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FCST의 음양균형장치를 활용한 경항통 증례보고

        조창환,이영준,김정현,안정조,조현경,김윤식,설인찬,유호룡,Jo, Chang-Hwan,Lee, Young-Jun,Kim, Jung-Hyun,An, Joung-Jo,Jo, Hyun-Kyung,Kim, Yoon-Sik,Seol, In-Chan,Yoo, Ho-Rhyong 대한중풍순환신경학회 2011 대한중풍.순환신경학회지 Vol.12 No.1

        Objective : Therapeutic effect of Balance Appliance of functional cerebrospinal technique (FCST) for meridian and neurologic yinyang balance was observed in one neck pain case. Method : A neck pain one case with 3 months of duration was managed by the Balance Appliance on temporomandibular joint (TMJ), combined with acupuncture and manual medicine. Results : Assessment was made by self assessment of subjective symptoms and clinical observation. The patient reported over-90% remission and returned to ordinary daily life after 1 months of therapy. Conclusions : An impressive effect was observed and further clinical and biological research on FCST is expected.

      • KCI등재
      • KCI등재

        한산${\cdot}$거제만 굴 양식장의 양식밀도에 관한 연구

        조창환,CHO Chang Hwan 한국수산과학회 1980 한국수산과학회지 Vol.13 No.2

        한산${\cdot}$거제만 굴 양식장에 관한 $1970\~1979$년까지 사이에 조사된 여러 가지 기존 자료와 1978년에 조사한 몇 가지 저질에 관한 조사자료를 토대로 한 굴양식장의 양식밀도에 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 양성장에 있어 양성중인 굴밀도와 양성장 저이중에 함유되어 있는 COD, 페오파이틴의 양으로부터 구한 저이오염도간에는 상관이 있었다. 저이오염도 12를 한산${\cdot}$거제만의 한계치로 하여 평균 수심에 따른 단위면적당 굴 뭉치 수(C)와 저이오염도 (M)간의 회선직선식은 뗏목식의 경우 M=2.7341+1.8945C, 로우프식의 경우 M=6.4565+1.0988C에 적용하여 추정된 적정 양식밀도는 수하연수로 $m^2$당 뗏목식 0.12연, 로우프식 0.25연이었다. 2. $1970\~1978$년간의 양식결과에서 뗏목당 수하연수가 $350\~558$연 사이에서는 수하연수가 많을 수록 뗏목당 생산량은 많았고, 뗏목 1태가 점유한 수면적이 $1,000\~6,000m^2$까지는 태당 점유면적의 증가에 따라 생산량도 증가하였다. 뗏목당수하연수$(S_R)$와 뗏목당 생산량$(P_R)$ 관계식인 $P_R=-1.1272+0.009823S_R$와 뗏목 점유 면적$(D_R)$과 수하연당 생산량$(A_R)$의 관계식인 $A_R=4.7254+0.000604D_R$에 출하중심시기의 뗏목당 생산량 3.2t을 대입하여 구한 적정 양식밀도는 $m^2$당 약 0.11 연이다. 3. 단위면적당 수하연수(S)와 수하연당 생산량 (P/S)의 관계식인 $\frac{P}{S}=11.7213-44.2472S$에서 단위 면적당 수하연수가 많을수록 수하연당 생산량은 직선적으로 감소하였고, 이 식의 변형인 포물선식인 $P=11.7213\;S-44.2472S^2$에 의하면 수하연당 생산량은 $m^2$당 0.13연 수준에 달하기 까지는 증가하고 이 수준을 넘으면 오히려 감소한다. 이때 기대되는 최대 생산량은 약 5,600t으로 추정된다. 4. 양식밀도와 저이오염도, 뗏목당 수하연수와 뗏목당 점유면적에 따른 생산량 및 수하연 밀도와 연당 생산량의 3가지 측면에서 검토한 결과를 종합하건데, 한산${\cdot}$거제만 굴 양식장에 있어, 적정 양식밀도는 수하연수로 $m^2$당, 뗏목식에서 $0.11\~0.13$연, 로우프식에서 0.25연으로 추정된다. 5. 현재 한산${\cdot}$거제만의 굴 양식밀도는 수하연수로 $m^2$당, 뗏목식에서 0.24연, 로우프식에서 0.28연으로서 적정 양식밀도의 한계치를 초과하고 있다. Farming density of oyster cultured in Hansan-Geoje Bay was studied to obtain the optimal farming density based on the biosedimentation analysis and the annual yield data from 1970 to 1979. Farming density of oyster extrapolated by means of pollution grade of sediment i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COD and phaeophytin content of the bottom mud of the bay. Pollution grade is linearly related to the number of oyster clusters suspended in the unit area. Optimal farming density was $0.12\;string/m^2$ in case of raft culture, and it was $0.12\;string/m^2$ in case of long-line culture. Farming density was well expressed by the number of strings per raft and the area covered by a raft. As strings per raft increased from 350 to 558, total yield from a raft increased and when occupied sea area per raft ranged from $1.000\;m^2\;to\;6,000\;m^2$, the yield per raft linearly increased as the area increased. This analysis suggests that the optimal density be 0.11 string per unit area $(m^2)$. As increasing the number of strings per $m^2$ the yield per string decreases, and this is well dipicted by a linear function. At this time the yield per unit area increases when the number of string increases up to the density of $0.13\;strings/m^2$. From the point of these three comprehensive analyses the optimal density was $0.11\~0.13\;string/m^2$ in case of raft culture and $0.25\;strings/m^2$ in case of long-line culture in Hansan-Geoje Bay. The maximum expected yield of oyster in Hansan-Geoje Bay is approximately 5,600 tons when maintained the string density at $0.11\~0.13\;string/m^2$.

      • KCI등재

        고성·자란만 패류양식장 저니의 부영양화

        조창환,박경양 한국수산학회 1983 한국수산과학회지 Vol.16 No.3

        固城·紫蘭灣 패류 양성장 저질의 부영양화정도와 부영양화속도를 구명하고 양성장의 적절한 관리,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저 1981년 하계중양성장 저니중에 함유된 有機物量 및 硫化物量을 측정하였다. 1. 표층저니 중 COD量은 12.5∼19.5㎎/g으로 평균 15.3㎎/g이었고 强熱減量은 6.7∼12.4%로 평균 9.1%, 페오파이친色素量은 6.8∼11.0㎍/g으로 평균 9.1 ㎍/g이었다. 硫化物量은 0.18∼0.64㎎/g으로 평균 0.36㎎/g이었다. 2. 上記 量들은 硫化物의 경우, 富榮養化의 上限値인 0.3㎎/g을 약간 상회하고 있지만, 그 밖의 값들은 대체로 낮은 값이고, 1976년의 조사치와 비교해도 6년간 약간만이 증가한것으로 보아, 富榮養化의 速度는 매우 완만하였다. 3. 底泥汚染度로 보아, 득량만과 가막양만에 비하면 약간 나쁜 편이었지만 인근에 위치한 진해만이나 한산·거제만에 비하면 매우 양호한 편이었다. 또, 페오파이친色素量이 적은 것으로 보아 養成貝에 의한 배설물의 다량 축적으로 인한 문제는 없는 것 같다. Organic matters as COD, ignition loss, phaeophytin pigment, and sulfide in the superficial bottom mud in the shellfish farms during summer in 1981 were determined to find an eutrophication level for the conservation of the farms. Both the Goseong Bay and the Jaran Bay, which are productive shellfish farms, are located along the south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Goseong Bay is 8m deep with a narrow mouth and approximately 17.5㎢ in area, and the Jaran Bay 10m deep with 27.3㎢. The bottoms are silty. Major shellfishes cultured are the oyster by the off-bottom method and the arkshell in the bottom. COD contents were 12.5∼19.5㎎/g dry mud, ignition loss 6.70∼11.83%, phaeophytin pigment 6.8∼11.0㎍/g dry mud, and sulfide 0.18∼0.64㎎/g dry mu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termined quantities between two bays. All quantities except the sulfide which is a little over than an eutrophication level, 0.3㎎/g dry mud, shows that the bottom muds are in an early stage of eutrophication. In addition, there was no particular increase in quantities of aforementioned four paramenters in comparision with those of 1976. It means that the eutrophication in the Goseong-Jaran Bay makes slow progress.

      • Korean vs. American Corporate Websites : Interactivity, Comparative Appeals and Use of Technology

        조창환,전홍식 한국마케팅과학회 2003 마케팅과학연구 Vol.11 No.-

        This study is a cross cultural examination of interactivity, comparative advertising, and technology use in Korean and U.S. corporate websites. Utilizing cultural analysis criteria of high vs. low context, power distance and individualism-collectivism, we compared interactivity in U.S. and Korean websites. Our findings indicate that U.S. corporate websites tend to emphasize customer-message and customer-advertiser interactivity, while Korean websites highlight customer-customer interactivity. Findings on comparative advertising strategy indicate that cultural bias represented in U.S. individualism and Korean collectivism leads U.S. web advertisers to utilize direct and indirect comparative advertising more frequently than their Korean counterparts. The results of our technology analysis unexpectedly show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