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동망에서의 인터넷 착신전화 서비스 번호체계 발전 방안

        조현국(Cho Hyun-Kook),송종명(Song Jong-Myung),신승수(Shin Seung-Soo),최승권(Choi Seung-Kwon),조용환(Cho Yong-Hwan) 한국콘텐츠학회 2004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 No.2

        현행 인터넷 전화 서비스는 유선망에 국한되어 있으나, 앞으로의 통신은 유선과 무선이 통합된 형태로 나타날 것이므로, 이에 따라 단순한 인터넷 착신전화 번호부여가 아닌, 유선망과 무선망 전체를 고려한 이동망에서의 변호체계 부여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착신전화 서비스에 대해 살펴보고, 이동망에서의 인터넷 전화 서비스에 대한 고찰을 통해, 향후의 통신망에 적합한 바람직한 이동망에서의 인터넷 전화 착신변호 부여 방안을 제시하였다. Although the current VoIP service is limited within the wire network, the future network will be a united network of wire/wireless. It is required that the study on the granting plan of numbering system by not considering the simple VoIP service but considering the entire network of wire/wireless. In this paper, we proposed a desirable VoIP service activation plan in mobile network suited to the future network by considering on VoIP service and mobile VoIP service.

      • KCI등재

        Expressional Regulation of Replication Factor C in Adipocyte Differentiation

        Hyun Kook Cho(조현국),Hye Young Kim(김혜영),Hyun Jeong Yu(유현정),JaeHun Cheong(정재훈) 한국생명과학회 2011 생명과학회지 Vol.21 No.2

        지방세포 분화 과정 중에 key regulator로서 기능을 하는 여러 전사조절인자(PPARγ, C/EBPα, SREBP, LXR)가 동정되었고, 주로 DNA 복제나 DNA 수선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밝혀진 복제 조절인자인 RFC140이 지방세포 분화에도 중요한 인자임이 밝혀졌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RFC140과 RFC38에 대한 발현조절을 확인하였으며, RFC140이 PPARγ와의 단백질-단백질 결합을 통하여 PPARγ에 의해 조절되는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특이적인 지방세포 전사인자에 의해 발현이 조절되는 RFC140과 RFC38이 지방세포의 분화과정에 필수적임을 제시한다. Adipocyte differentiation is an ordered multistep process requiring the sequential activation of several groups of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including CCAAT/enhancer-binding protein-α a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γ, and coactivators. In previous reports, we identified that replication factor C 140 (RFC140) protein played a critical role in regulat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as a coactivator. Here, we show expressional regulation of RFC140 and small RFC subunit, RFC38, following characterization of gene promoter of RFC140 and RFC38. In addition, RFC140 increases PPARγ -mediated gene activation, resulting from direct protein-protein interaction of RFC140 and PPARγ.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regulated expression of RFC140 and RFC38 by specific adipocyte transcription factors is required for the adipocyte differentiation process.

      • KCI등재

        Gene Promoter Variation of Phosphoglycerate Kinase, a Glucose Metabolism Enzyme, is a Biomarker for Selection of Disease-resistant Sea Squirt, Halocynthia Roretzi

        Hyun Kook Cho(조현국),Young Baek Hur(허영백),Jae Hun Cheong(정재훈) 한국생명과학회 2013 생명과학회지 Vol.23 No.2

        멍게의 물렁증 발병으로 인해 멍게 양식에 커다란 타격을 받고 있는 가운데 물렁증 발병에 대한 분자적인 접근을 위해 정상 멍게와 물렁증 걸린 멍게에서 DEG 법을 수행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멍게의 당 생합성 효소인 PGK가 물렁증에 걸린 멍게 개체에서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다양한 실험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PGK에 대한 유전자 서열을 확보함과 동시에 이 유전자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부위인 프로모터를 클로닝 하였다. 프로모터 부위의 단일 염기 다형성 분석을 통해서 -106과 -254 위치의 염기에서 다형성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물렁증에 대한 저항성을 가진 멍게와 다른 개체군의 멍게와의 염기서열을 비교한 결과 많은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염기의 차이가 PGK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지 확인하기 위해서 각각의 멍게 개체군에서 genomic DNA 와 total RNA를 분리하여 genotyping과 RT-PCR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106과 -254 위치의 염기가 AA와 GT인 개체에서 PGK의 발현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물렁증에 대한 저항성을 가진 멍게를 선발육종하기 위한 분자적인 마커의 개발에 활용됨으로써 물렁증 발병을 줄일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The sea squirt, Halocynthia roretzi, has experienced mass mortality due to softness syndrome. The identification of disease-induced genes can provide insights into the development of this syndrome. To identify the genes, we performed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 (DEG) analysis. The expression of the phosphoglycerate kinase (HrPGK) gen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diseased sea squirts compared to normal ones. We confirmed the result of the DEG analysis through RT-PCR and real-time PCR. In addition, we detected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at position -106 (A/T) and -254 (G/T) in the HrPGK gene promoter by genotyping analysis. At the -106 site of the HrPGK gene, the frequency of the AA allele in disease-resistant sea squirts was about two-fold higher than that of sensitive ones, and the frequency of the TT allele in the disease-resistant sea squirts was about six-fold lower. At the -254 site of the HrPGK gene, the frequency of the GT and the GG allele was approximately two-fold higher and two-fold lower, respectively, in the disease-resistant sea squirts compared to the disease-sensitive ones.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otypic variation at the -106/-254 promoter and the expression of HrPGK mRNA showed that HrPGK mRNA expression was higher in the -106/-254 AA/GT genotype samples than in the -106/254 TT/GG genotype ones. These results show that sea squirts harboring the AA/GT genotype may have more resistance to mortality than the sea squirts with other genotypes.

      • KCI등재후보

        대하 Penaeidin 3-2 유전자의 동정 및 발현

        박은미,조현국,홍경은,남보혜,김영옥,김우진,이상준,한현섭,이재용,김종식,장인권,정재훈,최태진,공희정,Park, Eun-Mi,Cho, Hyun Kook,Hong, Gyeong-Eun,Nam, Bo-Hye,Kim, Young-Ok,Kim, Woo-Jin,Lee, Sang-Jun,Han, Hyon Sob,Lee, Jae Yong,Kim, Jong-Sheek,Ja 한국해양바이오학회 2007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Vol.2 No.1

        Penaeidins은 새우류에 존재하는 항미생물성펩티드의 한 종류로서 새우의 외부 병원체에 대한 방어기작을 구성하는 중요한 인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하 혈구세포의 cDNA library로부터 분리된 EST 클론을 분리 동정하였다. 아미노산 염기서열 분석과 계통수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분리한 EST 클론이 대하의 Penaeidin 3-2 유전자와 아미노산 수준에서 동일함을 밝혔다. 대하의 Penaeidin 3-2는 signal peptides로 예상되는 19개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하여 전체 71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져 있고, C-말단에는 3개의 이중황화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6개의 cysteine가 존재하였다. 대하 Penaeidin 3-2 전사체는 혈구세포, 간췌장, 근육 조직에서 발현되었으며, 특히 혈구세포에서 주로 많이 발현되었다. 흰반점바이러스의 인위감염 실험에서 바이러스 감염 후 대하 Penaeidin 3-2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대하 Penaeidin 3-2가 자체 방어 작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Penaeidins are members of a special family of antimicrobial peptides existing in several species of shrimp and play a crucial role in the immunological defense of shrimp. In this study, we isolated and characterized one EST clone (penaeidin) from cDNA library of fleshy prawn Fenneropenaeus chinensis hemocytes. Amino acids sequence comparison and phylogenetic analysis with other known penaeidins revealed that our clone was completely identical to F. chinensis Penaeidin 3-2 (Accession no. ABC33920), which composed of 71 amino acids with a putative signal peptide (1-19) and a cysteine-rich domain (C-terminal part). The expression and distribution of Penaeidin 3-2 transcripts in shrimp were detected in hemocytes, hepatopancreas, and muscles, and that Penaeidin 3-2 was constitutively expressed mainly in hemocytes. The artificial infection of white spot syndrome virus to F. chinensis resulted in Penaeidin 3-2 mRNA up-regulation in hemocytes, suggesting that the possible role of Penaeidin 3-2 in host defense system of F. chinensis.

      • KCI등재

        북한 산림황폐지의 질감특성을 고려한 분할영상 기반 토지피복분류

        김은숙,이승호,조현국,Kim, Eun-Sook,Lee, Seung-Ho,Cho, Hyun-Kook 대한원격탐사학회 2010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26 No.5

        북한의 산림은 1970년대부터 산지개간과 땔나무 채취, 벌목 등에 의해 대규모로 황폐화되었으며, 이러한 산림황폐지는 경제적, 환경적, 재해발생 측면에서 반드시 복구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산림황폐지가 대규모로 발견되고 있는 북한 혜산 지역에 대해 산림복구사업 (A/R CDM 사업)을 계획할 수 있는 잠재적 대상지를 추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입목지와 산림황폐지(무립목지, 개간산지, 산간나지)를 보다 정확하게 분류하지 위한 고해상도 영상 기반의 영상분류기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북한의 산림황폐지 유형은 분광특성뿐 아니라 질감특성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5m SPOT Pan-Sharpened 영상을 이용해 분할영상을 제작하고 이 과정에서 생성된 질감(texture) 정보를 산림피복 분류 시 분광정보와 함께 활용했다. 분할영상의 제작 시 Scale factor 40/Shape Factor 0.3을 적용하였을 떼 각 산림피복 항목을 분리할 수 있는 적절한 규모의 분할조각이 생성되었다. 또한 산림 피복을 가장 잘 분류해내는 최적밴드를 선정한 결과 기존의 분광밴드 1/2/3 에 질감밴드인 GLCM_dissimilarity (밴드2), GLCM homogeneity (밴드2), GLCM_standard deviation (밴드3)를 추가 하였을 때 산림황폐지 유형간 분리도가 가장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감특성을 이용한 분할영상기반 분류결과기법에 따른 분류결과(80.4%)는 분광정보만을 이용하는 방법의 분류결과(70.3%) 보다 정확도가 높았으며, 특히 입목지와 무립목지의 분리에 있어서 약 23~25%의 정확도 향상 효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직접 현지조사를 하기 어려운 북한지역에 대해 고해상도 위성영상이 효과적인 산림피복분류의 근거를 제공했으며 영상의 분류 시 질감특성을 함께 활용하는 것이 상세한 산림피복 분류에 있어서 정확도 향상에 기여를 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North Korea, forests were intensively degraded by forest land reclamation for food production and firewood collection since the mid-1970s. These degraded forests have to be certainly recovered for economic support,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disaster prevention. In order to provide detailed land cover information of forest recovery project (A/R CDM), this study was focused to develop an improved classification method for degraded forest using 2.5m SPOT-5 pan-sharpened image. The degraded forest of North Korea shows various different types of texture. This study used GLCM texture bands of segmented image with spectral bands during forest cover classification. When scale factor 40/shape factor 0.3 was used as a parameter set to generate segment image, segment image was generated on suitable segment scale that could classify types of degraded forest. Forest land cover types were classified with an optimum band combination of Band1, Band2, band3, GLCM dissimilarity (band2), GLCM homogeneity (band2) and GLCM standard deviation (band3). Segment-based classification method using spectral bands and texture bands reached an 80.4% overall accuracy, but the method using only spectral bands yielded an 70.3% overall accuracy. As using spectral and texture bands, a classification accuracy of stocked forest and unstocked forest showed an increase of 23~25%. In this research, SPOT-5 pan-sharpened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 could provide a very useful information for classifying the forest cover of North Korea in which field data collection was not available for ground truth data and verification directly. And segment-based classification method using texture information improved classification accuracy of degraded forest.

      • 자산수익률 구성요소와 미래이익예측력의 관계분석

        김태성(Kim Tae-Seung),조현국(Cho Hyun-Kook),배진(Bae Jin) 한국산업비즈니스학회 2019 한국비즈니스연구 (비즈니스연구) Vol.3 No.1

        현금흐름할인모형에 따르면 기업가치는 미래현금흐름의 크기, 시기, 불확실성에 따라서 달라진다. 투자자 및 채권자들이 기업의 자원을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할 때 해당기업의 내재가치를 알고 싶어한다. 그러므로 회계정보는 기업내재가치 추정에 필요한 미래현금흐름에 관한 예측가치를 제공하여야 한다. 또한 자산은 미래현금 창출능력이 있다. 현금흐름은 당기순이익의 구성요소로서 현금흐름 추정하기 위해서 이익예측이 우선되어야 한다. 따라서 자산이 미래이익을 창출할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자산수익률을 단순차원과 변화차원으로 분해하여 고찰하여 보았다. 재무제표분석 교재는 재무제표분석을 위해 자산수익률을 자산회전율과 매출액이익률로 분해하여 볼 것을 제안한다. 이런 기법의 탁월성에도 불구하고, 시계열적 예측에 대한 이 기법의 유용성을 증명하는 연구가 없다. 본 논문은 당기 자산수익률을 당기 자산회전율과 당기 매출액이익률로 분해하는 것이 차기 자산수익률 변동에 대한 추가적인 예측정보는 주지 않지만, 당기 자산수익률의 변동을 당기 자산회전율의 변동과 당기 매출액이익률의 변동으로 분해하는 것이 차기의 자산수익률 변동을 예측하는데 보다 유용하다는 것을 가정하여 실증분석하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According to discounted cash flow model, enterprise value can vary based on future cash flows’ volume, time, and uncertainty. Investors and creditors seek for intrinsic value from a company in deciding whether to provide company resources or not. Accordingly, the account report should provide expected value of future cash flows required for estimating intrinsic value. Given that the cash flow is the component of net income, expected revenue should be prioritized to estimate the cash flow. Thus, in order to examine the ability of one’s assets can generate future profits, the return on assets were divided into simple and changeable dimensions. The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textbook suggests that asset return should be broken down into asset turnover and sales margin. Despite the excellence of the technique, there is no research demonstrating the usefulness of this technique for time-series prediction. This paper may not provide additional forecasting information on future asset return changes by decomposing the current asset return into asset turnover and current sales margin, it is assumed that decomposing changes in current asset return into changes in asset turnover and changes in current turnover are more useful for predicting future changes in asset returns.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low.

      • KCI등재

        Weibull 분포에 의한 직경분포추정에 관한 연구 - 동해안일대 해송림을 (海松林) 중심으로 -

        윤종화(Jong Wha Yun),조현국(Hyun Kook Cho) 한국산림과학회 199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80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to make rational management planning in eastern seacoast forest, mainly composed of black pine (Pinus Thunbergii), Kangweon Province. Diameter distribution was estimated by the method of Weibull distribution. The results were as fallows ; 1. Average diameter in the eastern seacoast forests of Kangweon Province was 10.3㎝, and the average D. B. H, of 16 study sites ranged from 6.9 to 14.6㎝. 2. Parameters of the Weibull distribution mere estimated in each study sites and the estimated parameters of the all study forests were a=5, b=5.6997 and c=1.4079. 3. Tested by Kolmogorov-Smirnov method for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ctual and estimated diameter distribution, the result showed that estimated values were well fitted to the actual ones at 5% significance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