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북한의 장기 경제성장률 및 국민소득 추정: 1956~1989년

        조태형 ( Taehyoung Cho ),김민정 ( Minjung Kim ) 한국경제학회 2021 經濟學硏究 Vol.69 No.1

        본고는 1956~89년중 북한의 장기 경제성장률을 추정한 것이다. 곡물, 석탄, 철강, 전력, 시멘트 등 주요 품목의 생산량 정보를 역사적으로 재구성하여 농림어업, 광업, 경공업, 중화학공업, 전기가스수도업, 건설업, 정부서비스업 등 7개 산업의 성장률을 추정한 다음, 연쇄라스파이레스 지수공식에 의거하여 전체 경제성장률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1956~89년중 북한의 경제성장률은 연간 4.7%로 추정되었다. 이는 기존의 대표적 연구인 Kim, Kim, and Lee(2007)의 추정치 4.2%와 대체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시기별로 보면 1950년대 후반에는 연간 13.8%의 고성장을 달성한 반면, 1960년대 들어 4%대로 낮아진 데 이어 1970~80년대에는 2%대의 저성장이 지속되었다. 즉, 1990년 이전 북한의 경제성장은 ‘일회성 고성장(one big jump)’으로 해석할 수 있다. 산업별로 보면, 1956~89년에 걸쳐 광공업이 연간 7.3%의 높은 성장률을 보인 반면, 농림어업과 서비스업은 각각 2.5% 및 4.6%로 낮은 성장률을 보였는데, 이러한 광공업 중심의 성장으로 인해 북한경제는 공업부문에 대한 과잉 투자와 산업간 불균형이 초래되었다. 한편, 미달러화 기준 1인당 실질GNI를 추정하여 남북한 소득을 비교한 결과, 남한의 1인당 소득은 1960년대 중후반 북한을 앞지른 것으로 평가되었다. 아울러 북한의 1인당 실질GDP 성장률을 사회주의국가와 비교해 보았을 때, 북한의 성장실적은 상대적으로 더욱 부진했다. This study estimates North Korea’s long-term economic growth rate from 1956 to 1989. After reconstructing production data series for major products such as grain, fabrics, coal, steel, electrical power, cement, etc., each industry’s GDP growth rate is estimated by linking relevant production data to that specific industry’s added value. Seven industries are considered: agriculture, forestry & fishing; mining; light industry; heavy chemical industry; electricity, gas & water supply; construction; and government services. Based on industry-specific growth rates, the growth rate for the total economy is computed using the chained Laspeyres index number formula. As a result, the North Korean economy is estimated to have grown on average at 4.7% annually from 1956 to 1989. This is roughly similar to the 4.2% for the same period suggested by Kim, Kim, and Lee (2007), a representative study in the field. By period, the economy achieved a high annual growth rate of 13.8% in the late 1950s, while it fell to the 4-5% range in the 1960s and further diminished to grow at a rate of 2-3% in the 1970s and 1980s. In other words, the economic growth of North Korea before 1990 can be interpreted as “one big jump.” By industry, mining and manufacturing grew at 7.3% annually over the whole period, while agriculture, forestry & fishing and services grew at 2.5% and 4.6%, respectively. The mining and manufacturing-centered growth in the economy resulted in excessive investment in the same industries and an imbalance in growth among all the industries. Meanwhile, this paper shows that South Korea’s per capita income, in terms of real GNI denominated in U.S. dollars, is estimated to have surpassed that of North Korea in the mid- to late 1960s. In addition, North Korea’s real GDP per capita grew relatively sluggishly compared to other socialist country c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