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정거래법상 부당한 이익제공행위의 ‘부당성’ 판단에 관한 판례 분석 - ‘경제력 집중’ 개념의 의의 및 위상을 중심으로 -

        조혜신 한국경쟁법학회 2024 競爭法硏究 Vol.49 No.-

        법 제47조 부당한 이익제공행위의 부당성 판단기준에 관한 한진 사건 대법원의 판결에 대해서는, 특히 ‘경제력 집중의 유지․심화’ 개념을 핵심 표지로 사용한 것과 관련하여 경제력 집중 개념의 의의와 위상에 근거한 비판적 문제 제기가 가능하다. 물론구체적 사건에서 경제력 집중 억제라는 헌법적 지향과 공정거래법의 목적을 선언하고상기하는 것에는 일면 긍정적인 면도 있다. 그러나 체계상 경제력 집중 개념보다 낮은위상에 위치하면서도 여전히 추상적인 규범적 개념인 부당성의 판단기준으로 경제력집중 개념을 원용하는 것은 두 개념 모두에 혼란을 가져올 가능성이 있다. 또한 법 제47조가 그 취지와 목적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제4장이 아닌 제6장에 위치하고 있다는점도 무시하기 어려워 보인다. 무엇보다도 부당이익제공행위의 불법성은 정당하지 않은 부의 이전에 있는 것이고, 그로 인해 얼마나 경제력이 집중되는가는 개별 법 적용에 있어서 입증이나 판단의 대상이 아니라, 해당 행위를 금지하는 규범의 필요성 혹은 정당성으로서 이미 전제되어있는 것으로 이해되는데,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대법원의 해당 판결에는 수긍하기어려운 점이 있다. 즉, 특수관계인에게 기업집단의 이익이 귀속된다면 경제력 집중의유지․심화를 야기되는 것이지만, 우리 법은 그러한 경우 모두를 문제 삼겠다는 것이아니고, 특히 그 이익의 귀속이 정당하지 않은 방법으로 이루어질 때 법적 개입이 필요하다는 판단이 존재하는 것이다. 법 제47조 제1항은 전반적으로 이 점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한다. 부당이익제공행위의 부당성의 의미도 이렇게 새겨져야 할 것이고, ‘이익 귀속의 결과’ 가 아닌 ‘이익 귀속의 정당성’을 중심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현재로서 현실적으로 가능한 해석론은 법문의 ‘부당한 이익’을 별도의 구성요건으로 파악하되 그 판단의 근거를 이익귀속의 결과가 아닌 이익귀속의 행위 혹은 귀속이익 그 자체로부터 확보하여야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대법원이 부당성 판단의 요소로 제시한 다양한 요소들에 대한종합적 고려는 법 소정의 금지요건을 충족하는 행위에 대한 최종적인 위법성 판단을저지하는 예외적인 소극적 요소들로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일단 법 제47조 제1항 각 호의 요건을 충족하는 행위들에 대해서, 판시에서 언급한 요소들과 관련하여 해당 행위를 위법한 것으로 판단하기 어렵게 만드는 명확한 사실들이 존재할때에 ‘부당한 이익’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점에 대한 주장 및 입증 책임은 공정위에 있는 것으로 보는 것이 불가피하지만, 공정위는 해당 행위를 정당한 것으로 만들 정도로 두드러진 사실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보임으로족하다 할 것이다. The illegality of the attribution of undue benefits should also be reviewed focusing on the ‘act of benefits attribution’ rather than the ‘result of benefits attribution’. Currently, a practically possible interpretation is that the ‘unreasonableness’ of the law should be identified as a separate component, but the basis for its judgment should be sought from the act or attributable benefits itself, not the result of benefits attribution. In this respect, the use of the concept of ‘maintenance and deepening of concentration of economic power’ in the judgment in question should be avoided. And as the Supreme Court suggested, it would be desirable to comprehensively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the object of action and the related person, the purpose and intention of the action, the circumstances of the action, the size of the transaction, the size of the benefits attributable to the related person, and the period of the benefits provision as an exceptional passive factor that prevents the final judgment of illegality for an act that meets the requirements prescribed by the law. For acts that meet the requirements of each subparagraph of Article 47 (1) of the Act, it can be judged as not ‘undue benefits’ when there are clear facts that make it difficult to judge the act as illegal in relation to the factors mentioned in the judgment. It is inevitable to see that the FTC is responsible for asserting and proving this point, but it is sufficient that the FTC shows that there is no remarkable fact to make the act legitimate. Each subparagraph of Article 47 (1) of the Act already presents the limits of legitimate interests, and the acts in each subparagraph also contain normative requirements, and in particular, the FTC burden of proving the requirements for ‘significant’ or ‘normal transaction’ is not light.

      • KCI등재

        경쟁법상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문제에 관한 EU 및 회원국 경쟁당국의 동향

        조혜신 한국경쟁법학회 2023 競爭法硏究 Vol.47 No.-

        It will be difficult to disagree that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sustainability has now become a goal for mankind that cannot be delayed any longer. However, it is true that the new demand for sustainability raises several difficult problems in the competition law, which has basically distinguished economic and non-economic aspects. And it seems to be a problem that has not yet appeared in Korea. However, each country's economic activities are bound to be closely influenced by each other, which leads to interaction among norms. In this respect, looking at the discussions and trends in the EU and Member States, which are dealing with sustainability issues under competition law, will mean looking ahead to our problem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Korean Competition Act, it is also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aspect that sustainability issues may highlight the limitations of the system of prohibiting cartel in Article 40. If there is an issue in Korea where environmental public interest is greatly highlighted, such as agreement to achieve sustainability purposes, it will be reviewed in the requirement of unreasonableness, and in light of previous precedents, unreasonableness is possible to be denied. There is no choice but to say that there is considerable uncertainty as of now for both competition authorities and undertakings. For EU and member competition authorities, the sustainability issue is, after all, a task to alleviate or resolve the uncertainty of law enforcement, which seems to be greater for our KFTC or operators, but never less. Overall, looking at how the EU and its Member States address the issue of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we can see that they are taking a very careful approach to maintaining consistency with the ultimate objectives and systems of competition law, while boldly embracing the challenges of the new era. The question of to what extent to consider non-economic goals or interests in competition law has long been a controversial topic, and the degree of acceptance will inevitably vary depending on the country. In the EU, values from various economic and non-economic aspects have had some role in interpreting and enforcing competition laws, so there was a context to deal with sustainability issues, but this context is relatively weak in other competition legislation,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Korea. Nevertheless, sustainability issues are expected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in-depth discussions by visualizing issues latent in the existing normative system, such as cartels, merger, and abuse of market dominant position in Korea.

      • KCI등재

        사회적 경제에 있어서 ‘사회성’의 헌법적 의의 : 사회적 시장경제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조혜신 한국경제법학회 2022 경제법연구 Vol.21 No.3

        In Germany, the social market economy has been formed as a concept with unique contents in the process of being presented as an ideal and becoming a reality. Here, two meanings of 'social' can be derived: the combination of market principles and social principles, and the binding of market with ethical and cultural values. In the economic order under the Korean constitution, both significances of ‘social’ are found. The clues are ‘economic democratization’ and ‘harmony between economic actors’ in Article 119(2). This can be the constitutional basis of sociality as a legal concept, and, based on the contents of sociality visualized or embodied by legislation and policy, the text of “economic democratization through harmony between economic subjects” can be understood. It is the laws related to social economy that allow us to directly and abundantly grasp the significance of ‘the social’ or ‘sociality’ in the legal order. The social and economic organizations designed by these laws are largely based on the following two essentials in terms of purpose and operation: one is ‘non-profit or limited profitability’ in terms of purpose, and the other is ‘democratic and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in terms of operation. The core principles of these two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can be said to be the content of sociality implemented in the current social economy-related legislation and policies, which means ’social’ in the social market economy, which is an economic order under the constitution, and the process and result of our community's implementation of “economic democratization through harmony between economic actors.” On the other hand, the two principles of sociality: non-profitability or limited profitability in purpose and democratic and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in operation are to be carried voluntarily. Everyone is free to choose to form or participate in a social economic organization, and can voluntarily participate in the operation by agreeing to the purpose of the organization. This means that the pursuit of profitability is completely or partially abandoned, and the decision-making power according to one’s economic power is limited to the same level as other members. It can be said that it is related to this that the constitutional ground of social economy legislation may be “harmony” between economic actors that implies spontaneity or autonomy. 독일에서 사회적 시장경제는, 먼저 하나의 질서적 이상으로 제시되고 법과 정책으로 현실화되는 과정에서 고유한 내용을 가진 개념으로 형성되어 왔다. 여기에서 ‘사회적’의 두 가지 의의를 도출할 수 있는데, 그 하나는 시장 원리와 사회 원리, 즉 경제적 효율성과 사회적 형평성의 가치적 결합이고, 다른 하나는 윤리적·문화적 가치에 대한 시장의 결속이다. 우리 헌법상 경제질서에도 ‘사회적’의 첫 번째 의의인 시장 원리와 사회 원리의 결합 뿐 아니라 두 번째 의의인 일정한 가치지향성이 발견된다. 그 단서는 바로 ‘경제민주화’와 ‘경제주체간의 조화’이다. 이는 법 개념으로서 사회성의 헌법적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고, 반대로 입법과 정책으로 가시화(可視化) 혹은 실체화 된 사회성의 내용을 바탕으로 “경제주체간의 조화를 통한 경제의 민주화”라는 텍스트를 이해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우리 법질서에 있어서 ‘사회적인 것’ 혹은 ‘사회성’의 의의를 직접적이고도 풍부하게 파악하도록 해 주는 것은 바로 사회적 경제 관련 법률들이다. 이들 법률에서 설계하고 있는 사회적 경제조직은 크게 ‘목적’과 ‘운영’의 차원에서 다음의 두 가지를 본질로 한다고 할 수 있는데, 하나는 목적 차원에서의 ‘비영리성 혹은 제한적 영리성’이고 다른 하나는 운영 차원에서의 ‘민주적·참여적 의사결정’이다. 이 두 가지 사회적 경제조직의 핵심 원리는 현행 사회적 경제 관련 입법과 정책에서 구현된 사회성의 내용이라 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우리 헌법상 경제질서인 사회적 시장경제에서 ‘사회적’인 것이 의미하는 바이자, 우리 공동체가 헌법 제119조 제2항 ‘경제주체간 조화를 통한 경제민주화’를 추구하는 과정이자 결과라 할 수 있다. 한편 사회적 경제 입법의 고유하고도 독특한 성격은 그러한 정치·사회 원리에 의한 경제·시장 원리의 수정이 자발적으로 수행된다는 점에 있다. 사회성의 두 가지 원리, 즉 목적에 있어서의 비영리성 혹은 제한적 영리성과 운영에 있어서의 민주적·참여적 의사결정은 구속성과 강제성을 전제로 하지 않는다. 모든 사람은 사회적 경제조직을 결성하거나 이에 가담할 것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사회성을 추구하는 조직의 목적에 동의하여 자발적으로 그 운영에 참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영리성의 추구를 전면적으로 혹은 부분적으로 포기하고, 자신의 경제력에 따른 의사결정권을 다른 구성원과 동일한 수준까지 제약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적 경제 입법의 헌법적 근거가 자발성 혹은 자율성을 암시하는 경제주체간의 ‘조화’일 수 있는 것도 이와 관련되어 있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원격의료 확대의 의의 및 조건에 대한 법정책적 연구: 헬스케어 산업 발전의 관점에서

        조혜신 경북대학교 IT와 법연구소 2017 IT와 법 연구 Vol.0 No.15

        Recently the adoption of new technology in health and medial field has generated a great deal of controversy and resistance, which comes from the sensitivity of that filed related to human’s life and body. Specifically, telemedicine in Korean Health Law has been firstly introduced in 2002, however, the further expansion is stopped due to the failure in compromising between pros and cons. If we can agree on that the essences of medical practice are ‘professionalism’ and ‘face-to-face’, it is because of the ‘morality’ and ‘responsibility’ as a conduct dealing with ‘human’. It is not enough to take functional approach. Therefore, even if the most advanced technology is going to emerge in the future, medical personnels have to take the ultimate responsibility and the technology ought to remain in complementary position. The two core characteristics of medical practices suggest us the limitation that the technology should not take place of medical personnel. In this sense, we should try to find a way to institute the more advanced telemedicine without distorting and damaging the existing heath care delivery system. It is possible to have the advanced telemedicine to strengthen the ‘regionalization’ of health care delivery system that is said to be in danger of destruction. If we promote health care industry which focuses on the prevention of disease and management of health on the basis of local government and society, we may be able to vitalize the first-level medical institutions. The primary goal of health and medical policy is to serve all people with a substantial level of health care anywhere in the country, and to prevent the concentration of profits and patients into certain large hospitals. From this point of view, in deciding priority of policies, an aim of establishing the health care system with ‘publicness’ as universal service which can treat all people in need in relatively cheap price, rather than maximizing profits and upgrading servic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health care industry, should take the lead.

      • KCI등재

        경쟁법상 부당한 공동행위의 형사처벌에 따르는 법리적 쟁점

        조혜신 한국경쟁법학회 2019 競爭法硏究 Vol.39 No.-

        Criminal punishment for cartels began with Article 1 of the U.S. Sherman Act, which has set a strong antipathy against cartels and monopolies at the time of the enactment of the Act. Against this backdrop, the so-called 'conspiracy-centered approach' was adopted. Specifically this approach could be explained as as 'agreement'-oriented components that do not take into account their implementation or the consequences of implementation, a prohibition that is not exceptionally permissible, and strong criminal sanctions that include jail terms for individuals involved. On the other hand, the circumstances behind creating competition laws for the EU community and its members are clearly distinct from those of the United States. That is, in the background of the lack of experience in moral criticism of cartels, the EU Community and Member States Competition Law has adopted an administrative-regulatory approach, which has centered around specialized regulators, to determine whether an agreement is prohibited by combining "effects or consequences" with the agreement itself. Fines, administrative sanctions, have played a major role in enforcement. However, the introduction or reinforcement of criminal sanction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artels' regulations is being noticeable due to the strengthening of awareness of problems with international cartels in the 1990s and the global spread of the leniency program that began successfully operating in the U.S. Currently, 12 countries among EU member states enforce criminal sanctions against cartels, while others, Canada, Australia, Brazil, Israel, Mexico and South Korea, do so. Many of these countries have adopted or strengthened them through legal revisions since the 2000s, showing a distinct tendency toward so-called "criminalization." And in Korea, this trend is felt in the discussion surrounding the abolition of the "exclusive accusation system“. In the case of Korea, the exclusive accusation system could be said to have been an institutional mechanism that allowed criminal sanctions to exist in a coherent manner within the framework of administrative regulation, and thus mitigated legal and procedural problems that followed criminal sanctions to some extent. In other words, an independent regulator with expertise in the Fair Trade Act has been, to some extent, restraining the problem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both administrative and criminal enforcement by leaving the right to decide whether or not to initiate criminal enforcement. In particular, criminal punishment of the individual involved had been supported in the light of strengthening the deterrent effect without due consideration of its legal implications, and it is thought that critical review of it from the criminal law, particularly the question of ambiguity of the subject and the substance of legality, could never be omitted. It can be expected that the recently discussed abolition of the exclusive accusation system will bring about significant changes to the existing cartel's enforcement system, that, among other things, the criminal procedure of administrative procedures cannot rule out the possibility of fundamentally chang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gulators and undertakings under competitive law, and that the benefits of enhancing the deterrent effect may not be significant due to the increase in regulatory costs associated with criminal procedures.

      • KCI등재

        한국의 경제개발과 외자 및 외국인투자 관련 법제

        조혜신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3 法學論集 Vol.17 No.3

        ‘경제개발(Economic Development)’을 추진하는 국가에 있어서 가장 시급하고도 우선적인 과제는 바로 경제개발에 소요되는 자본을 조달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보았을 때 외자의 도입을 통하여 장기적이고도 지속적인 경제발전이라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실패한 사례도 없지 않다. 1960년대부터 80년대에 이르는 경제개발기 한국의 외자 운용 방식은 라틴아메리카 개발도상국들의 그것과 비교하여 성공적이었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개발도상에 있는 국가의 외자 관련 법제에 있어서 가장 핵심이 되는 것은 경제발전이라는 국가적 목표에 부합하도록 외자를 활용할 수 있는 기제를 마련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경제발전에 있어서 국가의 역할과 관련하여 많은 논의가 있을 수 있지만, 한국의 외자 및 외국인투자 관련 법제가 경제발전 과정에서 담당하였던 기능과 그 특징은 경제개발을 위하여 국가가 할 수 있는, 혹은 하여야 하는 역할의 일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경제개발기 한국의 외자 및 외국인투자 관련 법제가 보여주는 몇 가지 특징, 즉 ‘중앙 집중적인 의사결정 및 감독’과 ‘권한당국의 재량적․실질적 판단’ 그리고 ‘외자기업 및 생산수단에 대한 소유권의 국내 유보’ 등은 최대한 국민경제에 유리한 방향으로 외자를 활용하기 위한 효과적인 기제가 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경제개발을 위한 국가의 적극적인 역할이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그러한 특징은 오늘날까지 한국의 경제시스템이 운용되는 기제의 일부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여전히 외국인투자 관련 법제의 기본적인 성격을 규정하고 있다고 보아도 크게 틀리지 않을 것이다. It is the most urgent and primary task for developing countries to raise capital. However, history proves that not all developing countries have succeeded in obtaining the sustainable economic development. Korea has managed foreign capital with better results, when comparing developing countries in Latin America in 80’s and 90’s. The core objective in foreign capital-related laws and institutions in developing countries is to have the mechanism which enables to use foreign capital according to the national goal, i.e. economic development. While there might be controversies regarding the role of state in economic development, Korean case partly shows what the state can and must do in the course of economic developmen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ws on foreign capital and investment, which are ‘centralized decision making and monitoring’, ‘discretionary and substantial judgement by authority in charge’ and ‘national reserves of ownership of foreign enterprise and means of production’, would be the effective mechanism to use foreign capital in the best way for the national economy. It could be a good example which can show the proper and active role of state in economic development. Furthermore, those features form a part of the Korean economic system until today, so it can be said that they still define the basic nature of current laws and institutions of foreign investment.

      • KCI등재

        독점규제법상 ‘합의의 도그마’ 논의의 향방 - 합의의 입증과 관련된 최근 대법원 판결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조혜신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아주법학 Vol.9 No.2

        독점규제법상 부당한 공동행위를 보다 효과적으로 규제하기 위하여, 그간 법해석론에 있어서 ‘합의의 도그마’를 극복하기 위한 논의가 설득력 있게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최근에 선고된 일련의 대법원 판결은 오히려 합의의 도그마를 더욱 유지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살피건대, 독점규제법상 부당한 공동행위의 형사범죄적 측면, 과점적 시장구조에서 전략적 상호관계에 놓여 있는 사업자들에게도 경쟁규범이 유효한 행위규범으로 기능하여야 한다는 요구, 형사적 제재를 통하여 카르텔을 위한 합의가 경쟁질서에 미칠 위험성을 강하게 경계해 온 경쟁법의 전통 등을 고려할 때, 합의의 도그마는 입법을 통해서라면 몰라도 적어도 법해석을 통해서는 극복하기 어려운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합의의 도그마를 극복해야 한다는 유력한 주장은 우리나라의 산업 전반에 나타나는 과점적 시장구조에 대한 법정책적 대응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사실 이러한 요구는 매우 중대한 것이지만, 오히려 과점적 시장구조로 인해서 사업자들이 가격결정과 같은 기본적인 경영판단을 함에 있어서 이미 상당한 제약된 여지 내에 있을 수밖에 없다는 점과 오랜 동안 관련부처의 산업정책적 영향력에 광범위하게 지배되어 왔다는 사정도 여기에 함께 고려되어야 할 필요도 있다. 그렇다면 유효경쟁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과점시장에 대한 근본적 대응으로서, 부당한 공동행위에 대한 규제 이외에 독점규제법상 다양한 규제수단들, 이를테면 시장지배적지위 남용행위에 대한 규제나 경쟁제한적 기업결합에 대한 규제를 사전적 및 사후적 측면 모두에서 입체적으로 활용할 가능성을 본격적으로 모색해야 할 시점이 아닌가 생각된다. It has been convincingly argued that we should overcome so called ‘Dogma of Agreement’ in enforcing regulation against cartel through Korean competition law. However, recent cases of Supreme Court rather seem to strengthen the dogma. Considering the criminal aspect of illegal cartel, the requirement that even undertakings facing strategic inter-relationship in oligopolistic market structure should abide by competition law, the tradition of advanced competition legislations such as US where illegal cartel has been punished as a felony, the dogma should not be given up through interpretation of current law. The argumentation that we should abandon the dogma of agreement emphasizes the need to regulate oligopolistic markets prevailing in overall industries in Korean economy, which is worthy of appreciation. Nonetheless, we should consider that undertakings in oligopolistic markets are restricted in making basic decisions like price setting because of given market structure, and they have been heavily influenced by industrial policy and guidance of government. Then, the other measures in competition law such as regulation against abuse of market-dominant position or anticompetitive M&A from both ex-ante and ex-post aspects need to be actively used in oder to fundamentally and effectively counteract against concentrated markets in Korean economy.

      • KCI등재

        경쟁법의 목적으로서의 ‘효율성(Efficiency)’에 대한 법철학적 검토

        조혜신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가천법학 Vol.7 No.3

        The objective of competition law has been debated mainly in US and EU, and especially the Chicago School which had emerged as an alternative theoretical framework against traditional Harvard School in 1970s in US has led it arguing that efficiency should be the exclusive goal for all economy-related laws including competition law. Under its powerful influence, efficiency now has become the concept which represents the goal of law, and functions as a criterion for main prohibitive activities in competition laws in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In oder to see whether efficiency is eligible for the goal of law, we need to throughly examine the definition, assumption, and philosophical implication of it. When efficiency is accepted as the objective of law, issues may arise. The concept of efficiency is grounded on abstract and incomplete presumptions of 'economic men(homo economicus)' and 'perfect competition', so it never considers such facts as on what condition the affected parties are, and whether parties in question have economic capacities to improve their interests, etc. These economic reasoning neither fit well to the essentials of legal reasoning, nor is proper to solely and directly apply to complex realities. Furtuermore, Pareto efficiency, Kaldor-Hicks efficiency, and wealth maximization is not neutral on the problem of initial resource allocation. It is said that efficiency can be obtained regardless of initial resource allocation, but the matter is not only the resulted state of resource allocation depends on the state of initial resource allocation, but also the degree of inequalities in initial resource allocation could be more deepened under certain circumstances. Therefore, enforcement of competition law which aims at maximizing efficiency or wealth, is likely to widen the gap in given conditions of participating players. It is not acceptable ethically or morally, needless to say from the view of legal policy. Rather, looking back the history of competition law, the goals such as fairness or distributive justice, aside from efficiency, have been very important motives in enforcing competition law. 경쟁법의 목적에 관한 논쟁은 주로 미국과 EU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는데, 특히 미국에서 전통적인 하버드 학파(Harvard School)의 이론체계를 반박하면서 1970년대에 등장한 시카고 학파(Chicago School)는 효율성이 경쟁법을 비롯한 모든 경제 관련 법의 유일한(exclusive) 목적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한 영향 하에, 오늘날 우리나라를 비롯한 여러 주요 경쟁법제에서 ‘효율성’은 법의 목적을 응축해 놓은 개념이자 주요 금지규제의 위법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경쟁법의 목적으로서 유력하게 논의되고 있는 효율성이 과연 법 목적으로서 적절한 개념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효율성 개념의 정의와 전제, 그리고 그것이 갖는 함의에 대해서 면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효율성 개념이 법 목적으로 수용된다고 할 때 제기되는 문제점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효율성 개념은 ‘경제적 인간’과 ‘완전경쟁’이라는 추상적이고 불완전한 전제에 기반한 것으로서, 일정한 행위 혹은 의사결정으로 인하여 영향을 받게 되는 자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조건에 놓여 있는지, 구체적으로 자신의 의사를 관철할 수 있는 정신적 혹은 경제적 능력이 있는지 등과 같은 사실관계는 전적으로 사상(捨象)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논증은 현실에서 제기되는 문제를 ‘구체적으로 타당하게’ 해결한다는 법적 논증의 목적이 맞지 않을 뿐 아니라 복잡한 현실에 단독으로 또한 직접적으로 적용되기에는 부적합하다. 또한 Pareto 효율성, Kaldor-Hicks 효율성, 부의 극대화 모두 자원이나 권리의 배분 문제에 대해서 중립적이지 않다. 최초의 자원배분이 여하하든지 간에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다고 하지만, 문제는 최초의 자원배분 상태에 따라서 효율성 도달 이후의 자원배분 상태가 결정될 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 자원배분의 불평등 정도가 더욱 심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효율성 혹은 부의 극대화를 목적으로 하는 경쟁법의 집행은, 경쟁에 참여하는 사업자들간에 존재하는 경쟁조건에 있어서의 차이가 경쟁과정을 통하여 더욱 심화되도록 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결과는 법정책적으로도 납득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윤리적·도덕적으로도 납득하기 어려운 것이다. 오히려 경쟁법의 역사를 돌이켜보면 실제로 부의 극대화와 같은 효율성 이외에 공정성이나 분배적 정의와 같은 목적들이 중요한 지침이 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논문 검색을 통한 피부 부작용 사례 고찰

        조혜신,송아련,서형식,Cho, Hye-Sin,Song, Ah-Ryun,Seo, Hyung-Sik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 2018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Vol.31 No.3

        Objectives : The aim of this review is to investigate studies on skin adverse reactions and to demonstrate subjects related to the adverse effects in dermatology. Methods : Electric searches were performed with KISS(Korean studies Information Search System) and the key words were combination of 'skin' and 'adverse effect'. 87 literatures investigated in this review were issued from 1900 to 2016. Results : Among the 87 papers, dermatologic adverse reactions were reported in 83 papers in medicine, accounting for 95.4%. Of the adverse effects seen on the skin, 84 discoloration such as erythema, pigmentation and hemotelangiosis were the most common, accounting for 21%. Among the medical adverse reactions not seen on the skin, 21 infection were the most common, accounting for 25%. Among the subjective adverse reactions, of which 32 pruritus were the most common, accounting for 43%. Among the 87 papers, there were 3 cases with underlying diabetes and 3 cases with underlying hypertension, followed by 2 cases with chronic renal failure, HBV, atopic dermatitis and respectively 1 case with alcoholism, depression addiction, multiple myeloma, arthritis and psoriasis. The most frequent period until adverse reactions appeared was within 2 weeks, accounting for 13 papers. And 4 were the most frequent adverse reactions lasting less than 1 month, and 4 were more than 3 months and less than 6 months. There were 48 cases where adverse reactions were caused by nonmedical practioner's treatment. The adverse reactions by the pharmacist were the highest at 11 cases (23%). There were 17 cases of adverse reactions due to medical treatment, among which dermatologists and nondermatologists accounted for the majority of 5 cases, 29%. The most common cause of adverse reactions was the application of external medicine (41 cases), followed by 36 cases of foreign body implantation, eyebrow tattooing, ear piercing, etc. Conclusions : In this report, we demonstrated patterns of adverse reactions in the medical field of dermatology caused by non-medical personnel than medical personnel. We suggest that more effort should be followed by medical personnel to establish clear awareness of skin disease and by patients to be aware of the risks of the illegal medical treatment by non-medical personnel.

      • KCI등재

        희년법 원리의 제도적 구현 가능성에 관한 小考- 기본소득 제도를 중심으로

        조혜신 기독교학문연구회 2018 신앙과 학문 Vol.23 No.3

        Today, we cannot but turn our eyes to the Jubilee law of the Bible as a source of inspiration for our society to face situations such as unemployment, debt, poverty, exploitation. However, I think it is time for us to find a way to implement the idea of ​​the Jubilee law in our laws and institutions more effectively and in a more adequate way by adopting a different approach from the past in applying this Jubilee law to reality. The norm-addressee of Jubilee law is limited to the Israelite covenant community, and the legitimacy and effect of the law is fully secur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rm-maker and the norm-addressee, t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d and the Israelite covenant community. In this respect, attempts to universalize the Jubilee law only in its content are bound to have limitations, and thus, the spirit of the Jubilee law can still be meaningful today, only when applying, in addition to its contents, the principles of relationship and community responsibility, which are the premise of this norm. The logical consequence of the earlier discussion of seeking the contact between the Jubilee law and modern law is that there is not much room for contact between the two. Rather, considering the message given to the world of today by the Jubilee Law, I think the contact is the “restoration of lost relationship”. The relationship will refer to the totality of the whole relationship that human beings make with other human beings, the family, the region, the nation, and various levels of community, nature, and ultimately Creator God. And there will be a modern significance of the Jubilee Law in making progress in the direction of reviving the relationship of care and responsibility. As the basic income system challenges the fundamental limitations of the existing capitalist economic system and legal system, it is obvious that it mirrors the Jubilee Law in terms of its fundamental and reformational character of imagination. In other words, the basic income system is likely to be an attempt to systematically restore the community solidarity among members law and the relativity of ownership to shared assets of human beings, making it worthy of discussion and reflection. Of course, in the introduction of basic income, the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he Jubilee Law and the Modern Law is obvious. Especially, the institutionalization of basic income does not keep pace with the existing legal system which has been established based on the rights and duties of ‘labor’, and furthermore, particularly with the work ethics of Christian Reformers that still have a profound influence to this day. This could also be a part of the difficulty of the institutional practice of the Jubilee Law. However, by thoroughly examining social and economic norms based on the Bible's genuine teachings, and by continuously seeking insights into the nature and structure of this era, I hope that we can find a direction for Christian practice. 오늘날 우리 사회가 처한 상황, 즉 실업, 부채, 빈곤, 착취 등을 보건대, 이를 타개할 영감의 원천으로서 성경의 희년법에 눈을 돌리지 않을 수 없다. 다만 이 희년법을 현실에 적용하는데 있어서 종래와는 다른 접근방식을 취함으로써, 좀 더 실효적이면서도 적실하게 우리의 법과 제도에 희년법의 이념을 구현해 나가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시점이 아닌가 생각한다. 희년법은 이스라엘의 언약공동체로 그 수범자가 제한되며, 이 법을 제정하고 이를 부여받은 제정자와 수범자의 특징, 즉 하나님과 이스라엘 언약공동체라는 관계성으로부터 그 규범의 정당성과 효력이 온전히 확보되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희년법을 오로지 그 내용적 측면에서 보편화시키고자 하는 시도는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으며, 그 내용과 더불어 이 규범의 전제가 되는 관계성과 공동체 책임의 원리를 함께 적용할 때 희년법의 정신이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의미할 수 있는 것이다. 희년법과 근대법 사이의 접점을 모색해 보고자 한 앞서의 논의에 대한 논리적 귀결은 바로 양자 사이에서 접점을 모색할 수 있는 여지는 그리 크지 않다는 것이다. 오히려 희년법이 오늘의 세계에 주는 메시지를 생각해 보면, 그것은 바로 ‘상실된 관계성의 복원’이 아닐까 생각된다. 그 관계성은 인간이 다른 인간, 그가 속한 가족, 지역, 국가 등 다양한 층위의 공동체, 자연 등,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창조주 하나님과 맺는 전면적 관계의 총체를 가리킬 것인데, 여기에서 돌봄과 책임을 주고받는 관계성을 되살리는 방향으로의 진전이 있도록 하는 것에 희년법이 갖는 현대적 의의가 있을 것이다. 희년법은 그 제정자와 수범자, 그리고 수범자 상호간의 ‘관계성’을 전제로, 공동체적 연대, 책임, 돌봄을 규범화 혹은 제도화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비록 오늘날의 근대법이 그 전제에 있어서 희년법과 접점을 모색하기 어려울만큼 거리를 두고 있지만, 오히려 그렇기 때문에 근대법에 정초한 이 시대의 병폐는 그 전제를 전복하는 것에서부터 치료가 모색되어야 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이러한 점에서 기본소득 제도는 기존의 자본주의적 경제체제와 법체계가 갖는 근본적 한계에 도전하고 있기에, 그 상상력의 근본성과 개혁성에 있어서 희년법을 투영하는 측면이 분명히 있어 보인다. 즉, 기본소득 제도는 근대법에서 간과되고 있는 구성원간 공동체적 연대성, 그리고 전인류의 공유자산에 대한 소유권의 상대성을 제도적으로 복원하는 시도가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토론과 고민의 가치가 충분하다 하겠다. 물론 기본소득의 도입에 있어서도, 희년법과 근대법 사이의 근본적 상이 혹은 충돌은 여실히 드러난다. 특히, 기본소득의 제도화는 노동의 권리와 의무를 중심으로 구축된 기존의 법체계, 특히 사회복지체계와 정합하지 않을 뿐 아니라, 오늘날까지도 기독교 윤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 종교개혁자들의 노동윤리와도 긴장이 발생한다. 이 또한 희년법의 제도적 실천이 주는 어려움의 한 가지 양상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성경의 가르침에 근거한 사회경제적 윤리 혹은 규범에 대한 철저한 연구, 동시에 이 시대의 본질과 구조에 대한 통찰을 지속적으로 추구함으로써, 기독교적 실천에 대한 방향성을 찾아나갈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