또 다시 변화와 혁신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세계가 신산업으로 전환되는 시점에서 디자인의 역할을 증대하기 위해 대학 교육에서 산업디자인 전공의 새로운 교과과정을 설계하고 이를 대학 강단에서 사례 연구를 통해 그 가능성을 모색한 연구이다. 문헌 연구에서는 첫째 신산업으로 인해 변화하는 인간의 생활과 이에 요구되는 산업디자인의 역할 변화를 살펴보고, 세계 유수 대학에서 추진되고 있는 디자인 혁신 프로그램의 특징들을 모색하였다. 둘째 미국과 함께 제 4차 산업혁명의 2대 선진국으로 부상한 중국에서 대학 내 산업디자인 전공의 교과과정을 분석하고 그 특징들이 신산업의 빠른 변화와 혁신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이후 신산업 시대 대학 산업디자인 전공의 새로운 교육 모델을 위해 각 디자인 관련 교과목들이 순차적으로 연계된 교과과정을 설계하였고 이를 중국 대학산업디자인 전공학생들을 대상으로 1년 간 5개 교과목을 진행함으로써 본 연구의 가치와 가능성을 실험하고 진단하였다. 결과적으로 ‘마케팅 매니지먼트’ 교과목을 통해 미래 신 시장을 예측하고 신상품 컨셉을 발굴하게 되었고, ‘제품디자인’과 ‘UI디자인’ 교과목을 통해 먼저 발굴된 컨셉을 시각적으로 정교화 하였으며, ‘디자인 프토토타입’ 교과목에서는 사용자와 인터랙션할 수 있는 시제품 제작으로 실현 가능성에 있어 문제를 진단하고 개선할 수 있었다. 그리고 마지막 교과목인 ‘브랜드디자인’에서는 개발된 신상품을 고객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상표와 로고를 디자인하게 되었다. 본 연구로 진행된 교과과정 설계와 사례 연구 결과는 이전 교과과정의 경우와 비교함으로써 본 연구의 우수성을 진단하였다. The world’s industries are evolving faster and the barriers between industries are crumbling. In the 3rd industrial revolution, the role of design was opening the wallets of customers and design majors from various internal design departments of companies and universities were already established through long achievements and experiences. However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not only businesses field of companies but also academic field of universities and the industrial design area are demanding changes and innovations again now. This study designed a new curriculum for industrial design in university-education to increase the role of design at a time when the world turns into a new industry and this is based on the possibility of a case study by a university-education platform. In theoretical study, first, we looked at changing human life and changing the role of the industrial design required by the new industry and looked for features of design innovation programs being pushed by the world’s leading universities. Second, China, which has emerged as the second most advanced country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ith the USA, analyzed the curriculum of industrial design majors in universities and found that its characteristics can flexibly respond to rapid changes and innovations and for a new model of industrial design majors in the new industrial era, each design-related curriculum was designed to be linked sequentially. It tested and diagnosed the value and potential of the study by conducting five subjects for one year for industrial design major in a university, China. As a result, via the ‘Marketing Management’ subject, students predicted a new market for the future and explored new product concepts. And they visualized their concepts through the ‘Product Design’ and ‘UI Design’ subject. In the ‘Design Prototyping’ subject, a prototype was developed that could interact with users to diagnose and improve feasibility problems. Lastly, ‘Brand Design’ was designed with a sign and logo to effectively deliver new products developed to customers. Finally, this study’s curriculum design and case studies were tested for excellence in this study by comparing it with the previous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