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후기 권선서(勸善書)와 민화문자도의 윤리의식

        조헌철 ( Cho Heon Cheol ),임병학 ( Lim Byeong Hak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人文科學 Vol.0 No.69

        본 논문은 조선 후기 삼교합일 사상을 담은 도교 권선서와 민화문자도(民畵文字圖)의 윤리의식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민중교화서(民衆敎化書)의 기능을 가졌던 권선서는 당(唐) 중기 이후의 삼교합일이라는 사상적 융합의 결과로 성립되었다. 중국에서는 송대(宋代) 신도교의 교단 형성으로 경전의 제작이 활발해지면서 유불도 삼교의 윤리를 융합한 권선서가 유행하게 되었고 여기에 제시된 윤리적 덕목들을 실천하고자 하는 흐름이 확산되었다. 삼교합일 사상과 교화적 내용을 담은 권선서는 명대(明代)의 민중교화 정책에도 부합되어 그 흐름이 이어지게 되었으며, 동시대인 조선에도 영향을 미쳤다. 권선서를 통한 백성교화는 세종 때 『삼강행실도』의 편찬을 시작으로 조선 후기에 이르러서는 왕실뿐만 아니라 사찰과 개인까지 간행에 참여하게 되었다. 조선 후기 대내외적인 위기와 함께 윤리의식의 다변화 과정에서 권선서는 하나의 윤리서로 유통되었다. 권선서가 민간교화의 목적으로 유통되는 역사적인 흐름은 개인윤리로서의 ‘효제충신(孝弟忠信)’이나 ‘예의염치(禮義廉恥)’와 같은 사회적 윤리의식을 강조하는 민화문자도의 확산과 그 흐름을 같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조선 후기의 민화문자도가 유행한 경위를 살펴보면 조선 후기 민중들의 윤리의식을 담고 있는 민화문자도는 지도층의 직접적인 개입 없이 민중들의 자발적인 선택에 의해 형성되어 확산된 것으로 교화와 계몽으로 선행을 실천하게 하려는 도교 권선서의 유행과도 흐름을 같이하고 있다. 이것은 조선 후기 민중들의 윤리사상적 동향이었으며, 대내외적인 위기와 모순을 극복하고자 하는 조선사회 민중들의 사회적 응전양상이었다. This paper is aimed at examining the ethical consciousness manifested in the pictorial ideographs in folk paintings (minhwa munjado, 民畵文字圖) and the Daoist books for promoting virtuous deeds (gwonseonseo, 勸善書) ― which contained the thoughts of the confluence of the three religion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idea of the Daoist books for promoting virtuous deeds, aimed at edifying the public, was written as a result of the confluence of the three religions in the mid-Tang dynasty and thereafter. In China, through the formation of the new Daoist Order in the Song dynasty, the scriptures were actively produced and the books for promoting virtuous deeds that fused the three religions became popularized. There was an increasing tendency that people practiced ethical virtues whose models were presented in the books for promoting virtuous deeds. The books for promoting virtuous deeds containing the thoughts of unifying the three religions and the contents of edifying the public in the Joseon dynasty had been largely influenced by the policy of educating and civilizing the public in the Ming dynasty. The edification of the people through the books for promoting virtuous deeds started in earnest with the compilation of the Samgang haengsildo (Illustrated Conduct of the Three Bonds, 三綱行實圖)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in the Joseon dynas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not only the royal families but also the Buddhist temples and the individual public participated in the publication of the books. In the process of the diversification of the ethical consciousness along with the internal and external cris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books for promoting virtuous deeds were circulated as the codes of ethics among the general public. When we reconsider the historical trend that Daoism-based books for promoting virtuous deeds prospered for the purpose of edifying the people, we can see that the popularity of the books for promoting virtuous deeds and the pictorial ideographs in folk paintings ― which emphasized social and ethical consciousness such as filial piety (孝), brotherhood (悌), loyalty to the nation (忠), trust (信) or individual sense of ethics such as proprieties (禮), righteousness (義), uprightness (廉) and a sense of shame (恥) ― can be understood under the same context. The popularity of the pictorial ideographs in folk paintings which convey the ethical consciousness of the peop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produced voluntarily in society among the public without any direct intervention of the ruling class. The popularity of the pictorial ideographs shares the similar tren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Daoist books for promoting the performance of virtuous deeds by edifying and enlightening the people and encouraging them to do so. This not only coincides with the trend of the ethical thoughts among the public in the late Joseon society but also manifests the way how the people of Joseon took up the challenges as they were overcoming the internal and the external crises and coming up with social irregularities and absurditi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日用指訣』에 나타난 조선 후기 선비의 일상

        조헌철(Cho, Heon-Cheol)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인문학연구소 2021 횡단인문학 Vol.7 No.1

        유교를 국시로 삼아 건국되었던 조선시대에는 유교적 이념의 정착을 위한 각종 정책시행과 함께 여러 수신서들이 간행되었다. 조선 후기 안동지역의 선비 尹最植이 쓴 『日用指訣』은 성리학적 원리를 일상생활에서 실천하기 위한 행동규범을 정리한 선비의 이상적인 일상생활 지침서이다. 『일용지결』에서는 선비의 하루일과를 12시각으로 나누어 시간대별로 정리해 놓고 실천하고자 했다. 선비는 하루 취침시간이 6시간 정도에 불과할 정도로 날마다 18시간 이상 과업을 수행하였다. 가정은 효행실천과 자제교육이 이루어지는 유가의 도덕이 실천되는 출발점이었다. 선비의 일상생활은 자기수양의 場인 동시에 공부를 통해 얻은 지식을 실천하는 場이었다. 조선 후기의 선비들이 居敬, 窮理, 力行 등의 덕목들을 모두 일상의 시간 속에서 실천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일용지결』에서 확인 할 수 있다. During the Joseon Dynasty, when Confucianism was established as a national treasure, various letters of reception were published along with various policies aimed at establishing Confucian ideology. Written by Seonbi Yoon Choi-sik of Ando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Ilyongjigyul(日用指 訣) is a daily guide to Seonbi s practice of the principles of Neo-Confucianism in an ideal daily life guide for Seonbi, who summarizes the rules of behavior to practice Neo-Confucian principles in everyday life. In the Ilyongjigyul, Seonbi s daily routine was organized by 12-hour time zones. Seonbi worked more than 18 hours a day and slept only 6 hours. The family was the starting point for the practice of Confucian morality and emphasized filial piety and child education. Seonbi s daily life was not only a self-discipline stage, but also a stage where he practiced his knowledge. The Ilyongjigyul shows that scholars of the late Joseon Dynasty tried to practice Geogyung(居敬), Goonglee(窮理), and Lyughaing(力行) in their daily lives.

      • KCI등재
      • KCI등재

        盧仝의 茶詩 <走筆謝孟諫議寄新茶>에 나타난 茶情神

        조헌철(Cho,Heon-cheol) 국제차문화학회 2020 차문화ㆍ산업학 Vol.49 No.-

        당대(618-907)는 차가 일반 백성에게까지 광범위하게 보급되기 시작한 시기로 중국의 차문화사에서 중요한 시기로 평가되고 있다. 당대의 차문화는 차에 대한 최초의 전문서적인 『다경』을 비롯한 문헌들과 차시들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노동(795-835)이 남긴 차시 <주필사맹간의기신차>에는 신선의 경지에 이르게 하는 차의 효용을 일곱 단계로 설명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고통 받는 백성들의 삶을 대변하고자 했던 이 차시는 조선시대 이목의 『다부』, 이덕리의 『동다기』, 초의의 『다신전』, 『동다송』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고, 오늘날까지 동서양의 차인들에게 회자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노동의 시에 담긴 차 정신을 고찰하여 ‘이상세계를 바라보는 선경지향의 도가정신’, ‘현실세계를 살아가는 수기치인의 유교정신’, ‘음수사원을 생각하는 구세제민의 애민정신’으로 정리하였다. 이러한 노동의 차정신은 오늘날 차인들의 정신과 자세를 돌아보고 또 바람직한 방향으로 정립하는 일에 의미 있는 시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ang Dynasty(618-907) is an important period in the history of tea culture in China, as tea began to spread to the general public. The Tang Dynasty period offers a detailed look at tea culture through literature and books, including 『Dagyung(茶經) 』, the first professional book about tea. The Tea Poem「Jupilsamaingganeuigisincha」, which was left by Lu-Tong(盧仝, 795-835), describes the utility of the tea that leads to the ascetic in seven stages. In addition, the Tea Poem, which wanted to represent the lives of the suffering people, directly influenced the ‘Dabu(茶賦)’, ‘Dongdagi(東茶記)’, ‘Dasinjeon(茶神傳)’, ‘Dongdasong(東茶頌)’ of the Joseon Dynasty, and is still being spoken to by the tea artists of the East and West. Therefore, the review of the poem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serve as an opportunity to look back on the spirit and posture of today s tea artists and move in a desirable direction.

      • KCI등재

        중국 元代 『居家必用』이 조선 類書類에 끼친 영향에 대한 고찰

        강상희(Sang-hee Kang),조헌철(Heon-cheol Cho),최송현(Song-hyun Choi),이병인(Pyong-in Yi) 국제차문화학회 2023 차문화ㆍ산업학 Vol.60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음청류 문화의 성립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중국 원대(元代) 『거가필용』의 음청류들이, 조선 후기의 유서 『산림경제』, 『증보산림경제』, 『임원경제지』의 음청류 기록들에 미친 영향관계를 살펴본 것이다. 문헌연구 방법으로 진행된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음료의 연원과 종류를 파악하여 전통음료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한편, 계통과 분화의 모습을 파악하여 전통음료의 대중화와 세계화에 기여하려는 목적이 있다. 연구를 통해 『거가필용』이 조선 유서류들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는 것과 함께, 『정조지』에 전통음료의 종류가 가장 많이 수록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전통음료의 보급과 확산을 위해서는 건강과 양생만을 강조할 것이 아니라, 치열하고 각박한 삶을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심성을 따뜻하게 해주는 정신적 효용과 가치가 있다는 사실을 함께 알릴 필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Eumcheongryu of 『Geogapilyong(居家必用)』 in the Yuan Dynasty of China, which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establishment of Korean Eumcheongryu (飮淸類) cultur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on the records of sound streams in 『Sanlimgyungje(山林經濟)』, 『Jeungbosanlimgyungje(增補山林經濟)』 and 『Imwongyeonjeji(林園經濟志)』. This study, which was conducted as a literature research method, aims to contribute to the popularization and globalization of traditional beverages by identifying the identity of traditional beverages by identifying the origin and type of traditional beverages in Korea, and identifying the lineage and differentiation of traditional beverages. Through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Geogapilyong』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ocument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at the most types of traditional drinks were included in『Jeongjoji』.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pread and spread traditional beverages, it was confirmed that it is necessary not only to emphasize health and health, but also to inform modern people who are living fierce and harsh lives that they have spiritual benefits and values ​​that warm their hea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