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플라톤 파우사니아스의 궤변술을 통해 본 에로스와 노모스

        조흥만 ( Heung Man Cho ) 한국동서철학회 2012 동서철학연구 Vol.63 No.-

        본 논문은 파우사니아스의 궤변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과정에서 그의 논증의 논리적 모순을 논박하고, 탁월성의 획득을 표방하며 아테네 법에 호소하는 그의 에로스론이 사실상 자신의 에로스적인 사적 이익으로서 소년애를 정당화하고 이기적인 논변임을 드러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소년애를 합법화하는 과정에서 공적 영역을 도외시하고 자신의 사적인 에로스적 욕망에 절대적 우선권을 부여하는 파우사니아스 궤변술의 비도덕성이 극명하게 밝혀질 것이다. 파우사니아스의 연설에서 가장 혁명적인 논점은 자신의 사적 욕망의 영역이 공적인 영역보다 절대적인 우선성을 갖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의 연설은 궤변술을 통한 일종의 자기 변론이다. 그가 자신의 독특한 에로스적 취향인 소년애를 정당화하기 위해 전개하는 논증은 (1)지성, (2)자유, 그리고 (3)탁월성 논변이었다. 그렇지만 (1)사랑받는 사람인 소년 애인보다 사랑하는 사람인 연장자가 더 지적이기 때문에 지성 논의는 오히려 소년애를 약화시켰고, (2)자기 원인으로서의 자유는 소년애적 노예노릇과는 양립 불가능하며, 그리고 (3)탁월성 획득을 위한 소년애도 사랑받는 사람을 수용자로 전락시킬 뿐이라는 것이 규명되었다. 육체적 아름다움의 노예노릇을 열망하는 파우사니아스에게는 모든 아름다움이 그 자체로 목적이 아니라 육체적 또는 영혼의 출산을 위한 수단이라고 소크라테스-디오티마의 가르침이 절실하다. 같은 맥락에서 파우사니아스의 사적인 에로스적 취향인 소년애적 관계에서 두 연인의 연합은 육체적 생식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결국은 자기 파괴적일 수밖에 없다. 이처럼 파우사니아스의 궤변술적 ``꼼수``가 논박되어야 할 중대한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The present paper attempts to show that my critical interpretations concerned with Plato`s Pausanias have condemned him as a sophist who makes a perverted use of morality to achieve his real goal, a legitimate of paiderastia. In articulating logical contradictions and fallacies related to the arguments of nous, license, and virtues in Pausanias` speech his sophistry is chiefly used to legalize his paiderastia with Agathon as his eromenos. His sophistic, subtle cleverness to maximize his own erotic profit as a erastes, however, might not so much to present the positive attitude to the paiderastia obviously as to conceal his underlying credo concerning the revision of Athens` nomos. The revolutionary aspects of Plato`s Pausanias are revealed in supporting the overridingness of his private range for the public field. Through my elenchos I argue that there are his many immoral and illogical statements in his speech. In the arguments of nous, license, and virtues, he is gradually falling to abyss because of the serious logical fallacy, the incompatibility of his paiderastia with those thesis: To love beautifully is to love the intellectual persons, more intellectual adult than a paidika is preferred and therefore his paiderastia can`t be maintained. License is incompatible with slavery in his paiderastia. Lastly, to slave voluntarily so as to acquire the virtues is also conflicted with his paiderastia. In particular the conception of a voluntary slavery makes an eromenos merely a receptacle. Pausanias` sophistry is related to the serious danger in existence of both individual and polis because in his paiderastic relationship physical reproduction can`t be possible. There is good reason to consult the Socrates-Diotima`s speech concerning the beauty in both the physical and the psychic as a means of reproduction.

      • KCI등재

        『변론』에서 소크라테스의 죽음관에 대한 새로운 조명

        조흥만(Cho Heung man) 대한철학회 2014 哲學硏究 Vol.132 No.-

        플라톤 『변론』에서 소크라테스의 죽음관 연구는 철학적인 회의주의적 접근과 윤리적 낙관주의 해석에 편중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이런 연구 풍토의 영향 하에 죽음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철학적 입장에 경도된 전자는 그의 죽음관을 단적인 불가지론으로 정의해 왔다. 다른 한편으로 후자는 영혼의 운명에 대한 소크라테스적 낙관주의가 그의 윤리적 고결함에서 비롯됐음을 힘주어 강조하는 바람에 소크라테스가 성취한 그리스 전통 종교에 대한 근본적인 개혁을 제대로 평가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에 직면하고 만다. 소크라테스의 죽음관에 대한 이상의 이분법적 해석의 진영들을 소크라테스의 종교 논의로 확장하여 궁극적으로 그가 의도했던 죽음 논증의 진의에 좀 더 가까이 다가가려는 본 연구는, 『변론』 전반에서 그의 철학의 종교적 차원을 면밀하게 검토함으로써 기존 해석을 한층 고양하여 완결 짓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소크라테스 종교의 근본 신조는 신이 거짓말을 하지 않고 전선(全善)하며 박애적이라는 것이다. 이런 기본 원리들과 더불어서 소크라테스가 개진하는 죽음 좋음 논증의 희망 논의를 천착해보면, 소크라테스의 죽음관이 철학적인 회의주의적 제약과 신에 대한 인간의 올바른 태도인 종교적 헌신 간의 독특한 조합에서 도출되는 '제한된 불가지론'임을 명확하게 인식하게 된다. 아울러서 그의 죽음관과 관련하여 소크라테스적 종교 논의가 배제된 윤리적 낙관주의는 '제한된' 희망을 온전히 드러내지 못하는 반쪽 진리일 수밖에 없다는 사실도 함께 깨닫게 된다. 따라서 소크라테스의 죽음관에 관한 완벽한 이해는 죽음에 대해 모른다는 자각인 그의 인간적인 지혜, 죽음에 관한 그의 윤리적 낙관주의 그리고 죽음에 관한 그의 종교적 신념이 한 데 종합될 때에라야 비로소 그 본 모습에 도달할 수 있다고 하겠다. 그렇지만 죽음에 관한 그의 진술이 워낙 독특하게 유보적이고 조건적이기 때문에, 되레 우리는 그의 종교적인 희망 논의에서 그의 죽음관의 통합적 이해를 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소크라테스의 죽음관이 담고 있는 참된 의미는 바로 지금 여기에서 혼을 보살피고 돌보라는 촉구이다. 이런 의미에서 플라톤이 자기 스승의 삶과 죽음의 올바른 의미를 전하는 『변론』은 '소크라테스 철학으로의 초대'이다. 이 지점이 소크라테스가 공자와 조우하는 접점이기도 하다. It is safe to presume that the studies on the view of Socrates concerning death in Plato's Apology have been subjected to such approaches as the explanation of philosophical skepticism and the contribution of ethical optimism. Under the circumstances of these studies the former inclined to the philosophical attitude of Socrates has defined his view concerning death as an agnosticism.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has highly emphasized that Socratic optimism on the destiny of the soul is derived from his ethical integrity and thereby has been exposed to the criticism of unbalanced evaluation about Socratic Reformation. Through the expansion from the above dichotomous interpretations to the bedrock of Socratic religion this study will examine closely the religious characteristics of his philosophy throughout Apology, elevate the 'received' views developed above, and investigate ultimately the true meaning of his death-argument suggested by Socrates. Socrates' gods are thoroughly good beings, and toward humanity they have an entirely benevolent and caring attitude. If we are going to take Socrates' hopes into account with this testimony and his argument for death's goodness, the view of Socrates concerning death is clearly revealed 'a qualified agnosticism' being the unique combination of his religious commitment and philosophical skepticism. Besides, it is worth while to recognize an half-truth as ethical optimism without the argument of Socratic religion. Therefore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bout the view of Socrates concerning death seems to be composed of his epistemic pessimism concerning death, his ethical optimism relating to death, and his basic religious belief on death' good. However, his statements concerning death articulating that death is good but without providing a definitive account of what follows death is so reservedly conditional that we can get to be interested in his religious hopes as well. In any case, the true meaning in the view of Socrates concerning death may be concluded 'the improvement of our souls in the not-so-Elysian here and now.' In this sense Apology Plato informs the true meaning of the life and death of Socrates can properly be called as 'the invitation to Socratic philosophy', the care and tendance of the soul(psychē) by his divinely commissioned task. Hence, here can be the point of thoughtful contact of Socrates and Confucius.

      • KCI등재

        비극의 철학적 가치에서 본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아크라시아 문제

        조흥만(Cho, Heung-man) 대한철학회 2022 哲學硏究 Vol.164 No.-

        본 논문은 소크라테스의 아크라시아 불가능성 테제와 이를 수정하고 극복하여 아크라시아의 성립 가능성을 옹호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아크라시아론 각각이 고대 그리스 비극의 철학적 가치에 관한 두 철학자의 양립 불가능한 태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것을 논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관한 일련의 논의의 출발점은 플라톤이 어떤 정치적인 의도에서 일상의 경험에 배치되는 아크라시아 불가능성 테제를 역설하고 있는지 그리고 어떤 이유로 아리스토텔레스가 플라톤의 논변을 정면으로 반박하면서 아크라시아의 성립 가능성을 항변하게 됐는지에 대한 지적 호기심이다. 우선 플라톤의 논변과 관련하여 구술 문화와 문자 문화라는 보다 폭넓은 인류학적 전통에서 철학과 시(詩) 사이의 오랜 불화라는 플라톤의 정치 철학적 관점에서 소크라테스의 아크라시아 부정 테제에 대한 탐구를 시도할 것이다. 이를 통해 아크라시아의 원인이 무지라는 그의 주장이 사실상 아크라시아 현상을 옹호했던 시(詩)에 대해 플라톤이 가했던 주지주의적 철퇴임을 밝힐 것이다. 다음으로 플라톤과 대조적으로 아크라시아의 성립 가능성을 견지했던 아리스토텔레스의 논증을 추적할 것인데, 그가 앎과 무지의 성격 각각을 규명하고 무지가 발생하게 되는 기제를 면밀하게 파헤침으로써 플라톤의 아크라시아 개념을 수정할 뿐 아니라 이를 새로운 차원에서 재정립시키고 있다는 점을 부각시킬 것이다. 왜냐하면 앎의 소유와 활용, 개별 전제의 활성화 문제 그리고 완전한 지식의 소유 여부 등에 대한 후속 논의를 통해 그는 아크라시아적 행동을 유발시키는 원인으로 욕구와 같은 감정을 지적함과 동시에 숙고를 거쳐 참된 앎을 갖고 있어도 구체적인 상황에서 감정에 이끌려 도덕적 행위에 실패할 수 있는 유약한 부류의 아크라테스 논의를 통해 자신의 아크라시아론을 개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각각의 아크라시아론의 의미와 한계를 비교 검토한 후 두 철학자가 아크라시아에 대해 상반된 입장을 갖게 된 이유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다뤄질 것이다. 시의 중요 장르인 비극과 그것의 가치를 두고 두 철학자가 취한 상반된 태도를 살펴본 다음, 시에 대한 그 둘의 태도와 각자의 아크라시아론이 상호간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설득력 있게 주장할 것이다. 전반적으로 시에 적대적이었던 플라톤과 달리, 아리스토텔레스는 비극이 갖는 철학적 가치를 긍정적으로 수용했다는 데서 이성과 감정에 대한 두 철학자의 태도가 극명하게 갈리기 때문이다. 의식의 진화에 대해 말하자면, 구술성과 그것에서 연원하는 문자성의 성장 둘 다가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플라톤을 넘어서 철학과 시 둘 다를 수용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혜안이 더욱 빛을 발하게 될 것이다. 탈진실 시대에는 이성이란 악기 독주자가 지휘자도 겸한 상태에서 감정이나 욕구 등과 같은 오케스트라와 경쟁하듯 협력하는 ‘성찰적 절충주의’라는 콘체르토가 더 큰 울림을 줄 것이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examines Socrates’ Akrasia impossibility thesis and Aristotle’s Akrasia theory, which defends the possibility of Akrasia by analyzing and overcoming Socrates’ arguments concerning Akrasia. These theori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incompatible attitudes of the two philosophers regarding the philosophical values of ancient Greek tragedy. The starting point for a series of discussions on this is the political intention of Plato to emphasize the thesis of the impossibility of Akrasia and for what reason Aristotle directly refutes Socrates’ argument and protests the possibility of Akrasia. First of all, in relation to Socrates’ argument, I explore Socrates’ rejection of Akrasia from Plato’s political philosophy, that is, the old quarrel between philosophy and poetry in the broader anthropological tradition of oral culture and written culture. Through this, it will be revealed that his claim that the cause of Akrasia is moral agents’ ignorance is in fact an intellectualist attack byPlato against the poetry that defended the Akrasia phenomenon. Next, I will trace Aristotle’s argument, which maintained the possibility of Akrasia in contrast to Plato and also highlight the fact that Aristotle’s view on the possibility of Akrasia is being re-established on a new level. Through subsequent discussions on the ‘possession’ and ‘use’ of knowledge, the issue of activation of individual premises and whether or not complete knowledge is possessed, he points out that emotions such as desire are the cause of Akratic behavior. This is because he is promoting his theory of Akrasia by discussing the weak type of Akratēs that can fail in moral action in its being driven by emotions in specific situations. After comparing and examining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each of Plato and Aristotles take on Akrasia theory, a discussion on why the two philosophers took opposing positions on Akrasia will be dealt with in earnest. After examining the opposing attitudes taken by the two philosophers on tragedy and its value, I argue that their attitudes toward poetry and their respective theories of Akrasia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This is because, unlike Plato who was generally antagonistic to poetry, Aristotle positively accepted the philosophical value of tragedy, as the attitudes of the two philosophers towards reason and emotion are sharply different. As for the evolution of consciousness, Aristotle’s insight beyond Plato to accept both philosophy and poetry will shine even more because both the oral and the growth of the literality it derives from are essential. In this post-truth era, a concerto called ‘reflexive eclecticism’, in which a soloist of reason, also as a conductor, cooperates as if competing with an orchestra such as emotions and desires, will give greater resonance.

      • KCI등재

        소크라테스의 교수법에 나타난 교육 개혁 - 소크라테스적 아이러니와 증여로서의 교육을 중심으로

        조흥만 ( Cho Heung-man ) 한국동서철학회 2017 동서철학연구 Vol.0 No.83

        본 논문은 소크라테스의 독특한 교수법(敎授法)을 탐구함으로써 그의 무지 고백 및 교사 부인과 관련된 직접적이고 명백한 진술들 간의 상충 관계를 해명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교육 체제를 변화시키려는 플라톤의 교육 개혁을 천착하려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도 `소크라테스적 아이러니`를 둘러싼 오랜 편견과 오해를 불식시키는 선행적 분석 작업이 긴 호흡으로 논의될 것이다. 이에 덧붙여서 소크라테스가 “소크라테스적 방법”의 최고의 실천가이자 유일한 참된 교사라는 플라톤의 선언에는 `선물 경제`에 토대를 둔 새로운 “철학”의 발명에 교육 개혁 프로그램이 내재되어 있다는 것을 논증할 것이다. 이를 위해 아이러니의 어원적 뿌리인 그리스어 `에이로네이아`(eironeia)에 대한 전통적인 표준적 해석을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소크라테스의 eironeia의 몇 가지 독특한 형태를 규명하고, 이 과정에서 `소크라테스적 아이러니`에 똬리를 틀고 있는 선행하는 중대한 오해를 제거한다. 먼저 관련 텍스트 분석을 통해 고대 그리스에서 eironeia의 표준적 형태에 `의도적 기만`이나 `부정직성`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과 eironeia의 화신으로 평가받는 `소크라테스적 아이러니`를 그렇게 해석할 경우 그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원천적으로 봉쇄된다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후속 분석 작업을 통해 `소크라테스적 아이러니`는 의도적 기만이 전혀 없는 `조롱 아이러니`와 `복합 아이러니` 로 세분하여 논증된다. 다음에서 이러한 예비적 고찰에서 얻은 `복합 아이러니`를 통해 소크라테스의 지혜 및 교사 부인 문제가 구체적으로 검토된다. 우선 그의 무지 고백이 다른 사람의 지식에 대한 인정이나 자신의 지식에 대한 간헐적인 승인 주장 그리고 그가 지혜로운 자라는 진술들과 어떻게 양립이 가능한지가 논의된다. 또한 같은 맥락에서 소크라테스의 교사 부인 논변에도 불구하고 그가 훌륭한 스승이라고 칭송받는 이유가 탐구된다. 플라톤의 새로운 “철학” 관념의 발명과 이를 “소크라테스적 방법”을 통해 실천하는 소크라테스의 모습은, 교육비를 거절하여 철학함의 자유를 향유하면서 스스로를 `신의 선물`로 주장하는 데에 착안하여 선물 경제에 입각한 소크라테스의 교육관과 시장 경제에 기초한 소피스테스의 교육의 상업화가 대비되어 논의된다. 소크라테스의 철학함의 자유정신은 “철학”을 선물로 간주했던 지적 태도의 산물인데, 선물 경제에 입각한 소크라테스적 교육의 현재적 의미와 한계는 자본으로 환원되지 않은 교육 영역의 확보와 자본의 논리에 포섭된 교육 문제를 풀기 위한 플라톤의 원리적인 교육 개혁의 해법으로 각각 설명된다. In this paper, I set out not only to explain away apparent contradictions between direct statements related to his disavowal of knowledge and of teaching by exploring the teaching method of Socrates but also to examine the educational reformation of Plato to change the traditional education system.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re will be discussed an analytic work to correct the old misconception rooted in `Socratic irony`. Moreover, it will be demonstrated that in Plato` statement that Socrates practising “Socratic method” of achieving moral improvement of interlocutors besides never taking pay is an authentic teacher, Plato`s invention of a new “philosophy” based on a gift economy includes the program of educational reformation. When we go back to the Greeks, we discover that the intention to deceive, so alien to our word for `irony`, is normal in its Greek eironeia. But it is analyzed that there is an alternative use of eironeia which is completely free of an intentional deceit and is used at times by Socrates in Plato. Besides, I will show that Subsidiary in the use of the parent word in classical Greece, eironeia as a mockery without the least intention of deceit now becomes the standard use. As a result, it will be argued that Socrates played the critical role in the mutation of eironeia into irony as a speech used to express a meaning that runs contrary to what is said. It is explored that unlike `simple irony` such as `eironeia with an intentional deceit` and `mocking eironeia`, Socrates`s disavowal of knowledge and of teaching is intelligible only as a `complex ironies`, what is said both is and isn`t what it meant. For example, when Socrates professes to have no knowledge he both does and does not mean what he says. In contrast to divine wisdom the human knowledge of Socrates seems to be identical to ignorance, but in another sense of knowledge identical to JTB(justified true belief) there are many propositions he does claim to know. On the other hand Socrates` parallel disavowal of teaching should be understood not in the conventional sense of teaching as `knowledge transfer` but in the sense of teaching related to an elenctic argument to make his interlocutor him aware of his own ignorance. Next, it is indicated that the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the Socratic manner of teaching and the Sophists` method of teaching consists in if one takes pay for wisdom. Socrates` assertion never to have been anyone`s teacher at 33a5 in Apology turns out to be that he charged no fee for conversing with other people. The Sophistic practice of selling wisdom for money were notorious and the sophists` physicalist model of transferring goods from one person to another simply should not apply to “goods” such as wisdom and virtue. In addition, in having Socrates declare himself “the god`s gift”(Apology 30d-c) to the city, Socrates is situated in a distinctive gift economy instead of a market economy based upon exchange attempted to show in connection with the preliminary discussion in Republic I between Socrates and Thrasymachus. Finally, it is concluded that Socrates` philosophizing as a free spirit resulted from the intellectual attitude of “philosophy” as a gift. The central concern of Socrates` life is “care for the soul.” The limit and meaning of Socratic teaching based on a gift economy for “care for the soul” is drawn from Plato`s program of educational reformation both ensuring educational sphere never reduced to logic of capital and solving the educational problems fettered to a market economy.

      • KCI등재

        플라톤 『향연』의 에뤽시마코스의 연설에서 에로스와 테크네

        조흥만 ( Heung Man Cho ) 한국동서철학회 2011 동서철학연구 Vol.62 No.-

        본 논문은 플라톤의 에로스론에 대한 정치철학적인 접근을 통해 에뤽시마코스 연설의 반정치성과 그 한계를 극명하게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은 에뤽시마코스의 연설의 핵심 의제인 의술과 에로스의 양립 가능성 여부를 밀도 있게 검토함으로써 성취된다. 다른 한편으로 에뤽시마코스의 고유한 에로스론에 입각할 때, 정치 공동체인 폴리스가 실존 가능한지에 대한 합당한 의심이 본 연구의 추동력이다. 또한 에뤽시마코스는 에로스의 보편성을 표방하면서 사실상 자신의 특수한 입장인 의술의 권위를 옹호하고 정당화하는 데에만 혈안이 되어 있고, 그로 인해 자신의 주장에 내포된 중대한 논리적 모순도 간과하고 있다. 우주적 에로스와 의술적 테크네의 상관관계에 대한 처음 논의의 밑바탕에는 테크네의 우월성 옹호가 놓여 있고, 이로 인해 에로스의 본성에 대한 윤리적인 차원의 문제도 의술로 환원되고 만다. 테크네의 우월성 논의는 결국 육체적 에로스와 영혼의 에로스의 근본적 차이를 지워버리고 일원론과 이원론을 결합시키는 이중적 에로스 개념과 생명을 육체의 견지에서 정의하여 영혼을 유형화하고 영혼을 육체의 부수현상으로 환원시키는 육체의 본성 담론을 통해 과학적 환원주의로 귀결된다. 나아가 ``영혼의 유형화``와 ``에로스의 이중성`` 논변에서 대립자의 조화 원리로 이행된 논의는, 마침내 의술과 소년애 간의 갈등을 증폭시킨다. 또 다른 논의인 건강과 질병, 아름다운 일과 추한 일, 호의를 베푸는 행위에 대한 진술을 통해 의술은 소년애를 추구하는 데 있어서 불필요한 테크네로 전락되고 만다. 그럼에도 에뤽시마코스는 의술이라는 테크네를 통해 닮은 것이 닮은 것을 사랑하는 소년애적인 원리를 만들어내려 시도한다. 에뤽시마코스는 대립자의 사랑을 의술이 제공하고, 닮은 것이 본성상 사랑한다고 주장하여 소년애를 자연적인 것이고, 이성애는 의술에 의해 인위적으로 야기되는 것으로 만들려고 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대립자의 사랑과 일치는 의술적 테크네의 공헌이 아니라 본성상 유지되어 왔고, 따라서 대립자들의 조화는 소년애적 사랑보다 이성애적 사랑을 정당화한다. 이는 에뤽시마코스 자신의 에로티시즘에 대한 모순적인 정당화일 뿐이고, 나아가 에뤽시마코스의 의술에 대한 찬미와도 양립 가능하지 않다. 에뤽시마코스가 자신의 에로스와 의술을 한꺼번에 찬미한다는 것은 큰 문제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의술이라는 테크네에 경도되어 의술적 권위에 포로가 된 에뤽시마코스는 자신의 연설에서 비정합적인 논변들을 피력하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에뤽시마코스의 보편주의적 허식을 볼 수 있고, 일반법칙을 정식화하는 것에 대한 플라톤의 비판도 목격하게 된다. 나아가 유물론적 열정과 기술적 자부심 간의 갈등도 드러난다. 그렇지만 에뤽시마코스의 에로스에 대한 성애적 측면으로부터의 이탈은 디오티마의 에로스 이해를 선취하고 있다. 디오티마에게는 이원론이 없고, 에뤽시마코스는 나쁜 에로스를 자연의 질서에 귀속시킨다. 그래서 에뤽시마코스의 연설을 분석한다는 것은 플라톤의 기술주의 논쟁을 다루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This paper is basically indebt to the perspective of the approach of political philosophy towards eros in Plato`s Symposium and concerned with the articulation of anti-politics and its limits in Eryximachus` speech. In the course of analyzing the compatibility of medicine with eros in his speech, I investigate that Eryximachus`s theory of eros is subordinated to the individual profit related to his occupation instead of res pubulica, therefore leads to the disastrous catastrophe in danger of existence of political community, polis. Eryximachus` speech is destined to falling to abyss because of the serious logical fallacy deriving from eliminating the distinction of the eros of body and the eros of soul in favor of supporting the authority of medicine. His thesis of the superiority of medicine results in the corporealization of psyche and the duality within eros, in other words, the scientific reductionism. Further, that argument is connected to the harmony in opposites, finally explodes the conflict between medicine and Athenian paiderastia. Eryximachus`s argument would rather be based to paiderastic eros than heterosexual one, allege the naturalness of paideratia but the kernel of the techne of Eryximachus`s medicine is opposite to the nature. Therefore, the incompatibility of medicine with eros in Eryximachus` speech is proved and the incoherence of his thesis is never disappeared.

      • KCI등재

        서양 철학사를 통한 환경교육의 일환으로서 플라톤의 환경철학 연구

        조흥만 ( Cho Heung-man ) 한국동서철학회 2017 동서철학연구 Vol.0 No.84

        이 글은 플라톤 철학이 현재 인류가 직면한 환경 문제의 서양 철학사적 기원이라는 일부 현대 환경 철학자들의 논의와 주장을 논박하려는 데에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 따라서 그들이 백안시했거나 꼼꼼한 분석을 게을리 하여 야기됐던 오해와 편견을 불식 시킨 후, 오히려 플라톤의 환경 철학 관련 논의 전반을 서양 철학사를 통한 환경교육의 일환으로서 구체적으로 타진하고 조망해 볼 것이다. 이를 통해 현대 환경철학 논의에 기여할 수 있는 플라톤 철학의 환경론적 의의를 재발견하고 좀 더 확장된 새로운 환경철학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논박 작업은 플라톤 형상론의 현상 구제 기획, 탈인간중심주의에 바탕을 둔 그의 우주론적 목적론 및 우주에서의 인간의 위치와 책임 그리고 그의 동·식물론을 논급하면서 진행된다. 먼저 자연 보전의 이념을 무력화시키고 환경에 대한 무관심을 야기한다며 플라톤 철학에 쏟아진 비난에 대해, 『파이돈』과 『국가』에 나타난 그의 `형 이상학적 인식론`을 통해 논박을 시도한다. 플라톤 철학을 독단적인 `두 세계 이론`과 동일시하고 그 결과 그를 서양 철학사에서 현대 환경 문제의 기원적인 원인 제공자로 간주하는 것은 사실상 그의 지각 이론과 형상 이론에 대한 그릇된 이해에서 비롯된 것이고, 따라서 그의 `두 세계 이론`은 형상이론의 현상 구제 기획에 의해 원리적으로 종식 가능하다고 말해진다. 다음으로 낙관주의와 염세주의가 중첩되어 나타나는 『법률』10권에서 플라톤의 우주적 목적론과 탈인간중심주의를 검토한다. 신이나 세계-영혼이 확립시킨 목적론적 전체주의라는 낙관적인 우주적 정의 체계를 조망하고, 악의 원천으로 제시되는 인간이 신의 조력자이자 부분적 통치자라는 우주에서의 위치와 책임이 상세하게 다뤄진다. 또한 우주에서의 궁극적인 선의 승리는 인간의 방종을 독려하는 담론이 아니라 거시적 차원의 목적론적 위안이고, 우주적 정의에 기여하는 인간의 우주적 위치는 인간에게 환경에 대한 생태학적 책임 의식을 일깨우는 기제라는 것이 환기된다. 끝으로 모든 동물에게 이성이 있다는 플라톤의 윤회론에서 비롯된 동물론 그리고 식물의 쾌고감수능력을 인정하는 그의 식물론은 탈인간중심주의 논변과 함께 새로운 환경 윤리의 가능성을 추동한다는 서양 철학사적 의의를 드러낸다. 요컨대, 그의 동·식 물론은 편협한 인간중심주의에 대한 경고일 뿐만 아니라 인간과 동·식물 간의 새로운 관계설정을 위한 환경 철학적 토대로 제시된다. 플라톤의 환경 철학은 현대의 환경 문제를 야기하거나 환경 위기를 부추기는 서양 철학사의 기원이 아니라 자연 환경 보전을 역설하고 현대의 환경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혁신적인 환경 윤리적 통찰과 대안을 담고 있는 `오래된 미래`로 재평가된다. 이와 관련된 논증인 그의 현상 구제, 목적론적 탈인간중심주의, 동·식물론이라는 그의 전반 적인 환경적 관심사에서, 우리는 우주적 차원의 전체주의적이고 탈인간중심주의적고 양된 환경 의식과 식물에 관한 또 다른 `종차별주의`를 경고하는 플라톤과 조우하기 때 문이다. In this paper, I set out to refute diverse arguments some contemporary environmental philosophers have often made in trying to find the roots of our modern environmental crisis in the environmental philosophy of Plato among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Therefore criticizing the misunderstanding and prejudice related to Plato`s attitude toward the environment in the center of the theory of Forms, I survey in detail the environmental philosophy of Plato as part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In doing so, it is rediscovered the meanings of environmental values of Plato`s philosophy and the possibilities of new environmental philosophy. I deal firstly with the most prevailed of the above those charges that Plato`s metaphysical dualism centered on the realm of Forms prevented the development of an ecological perspective and the appreciation of natural beauty. Although Plato may attribute more value to Forms than to perishable sensible particulars, under the light of `to save the phenomena` I reassess the meaning of Plato`s philosophy in Phaeon and Republic. Through the grounds for having postulated such dualism are mainly epistemological, I emphasize the dogmatic `Zwei-Welten-Theorie` is not compatible with his metaphysical epistemology proper. In addition, the same line of thought is followed by Laws X which contains Plato`s cosmic teleology based on the supremacy of soul, the problem of evil corresponded to human souls as responsible for partial evil, and the fluctuation between optimism concerning the whole universe and pessimism for human affairs. But I argue that human beings are archontes of the small portions that are allotted to them in the universe, the status of agents in contributing the cosmic justice as well as encouragers of the ecological responsibility toward environment around us. On Plato`s views about humans reincarnating into animals, no one is intrinsically superior to animals merely by being human. It is reason that matters, and which thus presents itself as the goal of both human and animal striving. On the other hand,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even plants are given a faculty of sensitivity, together with pleasure and pain. I claim that Plato`s stance considering animals and plants criticize the narrow anthropocentrism, offer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new environmental theory. The environmental philosophy of Plato is evaluated as `an old future` to include innovative alternatives of environmental ethics and emphasize the conservation of natural environment ,not the originator to cause the environmental crisis or problems. In his environmental concerns, that is, the substance of Plato`s metaphysical epistemology related to `saving the phenomena`, his notion of nature and teleology based on the non-anthropocentrism, we encounter the enhanced consciousness of environment related to holistic and non-anthropocentric dimension of universe and the warnings of `speciesism` regarding plants.

      • KCI등재

        소크라테스 철학에서 이성과 종교

        조흥만 ( Heung Man Cho ) 한국동서철학회 2015 동서철학연구 Vol.77 No.-

        아테네인 자신들은 새로운 신들까지도 국가의 신으로 도입했으면서도 왜 유독 소크라테스에 대해서만 새로운 신들을 도입했다는 불경 죄목으로 사형을 시켰는가? 본 논문은 소크라테스의 철학에서 이성과 종교의 독특한 화해와 여기에 토대를 두고 있는 그의 종교관 및 종교 혁신의 의미와 한계를 밝혀보려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소크라테스의 daimonion과 델포이 신탁에 대한 탐구를 중심으로 논증과 추론으로 대표되는 그의 철저한 논박적 이성주의와 신적 명령에의 복종이라는 그의 종교적 신념 체계가 상호간에 완벽하게 조화를 이룬다는 점을 규명한다. 소크라테스의 철학에서 이성과 종교가 완벽하게 조화를 이루는 방식은 이성의 진리가 신학적으로 인가되고, 신학적 승인 역시 이성에 의해 근거 지워지는 상보적 관계에 숨겨져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신적 알림의 인식론적 위상을 균형 있게 분석한 후, 그의 종교 관념 자체에 내재된 이례성을 천착함으로써 그의 도덕 신학의 신조들을 짚어보고 동시에 전통적인 그리스 종교와의 차이점을 자연스럽게 부각시킨다. 신탁과 daimonion 을 시험하는 이성의 권위는 그의 종교 개념과 소크라테스의 도덕 신학의 고갱이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그리스의 전통 신들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도덕화 전략이 그의 무신론 혐의의 원인임이 밝혀진다. 끝으로 소크라테스가 유죄 판결을 받게 된 다양한 이유들을 추적해 본 후, 호메로스적 신성의 도덕적 정화를 목표로 했던 소크라테스적 종교 개혁과 그 실패의 역사적 함의와 파장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기원전 5세기 그리스에 퍼졌던 반(反) 지식인 풍토와 종교적 근본주의자들의 기소 행렬은 소크라테스를 희생양으로 삼았고, 그로 인해 그리스는 자유정신의 고사와 종교적 불관용이라는 몰락의 길을 걷게 된다. 그러므로 자유정신의 함양과 고취를 위해서는 기성 정치 및 종교 권력에 대한 법적 제한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We are living in the midst of a Socratic revival, both academic and broadly cultural. In the scholarly works, in particular, over the last three decades Socrates’ daimonion(i.e. divine sign) has attracted much scholarly attention. His daimonion is an internal, private admonitory sign and voice caused to appear within the horizon of consciousness by a god(s) or a divine daimon. Socrates is seen to accept the traditional notion that the gods really do provide humankind with signs(e.g., that the gods provide us with truths through oracles and dreams), while insisting that traditional, hazard methods of oracularinterpretation must give way to his sort of rational, elentic methods for interpreting and testing such signs. Socrates’ rationality and religiosity were fully consisted with one another in his own eyes. That is, that is truths of reason are theologically sanctioned, and equally, theological sanctions are grounded in reason. Socrates was condemned for many and varied reasons. Some found him guilty on political grounds, others certainly felt threatened for religious reasons. Socrates rejected the traditional Greek conception of the gods as powerful but amoral beings to be sacrificed to in exchange for favors, and in its place a conception of gods as good and human beings as properly their assistant in benefiting human beings by caring for their souls. In his conception of the divine, besides the gulf between gods and men, it never lies or cheats or acts for any purpose other than the best.Socrates’ lived piety consisted in care of the soul which involved rational inquiry that would aid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god’s communications. Socrates’ attempt to moralize the gods of Greek traditional religion was so threatening to the religious establishment that it caused a fundamentalist backlash. Their ethical transformation would be tantamount to the destruction of the old gods, the creation of new ones - which is precisely what Socrates takes to be the sum and substance of the accusation at his trial. Athenians counted as “atheists” both those who believed in new gods and those who believed in only one god. Most Greeks were free to think as they liked, and some of them did so, to remarkable effect. Over the years, as Athens suffered war, plague, loss of empire, and defeat, its citizenry became increasingly alarmed that the new learning was somehow to blame, and anti-intellectualism grew. Moreover, under the pressures of military overambition and defeat, the Athenians halted scientific and philosophicalprogress by persecuting those whose ideas they judged to be dangerous. The religious fundamentalist’ reaction had disastrous consequences on the development both science and philosophy. It’s like a destructive clash between the Reformation and Counter-Reformation. If the gadfly is not swatted, legal limits to political and religious authority are vital to intellectual progress of civilization.

      • KCI등재

        『잔치』 파이드로스 연설에서 이기성의 정치

        조흥만 ( Cho¸ Heung-man ) 한국가톨릭철학회 2009 가톨릭철학 Vol.0 No.13

        파이드로스는 사랑받는 사람의 이익의 관점에서 에로스를 찬미한다. 그는 모든 에로스를 수혜자의 관점에서 환영하고, 사랑받는 사람으로서 그는 에로스에 최고의 자리를 부여한다. 파이드로스의 에로스의 최고성(最古性) 논의는 생성과 생식의 구분에 실패하여 논파되고 결과적으로 에로스 찬미가 아니라 에로스의 원리인 생성을 찬미하는 논리적 비정합성을 드러낸다. 파이드로스의 우주론적 관심의 동기는 신들의 권위를 폄하하고 인간들 스스로를 그들의 행동의 척도로 만들려는 욕망에서 비롯되는데, 결과적으로 그는 자신의 연설에서 어떤 신도 언급하지 않고, 전적으로 영웅들이나 인간의 행위에 대해 말할 뿐이다. 사랑하는 사람들 간의 친밀한 관계가 전제되지 않는 헬라스 사회의 수치문화는 자기규정의 고유한 힘을 사회의 관습적 탁월성에 양도함으로써 가면으로 전락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에로스는 순응의 힘으로 밝혀진다. 소년애적 관습의 결과인 도시나 군대에 대한 논의에서도 그가 말하는 용기는 부끄러움에 대한 두려움일 뿐이고, 탁월성을 촉발시키는 에로스까지 자신의 이기성을 정당화하기 위해 폄하한다. 그러나 사랑받는 사람의 이득이 사랑하는 사람의 이기성에 놓여 있는 한, 순수한 이기성은 정치 원리로 불가능하다. 에로스는 자기희생의 가능성을 포함하기 때문에 영웅주의와 자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바로 여기에 에로스의 사적 감정이 공적 공훈으로 발전될 수 있는 단초가 들어 있다. 파이드로스는 소년애에서 남성에 대한 여성의 사랑으로 자신의 관심을 이행한다. 파이드로스가 에로스를 이익의 기준에 종속시키고 있다는 것은 그의 세 가지 실례들에서도 분명하게 드러난다. 사랑하는 사람들을 영예롭게 하는 이들은 사실상 신들이 아니라 사랑받는 사람들이고, 에로스는 자기 충족적이지 않으며, 계산적인 수취인의 관점으로부터 사랑하지 않는 사랑받는 사람이 사랑하는 사람보다 선호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이익에 대한 사랑을 옹호하는 파이드로스는 에로스와 도덕성의 갈등을 철저히 무시했고, 사랑하는 사람을 구애하도록 고무시키고 사랑받는 사람의 추구를 단념하게 하는 관습에 만족하고 있다. In the perspective of selfishness of the loved Phaedrus praises erōs. He as the loved welcomes all erōs in the position of the receiver and gives erōs the best place. The argument of the antiquity of erōs is refuted owing to the failure of the distinction between genesis and generation and as a result infers logical incoherence in praising not erōs but genesis as the principle of erōs. Because the motive of cosmological concern of Phaedrus is derived from the desire of both declining the authority of gods and making human beings themselves the standard of their behaviors. Consequently, Phaedrus does not state any gods in his speech, only to talk about heroes or the behaviors of human beings. The shame culture in Greek society which does not have a premise of the intimacy among people is deteriorated into a mask by transferring the proper power to the conventional aretē of society. In the course of this erōs is proved to be the power to adapt it. In the argument of polis and army as the result of the convention of paiderasty, he changes courage into fear to shame and the substituted erōs for aretē is degraded through the justification of selfishness. The pure selfishness is not possible as the principle of politics, for the benefit of the lover lies with the selfishness of the loved. The erōs is naturally linked to heroism because of its including the possibility of self-sacrifice and here is the seeds which can developed from the private passion to public exploit. Phaedrus performed the transition of the love of women to men from paiderasty. In three examples he took it is evidently showed that Phaedrus subordinats erōs to the criterion of benefit. Those who glorify the lover is not gods but the loved. Erōs is not self-sufficient. It is preferred those who do not love to those who do love in the perspective of calculative receiver. Likewise Phaedrus advocates the love of benefit and disregards the conflict between erōs and morality. He also is contented with the convention which inspires the lover to chase and requires the surrender of the seek of the loved.

      • KCI등재
      • KCI등재

        고대 그리스에서 정치적 에로스 담론

        조흥만(Cho, Heung-Man) 새한철학회 2017 哲學論叢 Vol.90 No.4

        본 논문은 사랑을 성애로 환원하는 최근의 성적 환원주의와 사랑이 가능한 한 사적으로 유지돼야 한다는 자유주의적 이상에 맞서 고대 그리스의 정치-사랑 개념 쌍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현대 학문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간과되고 있는 고대 그리스의 정치 이론에 나타난 공적 에로스론인‘폴리스-에로스론’을 고찰하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성적 욕망은 에로스의 제한된 유형일 뿐이라는 논점을 위해, 2절에서는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나타난 에로스 신의 기원에 관한 두 가지 설명이 차례로 분석될 것이다. 헤시오도스의 신화적이고 시적인 설명에 따르면, 고전기의 정치적 에로스에 대한 최초의 기원이 아프로디테 이전의 최초의 오래된 에로스라는 것이 드러날 것이다. 이 원초적인 에로스가 비성적이거나 성적인 것 외부에 있는 비육체적인 대상들에 적용됐던 정치적 에로스의 모태임이 밝혀질 것이다. 다음으로 3절은 시칠리아 원정, 페리클레스의 장례식 연설 그리고 뮈틸레네 논쟁을 통해 투퀴디데스의 정치적 에로스 담론의 지형도가 그려진다. 투퀴디데스의 정치적 에로스 담론은 더 많이 가지려는 욕망(pleonexia), 구혼자들처럼 도시를 사랑하는 자들(erastai)이 되라는 페리클레스의 촉구, 그리고 개인적 에로스와 공동체적 에로스의 공속 관계를 통해 잘 드러나고 있다. 그리고 4절에서는『향연』의 파이드로스의 연인군대, 파우사니아스의 참주정과 소년애, 아리스토파네스의 남성-남성 욕망의 합법화 그리고 소크라테스-디오티마 연설의 불사적 명예에 대한 사랑을 통해, 정치적 에로스에 관한 담론이 논급된다. 연인군대, 참주정과 소년애, 남성-남성 욕망의 합법화 그리고 불사하는 명예에 대한 사랑(philotimia) 각각은 정치와 에로스의 공속 관계를 다시 한 번 확인시켜 줄 것이다. 이상의 정치적 에로스 담론에 관한 헤시오도스의 신화적이고 시적인 전통과 투퀴디데스의 실증주의적 역사, 그리고 플라톤의『향연』을 통해, 우리는 에로스가 성애를 초과하여 좀 더 넓은 의미로 사용됐고, 특히 국가적 차원에서 에로스의 정치적 함의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에로스가 정치적 저항 운동의 에너지원이고, 완전히 다른 삶의 형식, 완전히 다른 사회를 향한 혁명적 욕망의 원천이라는 진단에는 에로스의 정치적 잠재성과 동시에 그것의 위험들에 대한 경고도 함께 들어 있다. A tendency of recent scholarship has been to reduce the meaning of erōs in all instances to sexual desire. This is just one important instance in which modern assumptions about erōs color the interpretation of classical texts. In this paper, I set out not only to explain the assertion that erotic passion was a causal factor in the emergence and maintenance, as well as the decline, of the Greek polis, but also erōs, the most private of passions, was believed by ancient political thinkers to be of the utmost public relevance. For them, the term erōs included the ordinary meanings of love and sexuality but went beyond these to embrace a wide array of inclinations comprising ambition, patriotism, and other aspirations that were properly political in nature. First of all. in Greek cosmogonies we find two forms of the god Erōs. The elder of the two, the primordial Erōs, is as old as the world, and consequently much older than Aphrodite, while the young Erōs is a relative newcomer. The old Erōs of Hesod’ Theogony is not the principle of union of the couple and does not join together two to make a third. Rather, he who by his limitless power and his very immensity belongs to the realm of the superabundance is the mythical origin of political erōs in ancient Greek world. Apart from the primordial Erōs, the young son of Aphrodite always mediates between two terms whose binary relationship is problematic. That’s the point that A different group of words, for example, aphrodisia and (more rarely) aphrodite, was sometimes used to mean, respectively, sexual pleasures and sexual desire, often without reference to the elder of the two Erōs. In general, cognates of aphrodite referred to sexual arousal and were rarely used in political contexts. Next, as far as Thucydides’ erotic discourse is concerned, when we turn to the question of imperialism and to his similarly erotic descriptions of the lust for overseas empire and the desire to dominate far-off lands, the connection between erōs and political passion seems more evident to the modern mind. Enough has been written in postcolonial theory about the erotic aspects of aggression, including the sadistic and sexual aspects of dominating the other, to make this particular connection between erōs and politics. For example, the Athenians’ erōs, viz., his term ‘pleonexia’ in the Sicilian expedition, Pericles’ striking metaphor of the city’s erastai in his funeral oration, and both an incurable erōs and ascent from the individual erōs to the communal erōs in the speech of Diodotus during the debate over how to punish the Mytilenians for rebelling In Plato’ Symposium there are Phaedrus’ band of lovers, tyranny and paiderastia in Pausanias, the legality of men-men desires in Plato’s Aristophanes, and the love of immortal honor in Diotima-Socrates’ speech. In these we realize sexual desire would be one limited type of eros among other types of erōs and the co-connection between politics and erōs once more. This article’s thesis is that erōs is used in more meanings than sexuality, especially related to the realm of nation. But the fact that erōs is the root of the political protest and the revolutionary pool containing completely different form of life mirrors the political potential of erōs and warnings of its dang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