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합동범의 공동정범

        조현욱 가야대학교 2004 가야대학교 논문집 Vol.13 No.-

        In dieser Arbeit wurde über die Bedeutung von 'Mitwirkung' untersucht. In der literatur gibt es verschiedene Theorien, nämlich Theorie des verabredeten Mittäters, Theorie des strafverschärften Mittäters, die zeitlich-räumlich mitwirkende Täterschaftstheorie usw. Die zeitlich-räumlich mitwirkede Täterschaftstheorie ist die herrschende Meinung in der Literatur und die Rechtsprechung folgt auch diese. Hier stellt sich die Fage, ob das sich nicht am Tatort anwesende Beteiligte als Mittäterschaft der Bandendelikte angesehen werden können. Darüber gibt es zwei lösbare Möglichkeiten, entweder die Anerkennung von verabredeten Mittätern oder Mittäterschaft der Bandendelikte. Nach der ersten Möglichkeit erweitert sich der Raum der Strafbarkeit von verabredeten Mittätern, und jede mitwirkenden Tätern sind strafbar. Nach der zweiten Möglichkeit ist der Geplante hinter dem Täter von Bandendiebstahl als Mittäter von Spezialdiebstahl nicht strafbar. Durch die bisherigen Ausführungen wurde gezeigt, daß die neue Entscheidung von 1998.5.21, die nur für Mittäterschaft von Bandendelikte hohe Strafe bedroht, einigermassen unagemessen ist. In diesem Fall soll der Täter nur dann wegen Bandendelikte bestraft werden, wenn er selbst am Tatort zeitlich-räumlich mitgewirkt hat. Ich bin dafür die alte Entscheidung und herrschende Meinung. Deswegen behaupte ich, dieneue Entscheidung von 1998.5.21 wieder geändert werden zu müssen.

      • KCI등재

        범인도피교사죄가 성립하는 경우와 그 경우 방어권 남용 여부의 판단기준 - 대법원 2014. 4. 10. 선고 2013도12079 판결; 부산지방법원 2015. 12. 11. 선고 2015노2508 판결 -

        조현욱,류여해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서울법학 Vol.24 No.1

        This article goes on Establishment of Criminals escape instigation and in that case the Criteria of Abuse of the Defence Right. The Court has not seen the abuse of the Defence Right or deny the expectation possibility in the cases(Supreme Court Decision 2013Do12079 Decided April 10, 2014; Busan district court Decision 2015No2508 Decided December 11, 2015). But criminals escape which is introduced as the Abuse of the Defence Right is no more the Defence Right, just new established crime. Therefore, it must be evaluated separately for the established crime. The Defence Right logically can not be abused because it is passive. The Abuse of the Defence Right is creates originally for the interest of the Defendant but changed for the interest of the court. So the Supreme Court's Criteria of Abuse of the Defence Right can not be allowed. So we need new Amendment for establishment of criminals escape instigation. 대상판례1과 2에 있어서 법원은 자기비호의 정도를 초과한 방어권의 남용이 아니라거나 기대가능성이 없다고 보아 범인도피교사죄를 부정하고 있다. 대상판례1에서 범인을 도피하게 하는 것이라고 지목된 행위의 태양과 내용을 판단기준으로 삼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왜냐하면 타인의 범인도피행위는 그 자체로 새로운 불법을 창출하는 것이고, 이는 구성요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할 문제이지 방어권의 남용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채택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범인 자신의 입장에서 보면 모든 것이 다 자기비호의 연장이고, 특히 대상판례2의 사안에서는 피고인 B, C, A가 모두 공동정범으로 엮여있기 때문에 각자의 입장에서 모두 다 자기비호의 연장이라고 항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범인과 행위자와의 관계를 언급하고 있는 점도 범인의 자기비호사고에 기반을 둔 것으로 보이므로, 방어권남용의 판단기준으로는 타당하지 않다. 또한 형사사법의 작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의 정도를 제시하고 있으나, 이 역시도 새로운 불법의 창출이라는 범인도피교사죄의 속성과 비교해 볼 때 판단근거로서는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자기비호권을 넘어선 방어권남용이라는 기준은 범인도피교사죄의 판단기준으로는 적합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피의자ㆍ피고인이 범인도피행위를 하는 경우는 방어권의 행사가 아니라 새로운 범죄행위일 뿐이다. 이러한 경우는 소극적ㆍ수동적인 방어권의 행사가 아니라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새로운 행위이므로 따로 평가하여, 만약 범죄행위라면 분리하여 처벌하면 충분하다는 견해에 주목하여 방어권남용의 의미를 재정립하는 것이 오히려 바람직한 근거구성이라 할 것이다. 만약 범인 자신이 행위주체에서 제외되어 불가벌로 처리될 수 밖에 없는 범인도피죄의 현행 구성요건과 특정범죄의 주체(정범)가 될 수 없는 자는 공범으로서의 책임도 묻지 않겠다는 것이 입법자의 취지라면, 범인도피죄의 주체가 될 수 없는 본범이 타인을 교사하여 본죄를 범하게 한 경우 본죄의 교사범으로 처벌할 수 없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나 새롭게 창출된 불법인 범인도피교사부분에 대해서, 피교사자인 정범이 해당범죄로 처벌을 받게 되는 것으로 상쇄된다는 부정설의 주장은 그 논거가 빈약하다. 이 역시 자기비호의 연장선상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독일 형법 제257조(범인비호죄)나 일본판례를 참조하여 범인도피교사죄를 처벌할 근거를 마련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등 방어권남용 기준이 아닌 다른 적절한 방법으로 이를 처리할 수 있는지를 고민해봐야 할 시점이라고 판단되며, 이에 대한 후속연구가 계속 진행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온실 복합생장환경 관제 시스템 구현

        조현욱,조종식,박인곤,서범석,김찬우,신창선 (사)디지털산업정보학회 2011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7 No.1

        In this paper, Wireless sensor network technology applied to various greenhouse agro-industry items such as horticulture and local specialty etc., we was constructed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optimum growth environment by measuring growth status and environmental change. existing monitoring systems of greenhouse gather information about growth environment depends on the temperature. but in this system, Can be efficient collection and control of information to construct wireless sensor network by growth measurement sensor and environment monitoring sensor inside of the greenhouse. The system is consists of sensor manager for information processing, an environment database that stores information collected from sensors, the GUI of show the greenhouse status, it gather soil and environment information to soil and environment(including weather) sensors, growth measurement sensor. In addition to support that soil information service shows the temperature, moisture, EC, ph of soil to user through the interaction of obtained data and Complex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service for quality and productivity can prevention and response by growth disease or disaster of greenhouse agro-industry items how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tion acquiring informationin greenhouse(strawberry, ginseng). To verify the executability of the system, constructing the complex growth environment measurement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in greenhouse and we confirmed that it is can provide our optimized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 계배 발생중 간장의 구조단백질에 미치는 중금속 영향의 전기영동적 분석

        조현욱,하재청 순천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91 基礎科學硏究誌 Vol.2 No.-

        Molecular weights of four distinct bands of proteins were 63.0, 50.5, 38.0 and 14.2 kd, respectively in the control group and in the heavy metal treated groups. In the mercury treated group 14.2 kd band of protein was highly increased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one day old hatching chick. By two-dimensional electrophoretic analysis, the quantity of proteins, such as spot 9(74.0 kd, pI 6.02) were low in the heavy metal treated groups at 11 day old embryos. Those of spot 14(89.0 kd, pI 7.14) as well as spot 15(89.0 kd, pI 7.02) were decreased in the selenium compound treated group at 9 day old embryos. Those of spot 18(82.8 kd, pI 6.82) and spot 19(41.0 kd, pI 6.00) were decreased in cadmium and mercury treated groups at 15 and 17 day old embryos.

      • KCI등재

        공중밀집장소추행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조현욱 대검찰청 2018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58

        In order to enforce the purpose and purpose of the legislation of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etc. of sexual crimes, it is desirable to revise the place where the public is ‘Crowded’. This is because, if the victim who is sleeping in the Jjimjilbang(Korean style health spa) with two victims of abusers and victims is abducted, it will be difficult to apply the abuse accusation in the public dense place according to the current regulations. In this case, it is reasonable to use the condition of loss of body or soul, or inability to stand up, so that even if the place is a public place. However, if the public is revised to a 'Crowded' place, and in fact, the abuser and the victim are abducted in the presence of a large number of people, it will of course constitute an obligation to publicly denounce the place. According to the current regulations, in case of abduction in the state of being alone as above, whether the Jjimjilbang corresponds to a public dense place is a problem. According to the current regulation that the public is a ‘dense’ place, it is obvious that it is a public dense place, but if the public is revised to a 'Crowded' place, it should be at least a lot of persons other than the perpetrator and the victim. It may raise doubts as to whether the punishment gap will occur. I think that the punishment in the situation where the perpetrator and the victim can be clearly confirmed can be punished by the Crime of Violence or by the Indecent Act by Compulsion or by the Quasi-Indecent Act by Compulsion of the Penal Act.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it is reasonable to revise the public to ‘Crowded’ place in order to clarify the application scope of the place, to get rid of the punishment of criminal statutory violation, and to make the purpose and purpose of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etc. of sexual crimes. A more desirable direction is that it is regulated in the Criminal Act. 공중밀집장소추행죄 구성요건에 공중이 ‘밀집한’ 장소가 아니라 ‘밀집하는’ 장소라고 규정한 것은 문제라는 지적이 법 제정 당시부터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대법원 2009. 10. 29. 선고 2009도5704 판결을 통해 그대로 드러난 바 있다. 판례에 의할 경우 찜질방 수면실은 공중밀집장소에 해당하므로 공중밀집장소추행죄가 성립하게 된다. 그러나 공중이 밀집하는 장소를 “사람들이 빽빽이 들어서서 사람과 사람 사이에 공간이 좁아 서로간의 신체적 접촉이 이루어지기 쉬운 곳만 해당한다.”는 입장에 따르면 찜질방 수면실은 위 규정 소정의 공중이 밀집하는 장소에 해당하지 않아 공중밀집장소추행죄가 성립하지 않게 된다. 판례에 의할 경우 공중밀집장소의 범위가 불명확해지고 그 범위가 지나치게 확대될 수 있어 죄형법정주의에 반할 소지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중밀집장소의 의미해석을 둘러싸고 유·무죄의 판단이 극단적으로 갈릴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첫째, 공중이 ‘밀집하는’ 장소를 공중이 ‘밀집한’ 장소로 개정하는 방안 둘째, 공중밀집장소의 범위를 확대하는 방안 셋째, 추행의 개념을 확대하면서 법정형을 상향조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현행 형법상 폭행죄나 (준)강제추행죄로도 처벌이 가능한지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필자는 본죄의 구성요건을 형법전으로 편입시켜 “형법 제298조(강제추행 등) ① 폭행 또는 협박으로 사람에 대하여 추행을 한 자는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② 대중교통수단, 공연·집회 장소, 그 밖에 공중(公衆)이 밀집한 장소에서 사람을 추행한 사람은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규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형법전으로의 편입에 대한 논의가 더 필요하다는 전제에서 성폭력처벌법의 입법취지 및 목적을 살리고자 한다면, 현행 공중밀집장소추행죄의 구성요건 중 공중이 ‘밀집하는’ 장소를 공중이 ‘밀집한’ 장소로 개정하면 될 것이다.

      • 이혼소장의 각하와 간통고소의 효력

        조현욱 영산대학교 법률교육연구원 2005 영산법률논총 Vol.2 No.1

        Die oben genannte Entscheidungen verfolgen die vorangegangene Urteils. Das Verbrechen des Ehebruches ist ein Antragsdelikt. StGB §241 ②(Ehebruch) lautet : Die Verfolgung tritt nur auf Antrag des anderen Ehegatten ein. Der Antrag kann nicht gestellt werden, wenn der andere Ehegatte in den Ehebruch einwilligt oder ihn verzeiht. Und nach StPO §229 Abs.1 kann ein Starfantrag auf Ehebruch nur eingeleitet werden, wenn die Ehegattenbeziehung aufgelost oder die Scheidungsprozess eingestellt ist. Aber hier steht das folgende problem. Zuruskweisung der Scheidungsklageschrift, die in keine freiwillige Wille der Antragsberechtigten liegt, ist auch eine Klagezurucknahme? In diesem Fall haben wir irgendkeine Regelung. Das ist ja ein Rechtsmangel. Der Oberst Gerichshof immer bejaht dazu, wie oben genannte Entscheidungen. Ich bin auch dafur, die Zuruckweisung der Scheidungsklageschrift eine Klagezurucknahme fur sich halt. Hierfur gibt es eine andere Meinung, die die Zuruckweisung der Scheidungsklageschrift keine Klagezurucknahme ist. Ich glaube schon, diese andere Meinung kann behauptet werden zu konnen. Aber unsere StPO §232 Abs.2 regelt : wenn der Antragsberechtigte die Anklage zuruckzieht, dann den Antrag nicht wiederholt gestellt werden zu konnen. Wenn die Scheidungsklageschrift Zuruckgewiesen ist, ist auch eine Klagezurucknahme. Dann ist das Scheidungsprozess von vornhrein keine Prozesseinstellung, infolgedssen Strafantrag auf Ehebruch ruckwirkend die Gultigkeit vernichtigt. Und zwar ist das spatere Erfullen abzuleugnen eine richtige Haltung Schutz fur Angeklgte.

      • KCI등재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메타자료를 이용한 적정 파종 및 수확시기의 탐색

        조현욱,김시철,김문주,김지융,조무환,김병완,성경일,Jo, Hyun Wook,Kim, Si Chul,Kim, Moon Ju,Kim, Ji Yung,Jo, Mu Hwan,Kim, Byong Wan,Sung, Kyung Il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20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40 No.1

        본 연구는 사일리지용 옥수수(whole crop maize: WCM)의 메타자료를 통해 적정 파종 및 수확시기에 대한 탐색을 생육도일(Growing degree days, ℃; GDD)을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WCM의 원자료(1982~2012년)는 학위논문, 학회지 및 연구보고서로부터 실험별 연도, 품종, 지역, 파종시기 및 수확시기 등 생육정보가 포함된 3,152점이었다. 수집한 자료 중 파종시기 및 수확시기와 관련된 자료는 데이터입력, 자료선별 및 오류자료수정 과정을 거쳐 최종데이터세트(파종시기 29점, 수확시기 92점; 총 121점)를 구성하였고 최적점 설정, 메타분석, 2차모형 구축을 통하여 적정 파종 및 수확시기의 허용 범위를 고려한 기간과 GDD를 제시하였다. WCM의 적정 파종 및 수확기간은 각각 4월 14일~5월 3일 및 8월 15일~9월 4일이었으며 이 때 GDD는 23.7~99.6℃ 및 1,328.7~1,602.1℃였다. 이상에서 GDD는 WCM의 적정 파종 및 수확시기의 판단기준으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discuss the optimal seeding and harvesting dates with growing degree days(GDD) via meta-data of whole crop maize(WCM). The raw data (n=3,152) contains cultivation year, cultivars, location, seeding and harvesting dates collected from various reports such as thesis, science journals and research reports (1982-2012). The processing was: recording, screening and modification of errors; Then, the final dataset (n=121) consists of seeding cases (n=29), and harvesting cases (n=92) which were used to detect the optimum. In addition, the optimal periods considering tolerance range and GDD also were estimated. As a result, the optimum seeding and harvesting periods were 14th April ~ 3rd May and 15th August ~ 4th September, respectively; where, their GDDs were 23.7~99.6℃ and 1,328.7~1,602.1℃, respectively. These GDDs could be used as a judge standard for selecting the seeding and harvesting dates.

      • KCI등재

        셀룰러 패킷무선망에서 하이브리드 DS/FH 확산대역 시스팀의 성능

        조현욱,박상규 한국통신학회 1999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4 No.10

        In this paper, the performance of packet radio networks using the ALOHA protocol in Rayleigh fading channels is analyzed in terms of the capture probability and the throughput. We consider capture effect in order t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the channel access and to include cellular environment we assume that the traffic is a truncated bell-shaped distribution. The packet proposed in this paper consists of a competition part and a data part to decrease the probability of collision in the channel access. In the competition part, DS system with common spreading code is used and in the data, hybrid DS/FH system is used. We consider the linear correlation receiver and the hard-limiting correlation receiver as the receiver model. BPSK modulation is also employed. Because hybrid DS/FH systems are not sensitive to variation of the interference power, as we choose a proper chip number N and a frequency hopping number q, we can obtain a steady system performance even though the variation of interference power is severe fading channels such as Rayleigh fading. 본 논문에서는 레일레이 페이딩 채널 하에서 ALOHA방식을 이용한 패킷 무선망의 성능을 분석한다. 접속을 획득하고 접속률을 높이는 방안으로 켑춰효과를 이용하고 셀룰러 환경을 고려하기 위해서 트래픽 모델을 절단된 종형 분포로 가정한다. 논문에서 제안된 패킷 구조는 접속시 서로 충돌하는 확률을 줄여 채널처리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여러 사용자가 접속을 획득하기 위해 서로 경쟁하는 경쟁영역과 사용자의 데이터 정보가 들어있는 데이터 영역으로 나뉜다. 경쟁영역에서는 공통확산부호를 갖는 DS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고 데이터 영역에서는 하이브리드 DS/FH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한다. BPSK 변조를 사용하였으며 수신기는 선형상관수신기와 hard-limiting상관수신기를 사용하였다. 하이브리드 DS/FH 방식은 간섭전력의 변화에 큰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비트 당 칩 개수 N과 도약 주파수의 수q의 값을 적절히 선택하면 간섭전력의 변화가 심한 환경에도 일정한 시스팀 성능을 얻을 수 있고 hard-limiting상관수신기를 이용함으로써 레일레이 페이딩과 같은 현상이 심한 환경에서 좋은 패킷 무선망의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