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악적 말년성: 담론과 실천

        조현리 ( Cho Hyunree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21 이화음악논집 Vol.25 No.1

        이 논문은 비판적 관점에서 음악적 말년성 개념을 탐구한다. 논문은 먼저 음악분석과 아도르노의 ‘말년의 양식’ 개념 사이의 상호작용을 고찰하고, 최근 음악학에서 사이드의 ‘말년의 양식’ 개념이 수용되는 방식을 살펴본다. 또한 음악적 말년성 담론의 대표적인 텍스트인 “베토벤의 말년 양식”(1937)을 비롯한 아도르노의 텍스트를 비판이론의 시각에서 재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다채로운 스펙트럼을 구성하는 베토벤적 말년성 개념의 역동적 측면과 일관된 미학적 지향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마지막으로 최근의 말년성 담론에서 나타나는 여러 비판적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음악적 말년성 개념의 문제적 측면을 검토하고, 음악적 말년성 담론이 어떤 의미에서 현재의 음악학적 실천을 위한 메타담론으로 기능할 수 있는지를 묻는다. 궁극적으로 이 논문은 음악적 말년성을 비롯한 문제적 개념의 수용과 적용에 영향을 끼치는 음악학적 담론과 실천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고자 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concept or musical lateness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It first examines the interaction between music analysis and the notion of late style, and investigates the recent reception of Edward Said’s concept of late style within musicological studies. Analyzing Adorno’s seminal essay, “Late Style in Beethoven” (1937) and other writings on the composer’s late style from a perspective of Critical Theory, the paper explicates the dynamic nature and intentionality of the idea of Beethovenian lateness. The paper then delves into the current discourse of musical lateness in which various critical perspectives are applied to the concept of musical lateness. Ultimately, the paper trie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ological discourse and practice that impinges upon the reception and application of problematic musicological concepts such as musical lateness. It discusses whether the discourse of musical lateness can serve as a meta-discourse for present musicological practices.

      • KCI등재

        음악적 통사론을 위하여: 음악적 발화에서 나타나는 재귀적 구조와 대칭 관계 연구

        조현리 ( Cho Hyunree ) 서울대학교 서양음악연구소 2016 음악이론연구 Vol.27 No.-

        이 논문은 재귀성과 대칭성을 토대 개념으로 하는 새로운 음악적 통사론을 제안한다. 일련의 재귀적인 비대칭적 병합 작용을 통해 음악적 구조가 생성되는 방식과, 음들 사이의 비대칭성, 혹은 위계를 결정하는 데 영향을 끼치는 다양하고 때로 상충하는 요인들이 논의될 것이다. 한편, 그러한 비대칭적 관계와 공존하는 대칭적 관계에 대한 탐구와 양자의 역동적 상관성에 대한 성찰도 이루어질 것이다. 필자는 최근 언어학의 최소주의 통사론과 조성음악이론 사이의 접점들에 주목하며, 특히 쉥커 이론이 제공하는 다양한 통찰들을 통사론적 시각으로 재편하는 작업을 통해 음악이론적 담론의대상이었던 음악적 관계들을 인문학적 맥락에서 새롭게 이해하고자 한다. 또한 현재영향력 있는 음악통사론 이론인 레르달과 자켄도프의 조성음악 생성이론에 대한 재고와 함께 그들의 영향을 받은 인접학문의 학자들이 제시하는 음악통사론의 문제점에 대한 논의도 이루어질 것이다. This paper proposes a new musical syntax in which the foundational concept is recursion and symmetry. It shows how musical structures are generated through a series of recursive asymmetrical merges, and discusses diverse and sometimes mutually incompatible factors that help to determine the asymmetry or hierarchy between musical objects. It also delves into symmetrical relations that coexist with asymmetrical relations in music, and the dynamic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kind of musical relations. The paper seizes upon the intersections between the minimalist syntax of current linguistics and tonal theory. Especially through the effort to reimagine various Schenkerian insights from the perspectives of syntax, it seeks to understand musical relationships that have been so far almost exclusively the object of music-theoretical discourses, within the broader context of the humanities. While giving a fresh look at Lerdahl and Jackendoff`s influential theory of tonal syntax, this paper also deals with problems of some recent syntactic theories of music influenced by their theory, especially of those presented by scholars outside music theory.

      • KCI등재

        21세기 윤리와 음악이론: 체계와 분석

        조현리 ( Cho Hyunree ) 서울대학교 서양음악연구소 2021 음악이론연구 Vol.37 No.-

        이 논문의 목적은 21세기의 윤리적 환경과 음악이론적 실천의 관계를 탐구하는 것이다. 음악이론은 음악적 체계의 구축과 음악 분석에 몰두하는 학문 분야로서 윤리적 의미를 비롯한 소위 음악외적 의미와 거리를 취해 왔고, 이러한 학문적 경향은 현재의 윤리적 환경에서 강조되는 타자 중심의 윤리와 충돌을 일으킨다. 음악이론적 체계를 일반화하는 일은 여전히 차이의 배제를 수반하는 행위이며, 음악분석 담론은 특정한 편향적 원리나 방법론의 우위를 유지하고 있다. 솅커이론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최근의 비판적 논의에 주목하면서, 이 논문은 레비나스의 타자 윤리, 스피박의 서발턴 연구와 음악이론을 대면시킴으로써 체계의 구축과 음악분석이라는 음악이론적 실천을 위한 구체적인 윤리적 지향을 마련하고 자 한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는 음악이론이 다양한 음악이론적 타자와의 만남과 상호배려를 통해 타자 윤리를 실현할 수 있는 담론이 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relation between the ethical environment of the 21st-century and music-theoretical practices. Music theory, as a discipline largely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of musical system and music analysis, has kept its distance from so-called extramusical meanings, of which ethical meanings are a part. Such tendency conflicts with the present ethical environment that emphasizes the ethics of otherness. Music theory’s generalization of music-theoretical systems still entails the exclusion of difference, and music-analytical discourses continue to maintain the primacy of a particular, and biased, principle or methodology. Focusing on the recent critiques of Schenkerian theory, and drawing on Levinas’s ethics of otherness and Spivak’s subaltern studies, this paper seeks to provide a more concrete ethical direction for music-theoretical practices. Ultimately, this paper argues music theory can become a discourse where the ethics of otherness can be realized through its enhanced encounter and interaction with various musictheoretical others.

      • KCI등재

        지구화시대의 조성음악: 탈근대성과 새로운 보편성 사이에서

        조현리 ( Cho Hyunree ) 서울대학교 서양음악연구소 2020 음악이론연구 Vol.35 No.-

        이 연구는 지구화시대라는 맥락에서 조성음악이라는 개념을 어떻게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조성과 조성음악은 그동안 탈근대주의적 관점으로부터 지속적인 비판을 받아왔다. 그러나 현재의 음악이론은 기존의 조성이론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바탕으로 하여 좀 더 일반적인 관점에서 조성이론을 재구성하거나 대안적 이론을 제시하고 있으며, 단일한 원리를 통해 청취 방식을 통제하려 하기보다는 청취의 능동성과 해석의 자유를 강조한다. 이 논문은 대표적인 조성이론인 솅커이론의 음악이론적 지향을 솅커식 분석 실제로부터 도출하려는 노력을 통해 솅커이론의 학문 이념과 솅커 자신의 문제적 정치 이념을 구분하고, 탈근대주의적 조성음악 연구의 지역편향성에 대한 비판을 통해 현재의 조성음악이론을 위한 제3의 지향을 모색한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는 지구화시대의 맥락에서 새롭게 정의되고 있는 보편성 개념에 주목함으로써 21세기 조성음악 탐구를 위한 새로운 지평을 마련하고자 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way in which we can understand the concept of tonal music within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Tonality and tonal music have been constantly criticized by postmodernist critics. However, recent music theoretical studies reorganize tonal theory from a more general perspective, or provide some alternative tonal theory by taking a critical stance on preexisting tonal theories. These approaches highlight the activeness and freedom in musical listening rather than trying to control listening from a single unifying principle. The paper seeks to understand the intentionality of Schenkerian theory by observing actual practices of Schenkerian analysis, and to distinguish it from Schenker’s own problematical political ideology. The paper then tries to find a third orientation for present theory of tonal music by criticizing the regional bias of postmodernist studies of tonal music. Ultimately, by seizing upon the concept of universality which has been newly conceived in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this paper tries to provide a new horizon for the study of 21st-century tonal music.

      • KCI등재

        숭고와 역숭고 - 음악이론과 대중음악담론의 접점과 차이 연구 -

        조현리 ( Hyunree Cho )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19 음악이론포럼 Vol.26 No.2

        이 연구는 숭고와 숭고의 역개념인 역숭고 사이의 역동적 상호작용을 탐구하여 음악이론과 대중음악담론 사이의 관계를 새롭게 이해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 연구는 음악적 숭고 개념을 다루는 음악이론과 대중음악담론의 최근 연구를 분석하고, 현재 음악학 담론의 관점에서 칸트의 숭고 개념과 장 파울의 역숭고 개념을 재해석함으로써 음악적 숭고와 역숭고의 이론적, 이념적 성격을 파악한다. 나아가 음악분석을 숭고와 역숭고의 체험으로 재개념화하여 설명하는 과정을 통해 현재의 음악분석의 문제적 측면에 대해 재고하는 한편, 음악이론과 대중음악담론이 음악 자체라는 문제적 대상을 다루는 방식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두 담론의 접점과 차이를 구체화하고자 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theory and popular music discourse through the study of the dynamic interactions between the sublime and its inverse, the inverted sublime. Analyzing recent works on musical sublime in music theory and popular music studies, and reinterpreting Kant’s notion of the sublime and Jean Paul’s notion of the inverted sublime from the perspective of current musicological discourse, the paper seeks to understand the theoretical and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musical sublime and inverted sublime. It then reconsiders and critiques music analysis as an experience of sublime or inverted sublime, and delves into the ways in which music theory and popular music discourse deal with the problematic concept of the music itself.

      • KCI등재

        대안담론으로서의 음악분석: 베토벤의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 민요 편곡 다시 듣기

        조현리 ( Cho Hyunree )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24 音樂論壇 Vol.51 No.-

        이 연구는 베토벤의 브리튼 제도 민요 편곡과 음악분석의 상호작용을 활성화하여 음악분석의 새로운 지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기 위한 연구이다. 베토벤이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의 반주가 있는 연주용 악보로 새롭게 구성한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 민요는 서양음악사의 대표적인 정전적 작곡가가 편곡의 방식으로 외국의 비정전적 장르의 음악에 기여했다는 점에서 이례적인 레퍼토리로 간주되고, 예술음악의 주변에 머무르면서 주로 정전적 작품의 구조와 형식에 몰두해온 음악분석과 다양한 충돌을 일으킨다. 이 연구는 민요, 편곡, 베토벤에 대한 기존의 학문적 관념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연행과 횡단으로서 존재하면서 협업과 수정, 재편집을 통해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음악에 대한 분석적 접근이 획득해야 할 지향과 초점을 탐구한다. 또한 음악분석을 통해, 이 편곡 작품들의 지닌 차이를 정당하게 수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례를 마련한다. This paper aims to activate the interaction between Beethoven’s British folk song settings and the discipline of music analysis in order to present a new direction for music analysis. The Irish and Scottish folk songs arranged by Beethoven as songs with piano, violin, and cello accompaniment are unique in that they are uncanonic pieces of music arranged by one of the most canonical composers in the history of Western music, who is also a German composer. These folk song settings resides in the periphery of art music, challenging the discourse of music analysis that has focused on the form and structure of canonic works of music. The paper will review academic preconceptions regarding folk songs, arrangements, and Beethoven. It will also explore which kind of orientation and focus should be adopted for an analytical approach to music that exists as performance and as traversing. By analyzing the folk song settings, the paper will also provide cases of music analysis that adequately accommodate the differences in such pieces of mus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