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고전교육의 쟁점과 사례 연구 -D대학의 <클라시카> 운영을 중심으로

        조혜경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ome of the issues surrounding classical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as well as to suggest the desirable direction that classical education should be taking. To this end, the researcher measured the performance of the <Classical> curriculum through a questionnaire as it appears in the classical education department at D University. As a result of the survey, stude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goal and direction of their classical education. However, the method of grouping by group shows a lot of 'normal' responses, suggesting that instructors should think about their teaching methods more closely when designing their classes. In the case of Homer’s Iliad and Odyssey, both of which were taught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9, the researcher stressed that the goal of the classical education is neither the means of character education nor of communication education. Firstly, classical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as an extension of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through ironic reading. Activities should be developed that allow students to raise their own critical questions about the text by asking themselves questions and then having their fellow students answer them. In addition, classical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as life-based learning and re-contextualization education. In other words, students should be able to reflect on both their lives, and the lives of other people, based on the text they are reading, and to see the life of their community in those texts. To do this, students must immerse themselves in classical texts. As a way to increase the degree of immersion, the researcher suggested writing a reply to the writer (actually a professor), exchanging correspondences by assigning roles, summarizing and reconstructing texts in teams, and having students write their own scenarios. 본 연구는 국내 대학의 고전교육을 둘러싼 쟁점들을 살펴보고 바람직한 고전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실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D대학교 고전교육으로서 <클라시카> 교과목 운영의 성과를 설문을 통해 측정하였다. 설문 결과 수강생들은 고전교육의 목표와 지향점에 대해 전반적 으로 만족하였다. 하지만 조별로 이루어지는 수업방법에 대해서는 ‘보통’의 응답을 많이 보임으로써 수업을 설계할 때 교수자가 교수법에 대한 고민을 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한편 연구자는 2019년 2학기 진행된 <클라시카, 호메로스, 일리아드&오딧세이아>의 사례를 통해 고전교육은 인성교육 혹은 사고와 표현 교육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고전교육 본연의 목표와 방향성을 설정하여 실행해야 함을 주장한다. 고전교육은 첫째, 아이러니적 읽기를 통해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사고의 확장으로서 시행되어야 한다. 학생들이 스스로 질문을 던지고 동료 학생들이 그 질문에 답하게 함으로써 텍스트에 대한 비판적인 안목을 기를 수 있는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뿐만 아니라 고전교육은 삶에 기반한 재맥락화 교육으로서 이루어져야 한다. 즉 학생들은 자신이 읽은 텍스트에 비추어 자신과 타자의 삶을 성찰하고 자신이 속한 공동체의 삶을 제대로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학생들은 고전텍스트에 몰입하여야 한다. 몰입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서 연구자는 작가(실제는 교수자)의 편지에 답장 쓰기, 역할을 정하여 서신 교환하기, 팀별 텍스트 요약과 재구성, 시나리오 쓰기 등을 제안하였고 실제 수업 시간에 이를 실천하였다.

      • KCI등재

        트랜스휴머니즘 시대 글쓰기 교육의 쟁점- 트랜스휴머니즘에 대한 성찰을 중심으로

        조혜경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6

        본 논문은 트랜스휴머니즘 시대의 쟁점을 점검하고 이에 대한 성찰을 통해 인간 기능의 향상이라는 인간의 욕구가 글쓰기 교육 분야에 나타난다면 어떠한 방향으로 진행될 것인지 예측하기 위해 로봇 저널리즘의 예를 제시하였다. 향후 로봇 저널리즘이 지금보다 발달할 경우 학생들은 복잡하고 까다로운 글쓰기 과정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인공지능의 도움을 받아 보다 짧은 시간에 만족스런 결과물을 원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글쓰기 교육은 협력 기반의 과정 중심 글쓰기 교육과 창의적인 글쓰기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글쓰기의 전 과정에서 개인적인 글쓰기가 아닌 팀 기반 글쓰기를 강조하고 각 단계별로 중간 결과물들을 평가에 반영하는 방향으로 글쓰기 수업이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트랜스휴머니즘 시대의 글쓰기는 데이터 기반의 정보 제공 차원의 글쓰기로 흐를 수 있어서 현상이나 사건에 대한 고유한 관점과 창의적인 시각을 결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issues in the transhumanism era and suggests an example of robot journalism in order to predict what direction human desires for improvement of human function will be in the field of writing education. In the future, if robot journalism develops than now, human writing education should move toward cooperative-based, process-oriented writing education and creative writing. To do this, writing class should be designed to emphasize team-based writing rather than individual writing throughout the whole writing process and to reflect the intermediate results at each stage in evaluation. This is because a writing education in transhumanism era is a data-based informational writing lacking a unique and creative perspective on phenomena or events.

      • 두 로봇의 협조 특성 분석과 모서리 부위 추적에의 응용

        조혜경 漢城大學校 1997 論文集 Vol.21 No.1

        This paper describes the details of the sharp-cornered path tracking strategy by the coordinated motion of a robot and a positioning table. Based on some mathematical analysis of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the coordinated motion, we provide a condition on the feasible paths of the robot while the positioner follows a straight line path. Among the curves satisfying this condition, we apply a few types of simple smooth curves such as circular arc, clothoid curve, and parabolic curve to the corner tracking task. Then, we discuss about the problems which arise when such curves are used as the path of the robot in respects of the path specification and the trajectory generation. Simulation results are included to support our discussions.

      • 한국 여대생들의 혈청과 두발중에 함유되어 있는 구리, 아연 및 철분 함량에 관한 연구

        조혜경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원우회 1985 원우논총 Vol.3 No.-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hree fold; (1) to find mean values of copper (Cu), zinc (Zn) and iron (Fe) levels in serum and hair of Korean female collegians. (2)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serum levels and hair levies of trace elements in each subject of these trace elements measured with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3) to find out the correlation among the Cu, Zn and Fe content in serum and hair. The subjects were 40 healthy female collegians (21-25 years) selected at rando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ing; (1) The mean values of Cu, Zn and Fe level in serum of the subjects are 103.57±0.07㎍/100㎖, 113.18±0.04㎍/100㎖, 114.93±4.58㎍/100㎖, respectively. (2) The mean values of Cu, Zn and Fe level in hair of the subjects are 13.29±0.69 ppm, 147.5±7.00ppm, 26.02±1.89ppm, respectively. (3) Correlation analysis shows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u, Zn and Fe content in serum and hair. (4)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Cu, Zn and Fe content in serum and hair. These results (3) and (4) show that although hair samples can be valuable in assessing the nutritional status of a population, it may not reflect the status accurately.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use it in parallel with other parameters such as serum levels, urinary excretion or enzyme activities.

      • 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의 과학교육환경에 관한 연구

        조혜경 인천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1 과학교육논총 Vol.13 No.-

        본 연구는 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의 과학교육환경에 관한 조사 연구로 과학교육연구소의 인적 구성면, 시설면, 역할, 과학교육교수-학습 활동 지원 현황 등에 관한 실태 조사를 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전국 교육 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의 소장은 많은 학교에서 과학교육과의 교수가 맡아 하고 있으며, 과학교육과, 수학교육과의 대부분의 교수와 컴퓨터 교육과, 실과교육과 교수가 약간 운영에 참여하고 이싸. 또한 전임조교는 8개교 겸임조교는 3개교에서 확보하고 있었다. 2.소장실, 사무실, 기자재 보관실 등의 시설물이 열악한 실정이다. 3. 과학교육연구소의 역할로 연구 논문집 발간, 각종 인쇄물 제작은 전국 교육 대학교가 공동으로 하고 있었으며, 학교에 따라 다르지만 현장 연구대회, 각 종 세미나, 강연회 등을 운영하고 있었다. 그러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교육 관련 실험활동의 자료 및 기기의 확보, 보관, 대여를 하고 있는 학교는 그리 많지 않았다. 또한 보유 현황과 재정도 열악한 상태이며 관리를 위한 전문인력도 부족한 실저이다. 4.대부분의 과학교육연구소는 시설의 빈야과 인적·물적 자원 부족으로 설립 목적에 부합되는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실정이므로 이에 따른 자구책의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고 본다. In this study the science education environment of science education research centers in the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were explored through the survey on the composition of staffs, facilities, roles, facilitation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of science educatio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Directors of science education research centers in all of the Universities of Education were professors of the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Most of the professors in the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and that of math education, and some of the professors in the department of computer education and that of practical arts took part in the operation of the research centers. In the 8 Universities of Education, research centers had full time assistants, whereas in the 3 Universities of Education the center had assistants serving for 2 offices at the asme time. 2.The facilities like the offices of the directors, offices of the research centers, the Universities Education storages to keep apparatus and materials were in poor condition in all the Universities of Education. 3.All of the science education research centers published academic journals and various printed mateerials. But few centers purchased, kept, and lent materials and apparatuses for experiments related with science education. The amount of materials and apparatuses they kept and thir financial condition were very poor, and the centers were in need of qualified staffs. 4.Most of the science education research centers were in lack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and so they did not properly perform required roles. Some devices needed to be worked out to get out of this present condition.

      • 다중 로봇의 작업지정을 위한 명령어 구조에 관한 연구

        조혜경 漢城大學校 1998 論文集 Vol.22 No.3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제어기가 두 대 이상의 로봇을 제어하는 경우, 각 로봇의 독립적인 작업 및 여러 로봇간의 다양한 협조 작업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이 과정의 의사전달을 담당할 수 있는 명령어 체계를 제안한다. 먼저, 다중 로봇으로 실행할 수 있는 작업들을 계층화하고 로봇 언어의 관점에서 재구성하여, 작업지정에 필요한 기능들을 분석한다. 이를 기초로 다중 로봇의 작업 기술을 위한 전용 명령어와 이동 명령의 구조를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제시된 명령어 형식을 이용하여 협조작업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예를 보임으로써 제안된 방법의 효율성을 검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